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강 실습리뷰
증발구름 (Evaporating Cloud)
구조를 익혀두고, 암기해두는게 좋다. 구조화된 사고.
이 5개의 칸을 잘 메꾸는 것이 구조화된 사고를 하는 것이고, 그렇게 하면 남들보다 현명하게 갈등을 해소할 수 있겠다.
구조화된 사고를 악기에 비유할 수 있는데, 드럼을 치는 분들이, 드럼의 위치를 머릿속에 정확히 기억하고, 그렇게 기억하도록 연습을 한다. 그렇기 때문에 박자가 정확하게 연주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우리도, 이 5개의 칸의 각 위치에 어떤 내용이 들어가야 할 것인가를, 드러머가 연습하듯이, 이 칸을 채우는걸 연습하는 것이다. 이것이 구조화된 사고.
어떻게 이런 연습을 할 것인가?
주장, 목표, 공통 목표.
위치는 눈에 들어오는데, 주장, 목표, 공통 목표를 적는다는게, 무엇을 적어야 하는 것인가? 그것까지 정확하게 인지하고 맞게 적어야 하는 것이다. 각 위치에 적는 방법까지를 안다.
증발 구름을 쓸 때, 문제가 두 가지가 있다.
- 자기 딜레마: 내가 하기 싫은 일, 하고 싶은 일
- 의견대립: 위에 상대방의 주장, 아래에 나의 주장을 적는다.
이 구조에 맞추어서, 이 칸에 나의 문제들을 적는데, 이걸 제대로 적었는지 못적었는지, 어떻게 적어야 하는가.
구름을 읽어가면서, 거기에 제대로 적혔는지를 본다. 읽는 방법이, 1단계. 2단계.
1단계
- ~~하기 위해서는 ~~가 필요하다.
실은 이것이 '필요조건 사고'. 필요조건 사고는, '결과에 대한 원인'을 생각하는 것. B가 결과이다. D가 원인이고. D는 B의 필수적인 원인이다. B하기 위해서는 D해야 한다. 없으면 안되는 것, 빠지면 안되는 것이다. 그러한 것을 찾는게 구름을 읽는 이유이다.
TOCfE를 수료하고 나서 끝까지 잊지 말고 활용해야 하는 것이, 필요조건 사고와 충분조건 사고.
- 목표나무는 필요조건 사고를 하고
- 가지에서는 충분조건 사고를 하고
- 구름에서는 필요조건 사고도 하고 충분조건 사고도 하고.
충분조건 사고는, 원인을 먼저 보고 그에 대한 결과를 보는 것이다. 이 원인이 야기하는 결과를 D를 먼저 한다면 C가 일어나는가? (추진이 방해되는가? 처럼 반대쪽으로 생각해보라.)
이런 훈련을 하기 위해서 실습을 하는 것이다.
It's not luck에 나온 구름.
주장에서 시작해서, 그걸 주장하는 명분을 찾아가는 것이다. 중간 명분, 그리고 대의 명분을 찾아가는 과정.
목표나무도 약간 비슷하다. 야심찬 목표를 설정하고, 중간목표를 찾고, 행동을 수립하고.
9-1. 가정 드러내기
지난 시간에 했었던, 공통목표-욕구-주장을 다시 확인해보고, 구름 읽는 방법을 따라 구름을 읽는다.
가정을 드러내는 방법을 알아본다. 가정을 드러낸 것 중, 논리적 유효성을 검토하는 방법을 알아본다.
구름을 읽는게 중요한 이유는, 구름을 읽으면서 가정을 드러낼 수 있다.
9-2. 주입 도출하기
교수님 후기
도구를 정확하게 사용하면서, 생활 속에서, 일 속에서, 생각의 깊이를 깊고 넓게 가져가시는 모습을 볼 때, 아름답게 느껴진다. 음악을 듣는 것 이상으로.
오늘, '가정'을 배웠다. 우리에게 익숙치 않은 용어인데. 한 가지 중요한 포인트. 가정은, 화살표에 대한 가정이다. 구름에 화살표가 5개 있다. 화살표라는게 뭐냐. 인과관계이다. 가정은, 왜 그런 인과관계가 성립한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이유를 적어야 한다. 적기 위해서 그냥 대충 적으면 별로 도움이 안되는 가정이 될 수도 있다. 아름다우려면 정확하게 적는게 중요하다. 인과관계에 대한 가정이다. 인과관계에 대해 설명하는거다. 화살표에 대한 설명이다.
실습을 하실 때, 관계 설명이 되느냐. 관계 설명이 되는것을 가정으로 적으라.
관계 설명이 뭐냐, 관계라는게 뭐냐. 화살표로 표시가 되는데. '연인관계'처럼. '왜 연인관계라고 생각하느냐'. 관계는 양쪽에 다 걸쳐있어야 되는 것. 'A는 예쁘다'는 한쪽에 대한 설명이다. 두 사람 모두의 관계에 대한 설명을 해야 관계를 설명하는거다.
구름에서, 화살표를 설명해야 한다. 관계를 설명하려면, 화살표에는, 양쪽이 걸쳐있어야 한다. B와 D라면, B, D 모두에 관련이 되어 있는 모양으로, 왜 B가 D의 특수적인 원인이 되느냐 같은 생각을 하면서, 그에 합당한 이유를 찾아보는 것이 가정을 찾는 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