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상적 사회주의자로 분류되며, 협동조합의 개념을 만든 사람으로 여겨짐.

1771년 5월 14일생

로버트 오웬의 사회사상: 박애주의에서 사회주의로의 이행

http://www.riss.kr/link?id=T2166928

당시 영국에서는 산업혁명을 통한 기술적 혁신으로 전반적인 사회변화가 일어나고 있었다. 특히 노동구조의 변화는 부녀자와 아이들을 공장 시스템에 편입시켰고, 열악한 근로조건에서 일하게 했다. 아이들이 주로 고통을 많이 받았는데, 5~19세, 심지어는 3~4세 아이들도 공장에서 노동을 했다. 노동시간은 5시~20시로 15시간이었고, 어린이들의 건강은 극도로 나쁜 상태였다. 이러한 산업혁명의 해악이 가장 극적으로 드러난 곳은, 산업혁명이 가장 먼저 일어났던 영국에서였다. 따라서 사회변화를 통해 노동의 조건을 개혁시켜보겠다는 개혁자들이 영국에서 먼저 일어난 것은 당연한 수순이다. 그들은 산업혁명이 어떻게 가난한 이들을 만들어냈고 그들을 어떻게 착취하는가를 팜플렛을 통해 설명하려 했는데, 그들 중 한 사람인 로버트 오웬은 영국의 사회개혁에 크게 영향을 끼친 인물이었다. 그의 계획은 영국에서 공장제가 야기한 상황에 대한 하나의 대응책이었다.

오웬에게 어떤 사상들이 영향을 미쳤는지는 확실히 연구되지 않았다. 하지만 어렸을 때 (10대) 여러 소설이나 위인전 등을 읽고, 주변의 감리교 신자의 영향으로 설교집이나 종교 이론서 등을 많이 접하여 일찍부터 종교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후일 스스로도 이 시기의 독서에 대해 '종교 서적에 관한 독서를 통해 모든 종교에는 근본적인 오류가 있다'는 생각을 갖게 되었다고 고백한다. 또한 여러 연구자들은 공통적으로 계몽주의 사상의 영향을 지목한다. 특히 오웬의 초기 사상이 박애주의적이었다는 점에서 계몽주의 사상가들의 박애사상과 닿는 부분이 있다.

1814~1815년에 걸친 프랑스와의 전쟁에 타격을 받아 영국에는 빈민인구가 크게 증가했고, 정부에서는 빈민구제 정책을 펼쳤는데, 오웬도 그 위원회에 참가했다. 그 과정에서 가난한 노동자들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당시 오웬은 여러 노동문제 중, 노동자들의 노동조건에 관심을 가졌다. 고용의 확대보다 노동조건의 개선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초기에 실업자 문제에 대한 오웬의 해결방안은 소규모 자립 공동체의 건설을 통한 노동조건의 개선이었다. 오웬이 제안한 협동촌은 공공집단(또는 정부)이나 박애사상을 가진 자본가 집단에 의해 임명된 관리들에 의해 지배되는 것이지 협동에 근거한 새로운 사회를 향하는 기초로 본 것은 아니었다. 그는 초기에는 단지 정부와 자본가들의 협조에 의해 공동촌을 형성함으로써 노동자들의 생활환경을 개선시키고 나아가 그들의 생활태도를 바꾸려 했다. 여기서 '정부와 자본가들의 협조'라는 부분은 이 시기의 오웬의 사상을 규정하는데 아주 중요하다. 그가 협동공동체를 주장하던 1810년대에는 오웬은 자본가들의 협조를 요구하며 투자한 자본에 대한 이익금을 돌려주고 있지만, 1820년을 넘어서면서부터는 사유재산을 부정함으로써 자본 투자자가 아니라 실제로 노동을 한 사람에게만 이익금이 돌아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오웬은 미국으로 가서 뉴 하모니 공동체를 건설하지만, 실패하고 1829년 영국으로 돌아온다. 그동안 영국은 오웬의 사상이 발전할 수 있는 좋은 조건이 성숙되어 있었다. 1824년 노동조합 금지법이 폐지되었고, 선거권 개혁을 외치는 차티스트 운동이 쉴새없이 일어났다. 1830년까지 영국내에 협동조합이 이미 수백개나 되었다. 공동체 운동은 이미 그 자체의 협회와 잡지를 가질만큼 성숙해 있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오웬은 자본가들 및 지배층보다는 노동계층의 손을 잡게 된다.

오웬주의자이며 당시 노동자 조직을 지도하고 있던 WilliamTompson과 같은 사회주의적 경제학, 혹은 리카도주의 사회주의자들의 영향도 무시할 수 없다. 그는 오웬이 미국에 건너가 있는 동안 오웬의 사상을 더욱 발전시켜, '노동이 가치의 유일한 창출자이고 자본에 의한 노동의 착취가 생산을 제한하며 실업과 경제위기의 원인이다'라는 주장을 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오웬은 단순히 빈민을 구제하자는 박애주의에서 사회경제구조의 변화를 요구하는 사회주의로 이행하게 된다.

RobertOwen (last edited 2018-06-26 10:06:58 by 정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