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 Author's Note: The Concept of Living Structure
- Preface: On Process
- Part 1. Structure-Preserving Transformations
- Interlude
-
Part Two: Living Process
- 6. Generated Structure
- 7. A Fundamental Differentiating Process
- 8. Step-by-step Adaptation: Gradual Progress Toward Living Structure
- 9. The Whole: Each Step is Always Helping to Enhance the Whole
- 10. Always Making Centers: So that every center is shaped by then next step in the differentiation
- 11. The Sequence of Unfolding: Generative sequences are the key to the success of living process whenever complex structure is being formed
- 12. Every Part Unique: Finely tuned to circumstance that every part becomes unique
- 13. Patterns: Generic Rules for Making Centers or "Making life enjoyable"
- 14. Deep Feeling: The aim of every living process is, at each step, to increase the deep feeling of the whole
- 15. Emergence of Formal Geometry: Appearance, finally, of coherent form
- 16. Form Language and Style: How can human beings implement a geometrical differentiating process successfully?
- 17. Simplicity
- Part Three: A New Paradigm for Process in Society - Evolution towards a society where living process is the norm
- Conclusion
Author's Note: The Concept of Living Structure
1권의 기본 아이디어는 이것입니다: 무기물과 마찬가지로 유기물에서도 살아있는 구조와 살아있지 않은 구조를 구분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The basic idea of Book 1 is this: Throughout the world, in the organic as in the inorganic, it is possible to make a distinction between living structure and non-living structure.
엄밀히 말하면 모든 구조물에는 어느 정도의 생명력이 있습니다. 1권의 주요 업적은 이러한 구분을 정확하게 하고, 다양한 구조에서 발생하는 생명의 정도를 관찰하고 측정할 수 있는 경험적 방법을 제공한 것입니다. 아마도 가장 중요한 것은 1권에서 살아있는 구조에 대한 부분적인 수학적 설명을 제공함으로써 살아있는 구조의 내용, 기능적, 기하학적 질서를 현실의 확립되고 객관적인 특징으로 볼 수 있도록 한 것입니다. Strictly speaking, every structure has some degree of life. The main accomplishment of Book 1 is in making this distinction precise, in providing empirical methods for observing and measuring degree of life as it occurs in different structures. Perhaps most important, I gave in Book 1 partly mathematical account of living structure, so that we may see the content of living structure, its functional and geometric order, as an established and objective feature of reality.
문제는 인간이 어떻게 살아있는 구조를 만들 수 있을까요? 어떤, 인간이-영감을-받은 과정을 통해 살아있는 구조를 만들 수 있을까요? The question is, How is living structure to be made by human being? What kind of human-inspired processes can create living structure?
Real life created by a process in the caribbean
It should be repeated again and again, and understood, that the capacity of a society to create living structure in its architecture is a dynamic capacity which depends on the nature and character of the processes used to create form, and to create the precise sequence and character of the unfoldings that occur during the daily creation of building form and landscape form and street form.
For this purpose I shall, in the chapters of this book, move from the technical language of structure-preserving process to the broader and more intuitive language of living process. I shall define a living process as any process that is capable of generating living structure.
Above all, the living processes which I shall describe, are - as it turns out - enormously complex. The idea that all living processes are structure-preserving turns out to be merely the tip of a very large iceberg of hidden complexity. The subject of living process is a topic of great richness, which is likely to keep us occupied for centuries as we try to master its variety of meanings and its attributes and potentialities.
Preface: On Process
1. A Dynamic view of order
1권에서는 건물, 식물, 그림, 우리 자신의 얼굴과 손 등 우리 주변의 세계를 체계적으로 배열된 센터들이 있고 전체 안에서 상호 작용하는 필드와 같은 구조로 보도록 초대합니다. 구조가 살아 있을 때 우리는 그것에 반응하여 우리 자신의 살아 있는 메아리를 느낄 것입니다. Book 1 invited us to see the world around us - buildings, plants, a painting, our own faces and hands - as field-like structures with centers arranged in a systematic fashion and interacting within the whole. When a structure is living we will feel the echo of our own aliveness in response to it.
2권에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살아있는 구조가 어떻게 생성되는지 그 과정을 알아보는 다음 단계로 넘어갑니다; Book 2 takes the necessary next step of investigating the process of how living structure creates itself over time;
아이는 독창성과 완전성을 잃지 않고 어른이 됩니다 A child becomes an adult without ever losing uniqueness or completeness
도토리는 시작점과 끝점이 근본적으로 다르지만 참나무로 부드럽게 변신합니다. An acorn transforms smoothly into an oak, although the start and endpoint are radically different.
