Differences between revisions 51 and 57 (spanning 6 versions)
Revision 51 as of 2013-06-27 08:39:12
Size: 12154
Editor: 정수
Comment:
Revision 57 as of 2013-07-22 13:36:22
Size: 3657
Editor: 정수
Comment:
Deletions are marked like this. Additions are marked like this.
Line 9: Line 9:
코칭은 MartinSeligman의 PositivePsychology나 CarlRogers의 PersonCenteredTherapy와 맥락을 같이 한다. 코칭은 MartinSeligman의 [[긍정심리학]]이나 CarlRogers의 [[인간중심상담]]와 맥락을 같이 한다.
Line 11: Line 11:
== 역사 == [[코칭의 역사]]를 보라.
Line 13: Line 13:
Vikki G. Brock가 [[http://coachinghistory.com/|코칭의 역사에 대해]] 방대한 자료를 남겼다.
 * Vikki Brock, ''Coaching Pioneers: Laura Whitworth and Thomas Leonard'',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Coaching in Organizations, 2011
 * Vikki Brock, ''Grounded theory of the roots and emergence of coaching'', International University of Professional Studies, Maui, 2008
최근에는 [[코칭심리학]]이 심리학의 한 분야로 자리잡고 있다.
Line 17: Line 15:
Vikki는 코칭의 뿌리를 다음과 같은 네 개의 계열로 분류한다.
 * WernerErhard / FernandoFlores 계열
 * TimothyGallway / JohnWhitmore 계열
 * 심리학 계열: KRW International, RHR International, the Center for Creative Leadership, Hudson Institute, Strozzi Institute, Personnel Decisions International
 * 비즈니스 계열: PeterDrucker, KenBlanchard, Schein, ChrisArgyris, PeterBlock, Peters, StephenCovey, Goleman, DavidCooperrider, and PeterSenge

ThomasLeonard와 LauraWhitworth 둘 모두는 WernerErhard의 est: ErhardSensitiveTraning를 들었고, WEA: Werner Erhard and Associates에서 회계사로 일했다. ThomasLeonard가 자신의 동료가 휴가를 간 사이에, LauraWhitworth를 잠시 고용했다. ThomasLeonard가 먼저 WEA를 나와서 자신의 교육과정을 만들고 코칭 비즈니스를 시작했다. LauraWhitworth는 조금 더 후에 자신의 코칭 비즈니스를 시작했다. LauraWhitworth는 잠시동안 TimothyGallway를 자신의 코치로 둔다.

이와는 별개로 TimothyGallway와 JohnWhitmore는 InnerGame을 비즈니스에 접목하여 코칭 비즈니스를 시작한다. WernerErhard / FernandoFlores 계열과 TimothyGallway / JohnWhitmore 계열은 서로 교류하기도 했다. JohnWhitmore는 유럽에서 est를 열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TimothyGallway와 JohnWhitmore는 모두 EaslenInstitute에서 영향을 받았다.

그 후 ThomasLeonard는 CoachUniversity, [[ICF]], CoachVille, [[IAC]] 등을 설립하며 코칭의 대중화에 왕성한 기여를 했다. 비슷한 시기에 LauraWhitworth는 [[CTI]]를 설립하여 CoActiveCoaching을 정리했다.

이러한 여러 계열들이 서로 영향을 주고 융합하며 코칭 분야를 형성해왔다. 그 배경에는 몇 가지의 요소가 있다. 처음으로는 IT 기술의 발달로 각자 계열의 활동이 널리 퍼질 수 있게 된 점, 미국에서 다국적 학생들이 공부하며 교류할 수 있었던 점, 여러 Humanist center들이 설립된 점 (EsalenInstitute, NTL, Omega, Findhorn, Tavistock 등).

Vikki가 조사한 논문에 따르면, 코칭 분야의 기원에 영향을 준 사람들은 다음과 같다.

