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lidated Learning
StartUp의 성과를 어떻게 측정해야 할까? StartUp은 극심한 불확실성 속에서 조직을 운영하기 때문에, 학습이 필수적인 부분이다.
EricRies는 IMVU의 CTO로서 AgileMethodology를 사용해 개발을 진행했지만, 그의 회사가 들인 엄청난 개발 노력은 낭비가 됐다. 나중에 보니 사용자들이 원하지 않는 기능을 만드는데 너무나 많은 시간을 들였기 때문이다.
린 사고는 가치를 고객에게 주는 혜택으로 정의한다. 그 이외의 것은 모두 낭비다. 그런데 스타트업에서는 누가 고객인지, 고객이 가치있다고 느끼는 부분이 어떤 것인지 모두 모르는 상태다. 이런 불확실한 상황 자체가 WhatIsStartUp이다. StartUp에서는 '가치'라는게 무엇인지 새롭게 정의해야 한다. IMVU에서 초기 몇달간 한 일 중에서 학습하는데 기여하지 않는 모든 것이 바로 낭비였다. 그렇다면 좀 더 짧은 시간 안에 같은 내용을 학습할 수 있었을까? 대답은 '그렇다'이다.
고객들에게 무엇을 원하는지 물어보는 것과, 고객에게 제품을 건네주고 그들이 실제로 행동하는 것을 관찰하는 것과는 완전히 다르다. 대부분의 경우 고객들은 자신이 무엇을 원하는지 미리 알지 못한다. 고객에게 무언가를 해보게 하고, 그들의 행동을 측정하면서 실험을 할 수 있다.
고객이 무엇을 원하는지 마음대로 상상하는 것은 쉬운 일이다. 그리고 아무 관련이 없는 것들을 학습하는 것도 아주 쉬운 일이다. 하지만 유효한 학습은 진짜 고객으로부터 나오는 실제 데이터로 증명되어야 한다. 고객이 무엇을 원한는지 알아내는 활동을 하고, 스타트업 핵심 측정 지표에서 항상 성과로 검증한다. 이것을 ValidatedLearning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