좋은 건물이나 도시는 살아있는 구조를 생성하는 살아있는 프로세스에 따라 펼쳐집니다. A good building or city will unfold according to the living process that generate living structure.
2권에서는 프로세스의 역할과 중요성, 그리고 프로세스가 살아 있는지 아닌지에 대해 생각해 보도록 초대합니다. 질서에는 본질적으로 동적인 것이 있기 때문에 순전히 정적인 용어만으로는 질서를 충분히 이해할 수 없다는 사실에 관한 것입니다. 살아있는 구조는 동적인 이해를 통해서만 실제로 달성 될 수 있으며 완전히 이해하고 도달 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질서의 본질은 그 근본적인 성격이 질서를 만들어내는 과정의 본질과 맞물려 있습니다. Book 2 invites us to consider the role and importance of process and how it is living or not. It is about the fact that that order cannot be understood sufficiently well in purely static terms because there is something essentially dynamic about order. Living structure can be attained in practice, and will become fully comprehensible and reachable, only from a dynamic understanding. Indeed the nature of order is interwoven in its fundamental character with the nature of the process which create the order.
질서를 동적으로 바라볼 때, 살아있는 구조라는 개념 자체가 변화를 겪습니다. 1권에서는 살아있는 구조라는 개념에 초점을 맞추었고, 기하학적이고 정적인 관점이었습니다. 2권에서는 펼쳐진 구조라는 개념에 기반한 두 번째 개념으로 시작합니다. 구조 자체에 대한 관점도 동적입니다. When we look at order dynamically, the concept of living structure itself undergoes some change. Book 1 focused on the idea of living structure, and the viewpoint was geometric, static. In Book 2, I start with a second concept, based on the idea of an unfolded structure. The point of view -- even for the structure itself -- is dynamic.
구조의 두 가지 개념은 상호 보완적인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결국 우리는 살아있는 구조와 펼쳐진 구조가 동등하다는 것을 알게 될 것입니다. 모든 살아있는 구조는 펼쳐져 있고 펼쳐진 구조는 모두 살아 있습니다. 그리고 저는 펼쳐진 구조의 개념이 *살아있는* 구조의 개념만큼이나 중요하고, 건축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고 믿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동일한 아이디어에 대해 정적, 동적이라는 두 가지 동등한 관점을 갖게 될 것입니다. The two conceptions of structure turns out to be complementary. In the end we shall see that living structure and unfolded structure are equivalent. All living structure is unfolded and all unfolded structure is living. And I believe the concept of an unfolded structure is as important, and should play as essential a role in architecture, as the concept of *living* structure. Thus we shall end up with two equivalent views -- one static, one dynamic -- of the same idea.
2. The necessary role of process
살아있는 건축물을 만드는 부품을 미묘하고 아름답게 조정할 수 있는 프로세스는 무엇일까요? 어떤 의미에서 답은 간단합니다. 건물 안에 있는 만 개의 살아있는 센터들을 하나씩 하나씩 만들어내거나 생성해야 합니다. 이것이 핵심적인 사실입니다. 그리고 만 개의 센터들이 살아있는 센터들이 되려면 전체 내에서 서로 아름답게 적응해야 합니다. 각 센터는 다른 센터들에 적합해야 하고, 각 센터는 다른 센터들에 기여해야 하며, 만 개의 센터들이 진정으로 살아있는 것이라면 일관되고 조화로운 전체를 형성해야 합니다. What process can accomplish the subtle and beautiful adaptation of the parts that will create a living architecture? In a certain sense, the answer is simple. We have to make -- or generate -- the ten thousand living centers in the bulding, one by one. That is the core fact. And the ten thousand centers, to be living centers, must be beautifully adapted to one another within the whole: each must fit the others, each must contribute to the others, and the ten thousand centers then -- if they are truly living -- must form a coherent and harmonious whole.