||<#eeeeee>Name||<#eeeeee>Discipline||<#eeeeee>Decade Influence Began||
||AlfredAdler||Psychology||1920s||
||MartinHeidegger||Philosophy||1930s||
||NapoleonHill||Motivation||1930s late||
||DaleCarnegie||Motivation||1940s||
||AbrahamMaslow||Psychology||1950s||
||AlbertEllis||Psychology||1950s||
||CarlJung||Psychology||1950s||
||CarlRogers||Psychology||1950s||
||JohnWooden||Sports||1950s||
||MiltonErickson||Psychology||1950s||
||PeterDrucker||Business||1950s||
||RedAuerbach||Sports||1950s||
||EarlNightingale||Motivation||1950s late||
||ChrisArgyris||Psychology||1960s||
||EdgarSchein||Business||1960s||
||FritzPerls||Psychology||1960s||
||KenBlanchard||Business||1960s||
||DonShula||Sports||1970s||
||FernandoFlores||Philosophy||1970s||
||JohnGrinder||Liberal Arts||1970s||
||PeterBlock||Business||1970s||
||RichardBandler||Psychology||1970s||
||WernerErhard||Business||1970s||
||ZigZiglar||Motivation||1970s||
||WayneDyer||Motivation||1970s late||
||BrianTracy||Motivation||1980s||
||RobertDilts||Psychology||1980s||
||StephenCovey||Business||1980s||
||TomPeters||Business||1980s||
||DanielGoleman||Psychology||1990s||
||DavidCooperrider||Business||1990s||
||KenWilber||Psychology||1990s||
||MartinSeligman||Psychology||1990s||
||MihalyCsikszentmihalyi||Psychology||1990s||
||PeterSenge||Business||1990s||

코칭은 독립적인 분야로 성장하기보다는 여러 시대적 배경, 다른 분야들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다.

||<#eeeeee>시대||<#eeeeee>사회 경제적 환경||<#eeeeee>심리학||<#eeeeee>비즈니스||<#eeeeee>기타||<#eeeeee>코칭||
||1960-70년대||베트남 전쟁 발발. 반문화(counter culture), 히피 운동, 페미니즘 등 유행<<BR>>시민의 권리와 낙태 운동이 확산<<BR>>대체의학이나 영성 수련 등의 비전통적인 모델이 유행<<BR>>음악, 비틀즈 음악이나 자기계발 서적 등을 통해 동양사상이 유입됨||치료(medical) 모델에서 인간 성장 모델로 이동<<BR>>관심이 질병에서 건강으로 이동. 더 인간의 삶에 대해 전체적인(holistic)한 관점을 가지게 됨<<BR>>EsalenInstitute가 설립되고 인간 잠재력 운동(HumanPotentialMovement)의 허브가 되고, 인간주의 심리학자들이 많이 관여함.<<BR>>LGAT(대규모 집단 각성 프로그램)이 확산. Mind Dynamics, est, Lifespring 등<<BR>>SolutionFocusedTheraphy가 발달함<<BR>>HumanisticPsychology에서 다시 TranspersonalPsychology가 발달함. 영성과 의식의 altered stated 등을 포함함.||X이론 Y리더십 모델이 개발됨.<<BR>>프로세스 컨설팅, 경영 그리드, 상황적 리더십 모델이 만들어짐<<BR>>NTL과 Tavistock이 감수성 훈련을 함<<BR>>과업중심과 관계중심 행동에 대한 탐색이 시작되고 협력적 리더십이 연구됨<<BR>>조직에서의 성과 이론(excellence theory)들이 개발됨<<BR>>관리에서 리더십으로 초점이 이동함<<BR>>조직개발에 GestaltTheraphy 개념과 방법이 적용됨<<BR>>컨설팅 기관들이 설립됨.||..||..||
||1980년대||불확실성, 애매함, 모순(역설), 불연속성의 시대<<BR>>사회, 경제, 문화적인 변화가 더 가속화됨.<<BR>>냉전이 끝나고 베를린 장벽이 무너짐<<BR>>일본과 유럽이 새로운 산업 강국이 됨<<BR>>주요 산업 국가들 간의 상호 영향 시대||인지 과정(cognitive process)에 대한 연구가 심리학의 주류를 이룸.<<BR>>치료(theraphy)가 주류가 되고, 점점 성공적인 사람이지만 더 나은 자신과 삶의 균형을 찾고자 하는 사람들이 고객이 됨.<<BR>>Co-counseling brought counseling to the masses<<BR>>TranspersonalPsychology가 다시 James and Wundt가 이미 한세기 전에 연구했던 의식에 대한 연구라는 주제로 회귀함. 다만 조금 더 통합적인(integral) 접근방식으로.<<BR>>WernerEdhard의 est가 Flores 등의 영향으로 ontological Forum이 됨.||Luthens가 행동심리학의 결과물들을 경영 모델, 용어 등에 도입하고 조직 행동 변화 모델이라고 명명함.<<BR>>권력이 관리자의 권위에서 직원들의 헌신으로 이동함.<<BR>>경영 이론이 점점 협동(collaboration), 협력(participation), 영향력(influence)으로 이동함<<BR>>품질주의 운동이 일어나 프로세스 개선과 [[PDCAmodel]]에 대한 관심이 일어남.<<BR>>개인이라는 개념에서 인적 자원이라는 개념으로 발전함<<BR>>개인적, 업무적 상담을 위해 Employee Assistance Program (EAP)가 탄생함.|| ..||..||
||1990-2004년대||불확실성은 계속되고, 불연속성, 전체 품질(total quality)과 문화 변화의 확산<<BR>>경제적 빈부 격차의 심화<<BR>>소비에트 연방의 몰락<<BR>>중국이 자유화됨<<BR>>산업사회에서 정보사회로의 이동<<BR>>이민과 세계화<<BR>>PC의 확산, 인터넷과 다른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수단의 확산<<BR>>수직적 권위의 몰락<<BR>>건강과 운동에 대한 관심과 염려가 증가<<BR>>복잡성을 대하기 위해 통합적이고 시스템적인 접근법이 개발됨.<<BR>>기업가정신과 서비스 경제의 대두<<BR>>포스트모던 사회의 복잡성<<BR>>국제적으로 의식과 영적 패러다임이 이동하고 융합됨<<BR>>인류에 대한 인본주의적 세계관<<BR>>개인주의 경향<<BR>>환경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관심<<BR>>국제적으로 테러리즘이 중요한 요인으로 부상함|| .. ||스트레스와 긴 업무 시간에 대한 염려로 일과 삶의 균형이 이슈가 됨.<<BR>>개인 생산성으로 초점이 이동함<<BR>>business fix-it에서 잠재력 계발의 직업 개발로 이동<<BR>>Cross-discipline 접근법과 이론이 규범화됨<<BR>>리더십 이론이 balanced scorecard, reengineering, 복잡계 이론, 리더십 과학, 감성 지능 등을 포함하게 됨<<BR>>조직 학습과 시스템 사고가 결합됨<<BR>>긍정 탐색이 조직 변화를 일으키기 위해 만들어짐|| .. || .. ||
Line 93: Line 30:
 * 가족치료모델인 SolutionFocusedTheraphy도 코칭에 활용할 수 있다.  * 가족치료모델인 SolutionFocusedTherapy도 코칭에 활용할 수 있다.
Line 102: Line 39:
 * CoActiveCoaching을 모델로 하는 CoachTrainingInstitute가 있다.

