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ze: 6404
Comment:
|
Size: 6394
Comment:
|
Deletions are marked like this. | Additions are marked like this. |
Line 30: | Line 30: |
{{{ | |
Line 46: | Line 45: |
}}} |
시민경제학에 대해 써주세요.
- - 포콜라레 운동 - 친교의 경제의 이론적 검토 - 해외 '친교의 경제'의 운영 사례 - 국내 '친교의 경제'의 운영 사례 - '친교의 경제'의 과제와 가능성
칼 폴라니는 책/거대한 전환에서 아담 스미스로 대표되는 '자기조정 시장'이라는 개념이 얼마나 허구적인지를 밝히고, 실제로 존재해오던 '시장'이라는 것이 어떤 것이었는지를 밝힌다.
그 중에서 중요한 요소가 '상호성(reciprocity)'이다. 마치 한국에서 전통적인 품앗이, 두레라던지, 축의금이나 부조를 주고 받는 것처럼, 선물을 주고 받는 것처럼, 합리적이거나 탐욕적인 계산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거래 뿐 아니라, 상호적이며 호혜적으로 이루어지는 '선물의 경제'가 있었다는 것을 이야기한다.
또한 책/21세기 시민경제학의 탄생에서는 르네상스 초기 이탈리아에서 발달했던 시민경제에 대해서 설명하며 비슷한 개념을 주장한다.
그런데 그러한 흐름이 현재에도 시도되고 있고, 작은 규모이지만 연합체가 존재한다. 더 반가웠던 것은 국내에도 그러한 시도를 하는 회사들이 있다는 것과, 그 중에 잘 알려진 '서광사', '성심당' 등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이다.
기업 경영에서 그 구체적인 실천으로 '무지개 경영 지표 (The method of rainbowscore)'를 제시한다.
- 빨강: 경제적 자본
- 주황: 관계적 자본
- 노랑: 기업문화
- 초록: 환경에 대한 고려
- 파랑: 인적자본, 회사의 구조와 이미지
- 남색: 양성과 혁신
- 보라: 의사소통과 포용
첫째, 빨간색은 재정과 관련되어 있다. 지속가능한 기업의 필수요건인 재정의 안정성을 추구하고, 급여, 인센티브, 대출금에 대한 이자와 할인판매정책 등 재무관리를 투명하게 한다. 또한 기업 내부적으로 협동과 경쟁을 통하여 구성원의 창의력을 고양하면서 책임감을 갖도록 한다. 오늘날의 관점에서 가난은 극복하고 뿌리 뽑아야 할 대상으로 지목되지만 가난에는 두 종류가 있다. 하나는 정의롭지 못한 사회구조의 산물로서 인간의 존엄성을 훼손하는 부정적 가난이다. 다른 하나는 자유로이 선택하는 가난인데 이는 절대적 소유대상으로 간주되던 재화로부터 우리 자신을 자유롭게 하며, 이 선택된 가난은 이타적 상호작용의지름길이 된다. 그러므로 친교의 경제기업은 어려운 이웃에 대한 관심과 사랑으로 수익의 일부를 내어 놓기 위해 자유로이 선택한 가난과 절약을 실천하며, 그 너머에 있는 ‘숨어있는 주주’의 선물을 믿는다.
두 번째는 주황색인데 기업은 외부고객과의 관계에서 이해관계자들이 만족할 수 있는 상호적 신뢰를 구축한다. 고객, 거래처와의 관계에서 적절한 가격과 품질을 유지하고, 경영을 투명하고 정당하게 함으로써 소비자와 공급자 사이에 협력과 존중의 관계를 형성한다. 또한 지역사회와 가난한 이들에 대한 관심과 지원은 친교의 경제 기업에 대한 긍정적인 평판을 형성하여 무형의 자산이 된다. 경쟁자들과도 협동의 전략을 쓸 수 있다. 정정당당하게 경쟁하고, 경쟁사가 만드는 제품을 비난하거나 해를 입히지 않으면서, 지역의 공동체와 친교를 맺는 것이다.
셋째, 노란색의 측면은 가치와 규범을 의미한다. 법과 윤리강령을 준수하며, 감독 단체와 노동조합, 행정부에서 제시하는 규칙을 지키고자 한다. 노동법과 노동계약에서 인준하는 권리를 보장하고 존중한다. 또한 도덕적 딜레마 상황의 해결을 위한 방향제시와 추구하는 가치를 표명하는 경영이념을 명시한다. 책임감과 규칙에 대한 주도적 준수, 실수를 했을 때에도 일관성을 잃지 않는다.
네 번째 면은 초록색으로 신뢰의 문화와 기업의 복지와 건강에 대한 배려를 의미한다. 또한 친교의 경제 기업은 환경보호에 소홀할 수 없다. 기업의 구성원들 사이에서 신뢰하고 배려하는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하여 대화를 나눌 수 있는 장소와 기회에 관심을 갖는다. 근로시간, 초과근무, 휴가와 근로자의 정신적, 신체적 건강 전반에 관심을 기울인다.
다섯 번째 측면은 파란색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작업장을 설계하고, 개인과 사회적 관계의 향상을 위하여 업무 프로세스를 조직한다. 작업공간이나 사무실은 인적자본의 발전을 위한 매체이기 때문이다. 개인적 공간과 공동작업을 위한 공간을 적절히 배치하여 조직화한다.
여섯 번째인 남색은 지식의 심화를 의미한다. 구성원들이 자신의 업무에 대하여 전문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습득과 양성을 장려하고 지원하며, 다른 사람에게 무게중심을 두는 무상성의 능력을 함양하고, 경쟁을 초월하여 집단적인 기술혁신을 추구한다.
일곱 번째 보라색은 의사소통과 포용을 상징한다. 원활한 의사소통은 정보를 획일화하지 않으면서 사람들이 새로운 행동방식을 수렴할 수 있도록 설득하는 작용을 한다. 조직 내부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하여 공식적, 비공식적 다양한 채널을 활용하며, 참여와 경청, 피드백의 시스템을 갖추고, 관계의 망을 발전시킨다. 외부적으로는 회사가 믿는 원리와 가치를 확산시키고, 회사의 존재와 행동방식을 천명한다.
동일한 본질을 지닌 일곱 가지 측면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기업의 목표 사이에 조화로운 균형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이 모든 것이 어우러져야 한다.
See als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