일반적으로 이 모든 것을 잘 수행하는 것이 건축가의 적절한 업무라고 생각합니다. 이것이 건축가가 해야 할 일입니다. 건축가는 이런 일을 하도록 훈련받았습니다. 그리고 이론적으로는 건축가가 할 줄 아는 일입니다. 건축가와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하는지는 예술의 신비의 일부라는 일반적인 믿음이 있으며, 이에 대해 너무 많은 질문을 하지 않습니다. It is generally assumed that doing all this well is the proper work of an architect. This is what an architect is supposed to do. It is what an architect is trained to do. And -- in theory -- it is what an architect knows how to do. There is a general belief that how it is done by the architect and others is part of the mystery of the art; one does not ask too many questions about it.
따라서 우리는 건축가의 능력이나 훈련보다 (설계와 시공의) 프로세스가 더 중요하고 건물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는 것을 알게 될 것입니다. 프로세스는 설계보다 건물의 생사를 결정하는 데 더 근본적인 역할을 합니다. Thus we shall see that processes (both of design and of construction) are more important, and larger in their effect on the quality of buildings, than the ability or training of the architet. Process play a more fundamental role in determining the life or death of the building than does the "design."
3. Order as Becoming
The waves of the ocean are the flowing product of the process of interaction between wind and water. ... In each case, the whole system of order we observe is only an instantaneous cross section, in time, of a continuous and ongoing process of flux and change.
일리아 프리고진이 여기서 나와? 자기조직화 참고.
4. Process, The Key to Making Life in Things
"Yes, this daily ordinary things is almost more important than the other."
But it is the two together: the daily pleasure, breathing in the smell of newly cut grass, with the deeper knowledge that goes with it that in this process he is making a living structure, up ther on the ridge of the Berkeley hills.
Once we recognize the possibility that some centers will be helpful to the life of an existing wholeness, while others will be antagonistic to it, we then begin to recognize the possibility of a highly complex kind of self-consistency in any given wholeness.
What is fascinating, then is the hint of a conception of value which emerges dynamically from respect for existing structure. We do not need any arbitrary or external criterion of value. The value exists within the unfolding of the wholeness itself. ... When the wholeness unfolds naturally, value is created.
That is the origin of living structure.
The further I went to understand the actual process which had been used to make the tile, the more I realized that it was this process, more than anything, which governs the beauty of the design. Perhaps nine-tenths of its character, its beauty, comes simply from the process that the maker followed. ... The design is indeed beautiful, yes. But it can only be made as beautiful as it is within the technique, or process, used to make it. And once one uses this technique, the design -- what appears as the sophisticated beauty of the design -- follows almost without thinking, just as a result of following the process.
The "design" of this beautiful work is not more than a tenth of what gives it its life. Nine-tenths comes from the process.
This gradual rubbing together of phenomena to get the right result, the slow process of getting things right, is almost unknown to us today.
5. Our Mechanized Process
반면 오늘날은, ...
They have been designed and constructed with no knowledge of the building at all; they are mentally and factually separate from its existence, but are brought into play only by a process of assembly.
The trouble is that it is mechanical process only, something which subverts the inner fire of true living process.
In a mechanistic view of the world, we see all things, even if for convenience, as machines. A machine is intended to accomplish something. It is, in its essence, goal-oriented.
For in fact, everything is constantly changing, growing, evolving.
Why is this process-view essential? Because the ideals of "design", the corporate broadroom drawing of the imaginary future, the developer's slick watercolor perspective of the future end-state, control our conception of what must be done - yet they bear no relation to the actual nature, or problems, or possibilities, of a living environment.
6. Possibility of a New View of Architectural Process
I shall argue that every good process in architecture, and in city planning also, treats the world as a whole and allows every action, every process, to appear as an unfolding of that whole. When living structure is created, what is to be built is made consistent with the whole, it comes from the whole, it nourishes and protects the whole.
We may get some inkling of this kind of thing by considering what it means to design a building, and to compare it with what it means to make a building.
More deeply, what it means for me to make a building is that I am totally responsible for it.
This is in marked contrast with the present idea of architecture, where as an architect I am desinitely not responsible for everything. I am only responsible for my particular part in the process, for my set of drawings, which will then function, within the system, in a strictly limited fashion that is shut off from the whole. I have limited responsibility.
When I make something, on the other hand, I am deeply involved with it and responsible for it. And not only I. ... In a good process, each person working on the building is -- and feels -- responsible for everything.
I shall prove that a process which is not based on making in a holistic sense, cannot create a living structure.
However, since the distinction between living process and non-living process has now become visible, and since, for the time being, we have no precise conception or definition of living process, it has become urgent that we try to get one.
