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s between revisions 8 and 9
Revision 8 as of 2013-02-14 06:09:04
Size: 4337
Editor: TORACLE-PC
Comment:
Revision 9 as of 2013-02-14 06:13:24
Size: 4542
Editor: TORACLE-PC
Comment:
Deletions are marked like this. Additions are marked like this.
Line 7: Line 7:
한국 음주문화 연구센터에서 발간한[[attachment:MotivationalInterview.pdf|한국형 동기강화치료 프로그램 모델 개발]]에 대한 보고서가 있다. 한국 음주문화 연구센터에서 발간한[[attachment:MotivationalInterview.pdf|한국형 동기강화치료 프로그램 모델 개발]]에 대한 보고서가 있다. 이 보고서는 미국의 MATCH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작성된 [[http://pubs.niaaa.nih.gov/publications/ProjectMatch/match02.pdf|Motivational Enchancement Therapy Manual]]에 기반하고 있다.

Motivational Interview

알콜 중독자 치료에서 시작된 면담 치료 기법이다.

기존에는 알콜 중독 치료를 할 때, 치료를 하기 위한 동기는 환자가 가져온다고 가정을 했다. 하지만 동기면담은 환자가 동기를 충분히 가지고 있지 않는 경우도 있다는 것을 가정으로 한다. 그리고 환자 스스로 치료 동기, 치료 방법 등의 실마리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고, 환자 자신의 선택을 존중한다. 기본적으로 Rogers상담의 기본신념을 따르는 것 같다. 하지만 중독 상담에 도움이 되는 방향에 대해서만 반향/강화를 하기 때문에 분류상으로는 지시적 상담 유형이다.

한국 음주문화 연구센터에서 발간한한국형 동기강화치료 프로그램 모델 개발에 대한 보고서가 있다. 이 보고서는 미국의 MATCH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작성된 Motivational Enchancement Therapy Manual에 기반하고 있다.

비자발적 내담자와 상담할 때 유용하다. 비교적 캐쥬얼하다. Coaching에도 활용할 수 있다.

Coaching할 때에도 적용할만한 요소가 많이 있다. 특히 고객의 동기수준이 낮을 때, 양가감정이 존재할 때 도움이 될 요소가 있을 것 같다. 살 빼기라던지 운동하기 같은, 하기 싫은데 또 하기는 해야겠는 경우가 코칭 주제로도 종종 나온다.

다섯 가지의 기본적인 동기유발의 원칙

  1. 공감을 표현하라
  2. 모순을 발전시켜라
  3. 논쟁을 피하라
  4. 저항을 타고 넘어라
  5. 자기-효능감을 지지하라


여러분이 배울 중요한 개념 중 하나가 MI(Motivational Interview, 동기면담)다. 이걸 애자일에서 주요 도구 중 하나로 쓴다. 증거가 거의 없는 심리치료와 달리, 동기면담은 과학적 증거가 넘쳐난다. 동기면담은 중독치료에 아주 좋다. 중독치료는 의사가 아무리 열심히 해도, 피치료자가 의지가 없으면 실패한다. 동기면담을 이용한 중독치료에 대한 연구에서 나온 중요한 개념이 Change Talk다. I want, I need, I should, I can이라는 말의 회수가, 그 사람이 그 행동을 실제로 할 확률과 큰 연관관계에 있다는 것이다. Change talk를 대화중에 많이 끌어낼 수 있다면 이 사람이 많이 변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MI의 핵심이다. 내가 누군가를 바꿔주고 싶어서 한참 대화했는데 대화중에 그 사람이 Change talk를 한 번도 얘기하지 않았다면, 그 사람이 변화하지 않을 확률이 아주 높다는 뜻이다. '자각'을 하면 보통 change talk가 대화에 나온다. A님이나 B님은 I can이 부족한 걸수도 있다. 그러면, I can을 스스로 끌어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작은 것부터 도전할 수도 있고, 나를 잘 믿어주는 사람에게 어려움을 얘기해서 위로받을 수도 있다. - 김창준 comment.


MotivationalInterview는 크게 두 단계로 구분된다. 변화를 위한 동기 구축과 변화 약속의 강화가 그것이다.

변화를 위한 동기 구축

대부분 환자들은 심사숙고 단계에서 치료에 들어오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여전히 양가감정을 가지고 있다. 한편에서는 현상 유지를 원하고, 다른 편에서는 변화를 원한다. 치료자의 임무는 변화하도록 추를 옮기는 것이다. 이런 목적을 위한 8가지 전략이 있다:

  1. 자기-동기 유발적 언급을 끄집어내기: 스스로 변화에 대한 이야기를 하도록 유도한다. 다음과 같은 말들이 포함된다
    1. X에 대한 정보를 받아들이는데 열려있음
    2. X와 연관된 현실적이거나 잠재적인 문제를 인정함
    3. 변화에 대한 필요나 욕구, 의지 등을 표현함
  2. 공감적 경청하기
  3. 질문하기
  4. 개인적인 피드백 제공하기
  5. 고객을 지지하기
  6. 저항 다루기
    1. 단순 반영
    2. 확대 반영
    3. 양면 반영
    4. 초점 옮기기
    5. 함께 구르기
  7. 재구성하기
  8. 요약하기

변화 동기를 유발한다는 측면에서, Coaching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 같고, ChangeManagement에도 활용 가능할 것 같다.

변화 약속의 강화


CategoryCoaching

MotivationalInterview (last edited 2020-12-02 14:45:31 by 정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