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칭은
Train vs Coach
- Train은 훈련 시키는 사람(기관차)이 피교육자를 끌고 가는 것. 원동력이 훈련 시키는 사람에게 있다.
- Coach는 승객이 가자고 하는 곳으로 마부가 가는 것. 주도권이 승객에게 있다.
근대적인 코칭은 Timothy Gallwey가 InnerGame을 소개하면서 발달했다. 그것을 Sir John Whitmore가 비즈니스에 접목시켜 구체적인 비즈니스 코칭 분야를 발달시켰다.
코칭 원리
코칭은 코치이의 자각(Awareness)과 책임(Responsibility)을 높여서 스스로 문제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갖게 하고 해결책을 찾아내고 실행할 수 있게 돕는다.
자각은 수용 능력의 확대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수용 능력의 확대에는 질문이 효과적이다. 때문에 코칭에서는 질문을 중요하게 사용한다. AwarenessQuestion에 그 목록이 있다.
코칭 모델
구체적인 코칭 방법으로는 Sir John Whitmore가 정리한 GrowModel이 있다.
MotivationalInterview에서 사용하는 OARS Model도 있다.
CleanLanguage도 있다. 특별히 CleanLanguage를 활용한 코칭 모델로서 FiveMinuteCoach가 있다.
SolutionFocusedTheraphy도 코칭에 활용할 수 있다.
교육 과정
국내 애자일 코칭 교육과정으로 AC2가 있다.
정규 교육과정은 KCA코치인증 페이지 참고.
Thomas Leonard의 15 CoachingProficien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