.
Wholeness, defined structurally, is the inter-locking, nested, overlapping system of centers that exists in every part of space.
Part 1. Structure-Preserving Transformations
In the first four chapters I focus on the idea that a living process always has enormous respect for the state (and morphology and form) of what exists, and always finds a next step forward which preserves the structure of what exists, and develops and extends its latent structure as it creates change, or evolution, or development. This is the process which is "creative."
In chapters 1 and 2, I address these issues for cases in the natural world, and provide the outline of a tentative approach that helps us understand the unfolding of geometry in biology and physics. This theory provides the underpinning for what follows. In chapters 3 and 4, I turn my attention to the BUILT world, to towns and buildings and to the way the emergence of living structure in towns and buildings may be understoode within that context of theory.
1. The Principle of Unfolding Wholeness in Nature
1. Introduction
How does nature create living structure?
It is, in a more general sense, the character of all that we perceive as "nature". The living structure is the general morphological character which natural phenomena have in common.
What I call the living structure of nature is also largely governed by these fifteen properties and their interaction and superposition.
But why does living structure, with its multiplicity of centers and their associated fifteen properties, keep making its appearance in the natural world? Why and how, does living structure keep recurring in these widely different domains? What is the mechanics of the process by which living structure is made to appear, so easily, in nature? What is the process by which this kind of structure repeatedly, and persistently, occurs?
I start by trying to understand nature in a new way. Once we have that understanding, we may have a basis for thinking about architectural process and for creating a living world in the realm of architecture. In a good building, as in nature, there is also living structure. Each living center contains thousands of living centers; and the centers support each other in an intricate pattern.
"To learn how to create living structure in buildings, we had better start by looking at nature."
Note for the Scientific Reader
2. Structure-Preserving Transformations
1. Structure-Preserving Transformations
1장에서, 나는 모든 natural process가 어떻게든 "smooth"하다는 것을 소개했다.
process가 "smooth"하다는 것은 무슨 의미인가? 나는 smooth transformation을, preserve structure and wholeness한 transformation이라고 정의한다. 앞으로 이런 유형의 transformation을 structure-preserving transformation이라고 하겠다.
as a result of the repeated application of structure-preserving transformation to the wholeness which exists.
이 장의 스케치를 봐라.
매 단계마다, 추가(addition)나 주입(injection)이 있다. 어떠한 새로운 center가 도입된다. 하지만 이 새 센터는 foreign body처럼 무작위로 추가되지 않는다. It grows out of what was there before.
나는 존재하는 센터를 강화한다. 비록 그것이 처음에는 숨겨져 있고 약할지라도. 이 센터를 강화함으로써, 나는 센터들의 시스템 가운데 새로운 균형(balance)을 만들어낸다. 그리고 indeed disk를 통틀어 a modified system of centers를 야기한다. wholness가 변화했다. 센터들의 상대적인 강도가 변했기 때문이다. 그 센터들은 대단히 변하지 않았고, 살짝 변했다. 하지만 이 약간의 변화가 전체 구성의 wholeness를 바꾸었고, 그것은 우리가 강화를 했기 때문이고, 새로운 구조는 more highly differentiated than before has been created. 이것이 내가 구조-보존 변화라고 부르는 것이다.
D1->D2로의 변화를 살펴보자.
- 이 구조-보존 변화는 유일하지는 않다. 다른, 존재하며 숨겨져 있는 센터들이 강화되기 위해 선택될 수도 있었다. 하지만 그 선택지가 무한히 많지는 않다. 몇 개 되지 않는다.
- 새 구조는 이전의 텅 빈 원보다 조금 더 생명이 있다. 대단하지는 않지만, 조금, 하지만 알아챌 정도로.
- D2는, D1의 wholeness를 취하고, 그것을 강화하여 도달했다. 다른 말로, it arises from the structure as a whole, not from a fragmented portion of the structure. And it arises from a process that enhances and embellishes that whole.
- 이 rudimentary transformation에서도, 새로운 전체(whole)로서, D2가, emerge했고, 몇몇 15가지 속성들은 벌써부터 조금 강하게 나타나기 시작했다. 가운데 작은 원은 CONTRAST를 가지고 있고, GOOD SHAPE을 가지고 있고, 그것의 크기는 선택되었기 때문에, 그 주위의 빈 ring 공간은 BOUNDARY를 형성하는 등이다.
