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ze: 966
Comment:
|
Size: 1301
Comment:
|
Deletions are marked like this. | Additions are marked like this. |
Line 9: | Line 9: |
[[ADKAR Model]]에 따르면, AD는 [[Coaching]]이 다룰 수 있고, K는 또 다른 이야기일 것 같고. K는 어쩌면 InnerGame이 관여할 수 있을 것 같다. 또한 조직 역동을 잘 모르는 조직은 [[Facilitation]]이 관여할 수 있을 것 같고. 또는 ability 요소와 함께 묶어서 DeliberatePerformance가 관여할 수도 있겠다. AR 부분은 다시 코칭? DoubleLoopLearning이 관여할 수도 있을 것 같고. | [[ADKAR Model]]에 따르면: * Awareness, Desire는 [[Coaching]]이 다룰 수 있겠고, [[MotivationalInterview]]가 다룰 수도 있겠다. * Knowledge는 또 다른 이야기일 것 같고. Knowledge는 어쩌면 InnerGame이 관여할 수 있을 것 같다. 또한 조직 역동을 잘 모르는 조직은 [[Facilitation]]이 관여할 수 있을 것 같고. 또는 ability 요소와 함께 묶어서 [[전문성]]이라는 요소의 계발이 필요하다고 하면, DeliberatePerformance가 관여할 수도 있겠다. * Ability, Re-inforcement 부분은 다시 Coaching이 관여하거나 DoubleLoopLearning이 관여할 수도 있을 것 같고. Re-inforcement 부분은 후원 환경 구성이라는 측면에서, 습관 형성이나 Nudge가 관여할 수도 있겠다. |
Change Management
개인, 조직에 변화를 이끌어내고 지속시키는 일련의 과정을 변화관리라고 한다.
개인의 변화관리에는 Coaching이 관여한다. 조직 또한 개인의 집합이기 때문에 개인 차원의 문제도 다루어야 한다.
하지만 Coaching만으로는 부족한 부분이 있는 것 같다. 조직 역동이 개입하는 부분은 Facilitation이 관여한다.
ADKAR Model에 따르면:
Awareness, Desire는 Coaching이 다룰 수 있겠고, MotivationalInterview가 다룰 수도 있겠다.
Knowledge는 또 다른 이야기일 것 같고. Knowledge는 어쩌면 InnerGame이 관여할 수 있을 것 같다. 또한 조직 역동을 잘 모르는 조직은 Facilitation이 관여할 수 있을 것 같고. 또는 ability 요소와 함께 묶어서 전문성이라는 요소의 계발이 필요하다고 하면, DeliberatePerformance가 관여할 수도 있겠다.
Ability, Re-inforcement 부분은 다시 Coaching이 관여하거나 DoubleLoopLearning이 관여할 수도 있을 것 같고. Re-inforcement 부분은 후원 환경 구성이라는 측면에서, 습관 형성이나 Nudge가 관여할 수도 있겠다.
변화라는 주제를 다룬 책으로, Switch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