코칭은

Train vs Coach

  • Train은 훈련 시키는 사람(기관차)이 피교육자를 끌고 가는 것. 원동력이 훈련 시키는 사람에게 있다.
  • Coach는 승객이 가자고 하는 곳으로 마부가 가는 것. 주도권이 승객에게 있다.

근대적인 코칭은 TimothyGallweyInnerGame을 소개하면서 발달했다. 그것을 JohnWhitmore가 비즈니스에 접목시켜 구체적인 비즈니스 코칭 분야를 발달시켰다. 본격적으로 코칭이 직업적인 비즈니스로 성립하는데는 ThomasLeonard의 공이 컸다. ThomasLeonard는 그 공헌을 인정받아 현대코칭의 아버지라고 불리운다. 그는 ICF의 발족에 기여하고 CCU를 설립하는 등, 코칭의 조직화에 큰 공헌을 했다.

코칭은 MartinSeligman긍정심리학이나 CarlRogers인간중심상담와 맥락을 같이 한다.

코칭의 역사를 보라.

최근에는 코칭심리학이 심리학의 한 분야로 자리잡고 있다.

코칭 원리

코칭은 코치이의 자각(Awareness)과 책임(Responsibility)을 높여서 스스로 문제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갖게 하고 해결책을 찾아내고 실행할 수 있게 돕는다.

자각은 수용 능력의 확대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수용 능력의 확대에는 질문이 효과적이다. 때문에 코칭에서는 질문을 중요하게 사용한다. AwarenessQuestion에 그 예시 목록이 있다.

ICF에서 정의한 ICFCoreCoachingCompetencies와, IAC에서 정의한 IACCoachingMasteries가 있다.

코칭 모델

교육 과정

분야

다루는 문제의 깊이에 따라 PerformanceCoaching, TransformationCoaching 등의 분류가 있다.

다루는 문제의 분야에 따라 BusinessCoaching, LifeCoaching 등의 분류가 있다.

대상의 형태에 따라 개인 코칭과 TeamCoaching이 있다.

단체 및 미디어


CategoryCoaching

Coaching (last edited 2024-07-10 12:36:43 by 정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