- 완전히 새로운 것은 어떤 것도 주입(injected)되지 않았다는 것에 주목하라. 새로움은 이미 존재하던 것을 강화하여 창조되었다. 그래서 그 과정(procedure)은 보존적(conservative. 기존에 존재하던 구조를 존중하기 때문에)이기도 하고 혁신적(innovative. 새로운 구조를 만들어냈고, 그것은 D1의 older structure에서는 보이지 않던 것이다)이기도 하다.
D2->D3, D3->D4, D4->D5, D5->D6, D6->D7 각각의 변화는 동일하게 동작했다. 앞의 다섯 가지 포인트는 매 단계에서 모두 일어났다.
2. Structure-Preserving Transformations Further Discussion
3. Structure-Preserving Transformations in Traditional Society
4. Structure-Destroying Transformations in Modern Society
Interlude
5. Living Process in the Modern Era: Twentieth-Century Cases Where Living Process Did Occur
Part Two: Living Process
6. Generated Structure
7. A Fundamental Differentiating Process
8. Step-by-step Adaptation: Gradual Progress Toward Living Structure
1. Introduction
모든 living process의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필수적인 특징(feature)은 점진적(gradualy)이라는 것일 것이다.
살아있는 구조는 천천히, 한 발짝 한 발짝씩 emerge한다. 그리고 프로세스가 한 발짝씩 진행되는 동안, 지속적인 피드백(continuous feedback)이 있어서, 프로세스가 시스템을 더 큰(greater) 전체성(wholeness), 응집성(coherence), 적응(adaptation)으로 이끌게 한다. 생물학자나 생태학자에게는 이것이 self-evident하다.
현대 건축은 이와는 반대이다. process of design도, process of construction도 이렇게 작동하지 않는다. 그 대신에,
- conception of a desired end-state (the design)이 있고,
- the system of architetural and constructional process가 작동해서 그 desired end-state를 효율적으로 '생산(producing)'한다.
- 그 과정에서, 처음에 정의했던 비용들을 모두 들여서 진행한다. 프로세스가 진행되는 동안 realistic feedback이나 improvement, adaptation은 없다. 구조를 변경하는 것은 거대한 변환을 필요로 한다.
어떤 경우에도, the core of all living process는, step-by-step adaptation이다 - the modification and evolution which happen gradually in response to information about the extent to which an emerging structure supports and embellishes the whole. It is a necessary, unavoidable core.
(어떤 면에서는, 고대의 건축들은 기술의 한계 등으로 인해서 매우 천천히, 그리고 여러 시대에 걸쳐서 점진적으로 이루어졌을테고, 그게 living structure를 담지하게 되는데 도움이 되지는 않았을까?)
2. Back to Generated Structure Once Again
living process에 대한 most fundamental thing은, the geometry of living structure는 markedly different in kind from the geometry of design done on a drawing board or on the drafting system of a computer.
수선화를 만든다고 생각해보자. 수선화에 있는 수십억개의 원자들을 미리 설계한 청사진에 따라서 원자 핀셋으로 하나하나 배열해서 수선화를 만들 수 있을까? 그렇게 만들어진 꽃은 죽어있을까 살아있을까?
짧게 말해서, 우리가 살아있는 수선화를 만들려면, 단순하게 구근을 심고, 그것을 자라게 할 것이다. 우리는 직관적으로, 그 growth process가 바로 수선화의 비밀이라는 것을 안다. 살아있는 꽃은 comes from the fact that it has unfolded, step by step.
(살아있는) 건물 만들기도 크게 다르지 않다. 그 경우에도, must be allowed to unfold. 그것은, 수선화와 같이, it must take form step by step, in real time, both before construction and during construction. living structure의 geometry는 정적인(static) 설계나 생산에 의해 만들어지지 않는다. 수선화에서와 같이, it can be created only by the unfolding process itself. ... it really must unfold, in real time.
물방울이 떨어지는 모양. 이것도 어떤 정적인 그림이나 설계로는 그 모양을 만들 수 없고, 공중에서 물방울이 떨어지면서 물리법칙과 끊임없이 영향을 주고받으며 변화하면서 만들어진다.
그 모양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왜냐면 시뮬레이션은, 최소한 원칙적으로는, may resemble the real process by creating a succession of adaptations that build up the shape gradually. 하지만 it cannot be created by a static, non-dynamic act of draftmanship or design. ... 그것의 shape은 동적(dynamically)으로만 만들어질 수 있다. The shape of the water drop has living structure, as defined by 1권에서의 criteria. It is also, from what I have just described, a generated structure, arrived at by unfolding.
우리 시대에 그러한 프로세스의 현대 버전을 가지려면, we must have a process in society that is capable of generating the form of building dynamically, step by step. This must be true both of the process of design and of the process of construction.
3. Getting Things Right
nessary process를 그려(visualize)보자. 문앞 계단을 제대로 만든다고 해보자. 되게 많은 것들이 고려되어야 한다. We may start to visualize the necessary process by considering what it means to build a front doorstep correctly. Suppose I want to make a front doorstep outside a house, and I want to make it just right.
예를 들어, 계단이 편안하게 걸을 수 있는 적당한 높이와 깊이인지 아닌지는 직접 밟아보지 않고는 알 수 없습니다. 하지만 시도해 보려면 걸을 수 있을 만큼 단단한 무언가가 있어야 합니다. (실제 조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서, 실험/시도를 해봐야 안다는 얘기) For example, I can't really tell if the step is just the right height and depth to walk onto comfortably without trying it out. But to try it out I must have something which is solid enough to walk on.
돌이나 벽돌, 블록을 이용해 어떤 것이 적당한지 스스로 알아낼 수 있습니다. 나무 덩어리로도 할 수 있고, 테스트할 수 있는 거의 모든 것을 사용하여 편안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런 다음에야 계단을 만들 수 있습니다. 또는 계단을 '만드는 동안'에도 똑같이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블록이나 벽돌을 깔고 확인한 다음 너무 낮은 것 같으면 위에 모르타르를 1인치 더 얹고, 너무 짧은 것 같으면 반 블록 깊이를 더 추가하여 조정할 수 있습니다. 어떤 경우에도 조화로운 무언가를 원한다면 실제로 계단을 만들고 구체적으로 구체화하는 과정과 그것을 파악하고 점차적으로 무엇을 해야 할지 알아내는 과정을 분리할 수 없습니다. (이런 저런 재료들을 가지고 만들어보고, 느낌을 보고, 편안한지 확인해보고.) I can get an idea of what feels right by using stones or bricks or blocks to help myself find out what seems to work. I can also do it with lumps of wood, with anything almost that gives me some opportunity to test it out, and check it for its comfort. Then I can build the step. Or I can do the same even while I am building the step: for instance, I can lay a course of block or brick, then check it, and then adjust it with an inch of mortar on top if it seems too low, or with an extra half-block of depth if it seems too short. At all events, if I want something harmonious, I cannot separate the process of actually building the step, and of having it materialize concretely, from the process of figuring it out and gradually finding out what to do.
이 프로세스들은 살아있는 센터들(living centers)의 탄생(creation)에 직접 맞닿아 있다. 문앞 계단을 만드는 동안, I am trying to make each part of it a living center. 예를 들자면, 그건 이런걸 의미한다. 맨 윗 계단을 a strongly felt center로 만들 수 있는 정확한 깊이와 너비를 찾고 싶다고 하자. 그러기 위해서는, 이 strong centeredness of the top step은 is created out of the wholeness of 그것을 둘러싼, 나는 반드시 문자적으로 "get" the step - 그것의 크기, 모양, 높이 - from the surroundings, and from the wholeness of the surroundings. These processes tie in directly with the creation of living centers. As I make the doorstep, I am trying to make each part of it a living center. That means, for instance, I want to find the exact depth and width which make the top a strongly felt center. To do it, since this strong centeredness of the top step is created out of the wholeness of what surrounds it, I must literally "get" the step - its size, shape, height - from the surroundings, and from the wholeness of the surroundings. The existence of the step as a center comes about as a function of the centers in the path, wall, garden, ground, and trees all around. It arises from the wholeness of these existing centers in such a subtle way that I could never hope to get it right merely by studying drawings of the surrounding centers, or from memory, or from any other indirect method. It is only when I am actually standing inside the wholeness of what exists that I can reliably create a step which will be a true living center inside this wholeness.
따라서 이 작은 사례 하나라도 살아 있는 센터를 만들려면 실제 장소에서 시도해야 하고, 시도하는 동안 생각해야 합니다. 이런 동적인 과정은 모든 살아 있는 센터들을 만들기 위해 반드시 진행되어야 하는 과정입니다. Thus to create a living center at all -- even in this one tiny case -- I must try to do it in the actual place, and be thinking while I do it. Such a dynamic process is a necessity which must be going on in order to make living centers at all.
따라서 완전히 적응된 세계를 얻으려면 동일한 원리를 백만 배나 큰 사물을 포함하여 모든 규모에 적용하도록 확장해야 합니다. So, to get a fully adapted world, the same principle has to be extended to cover all scales including even things which are a million times as big.
4. Step-By-Step Adaptation
수천 번의 적응을 수행해야 하는 적응 프로세스의 실제 난이도를 파악하려면 변수가 30개인 작은 시스템을 상상해 보세요. 각 변수의 상태를 동전으로 표현하고, 앞면이 앞면일 때는 성공적으로 적응하고 뒷면일 때는 적응에 실패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제 목표는 서른 개의 동전을 모두 앞면이 위로 향하도록 테이블 위에 올려놓는 것입니다. 이제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두 가지 가능한 접근 방식을 고려해 보겠습니다: To grasp the real difficulty of an adaptive process in which thousands of adaptations have to occur, imagine a small system with thirty variables. Let us say that the state of each variable is represented by a coin, successfully adapted when it is heads, unsuccessfully adapted when it is tails. My goal is to get all thirty coins lying heads up on the table in front of me. Now, consider two possible approaches to achieving this goal:
- The All-Or-Nothing Approach
- The Step-By-Step Approach
단계별 접근 방식은 동작합니다. all-or-nothing 접근 방식은 동작하지 않습니다. 이것이 바로 생물학적 진화의 비밀입니다. 진화의 과정에서 하나의 성공적인 유기체를 만들기 위해 발생해야 하는 수천, 수백만 가지 변수의 적응은 본질적으로 한 번에 하나의 유전자씩 단계적으로 일어납니다. 이것이 바로 진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입니다. 자연이 유기체처럼 복잡한 시스템을 한 번에 '설계'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The step-by-step approach works. The all-or-nothing approach does not work. This is the secret of biological evolution. During the course of evolution, the adaptation of the thousands and millions of variables that must occur to make one successful organism happens step by step, essentially one gene at a time. That is what makes evoluiton possible. It would be impossible for nature to "design" a system as complex as an organism all at once.
건물을 설계하고 건축할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건물이 잘 적응하고 살아있는 구조를 갖추려면 말입니다. 건물에는 너무 많은 측면과 너무 많은 변수가 있습니다. 한 번에 한 가지 측면만 해결하지 않으면 건물의 각 측면을 제대로 구현할 수 없습니다. 30개의 동전이 모두 앞면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로 이러한 방식이지만, 건물에서는 설계와 시공 과정에서 '수천' 개의 변수를 하나씩 차례로 처리할 수 있어야 합니다. The same must happen when a building is designed and built, if it is to be well adapted and to have living structure. A building has too many aspects, too many variables. We cannot get each aspect of the building right unless it is possible to work out one aspect at a time. This is how we get the system of thirty coins to be all heads, except that in a building it it must e possible to do this for thousands of variables, one after the other, both during design and construction.
그렇다면 건축 환경이 올바르게 만들어지고, 사회에 적응하고, 건물과 거리를 올바르게 만들 수 있는 능력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충족되어야 하는 간단한 조건이 있다고 추론할 수 있습니다. 프로세스는 모든 규모(at all scales)와 모든 레벨(at all levels)에서, 구조물 전체에서 발생하는 살아 있음의 정도(degree of life)에 대한 진단(assessments), 수정 및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방식으로 점진적으로 진행되어야 합니다. 이 프로세스는 구상, 설계 및 시공 전반에 걸쳐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그리고 이 프로세스는 모든 규모의 건물과 건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광범위하게 적용되어야 합니다. We may infer, then, that to make things come out right in the built environment, to bring adaptation into society and to regain our capacity to make buildings and streets just right - there is a simple condition that must be met. The process must go gradually, in a way that allows assessments, corrections, and improvements to be made about the degree of life which occurs throughout the structure, at all scales and at all levels. This process must occur continually throughout conception, design and construction. And the process must be sufficiently widespread to affect all scales of building and construction.
5. Feedback
물론 단계별로 진행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단계별 적응의 일환으로 '피드백' 프로세스도 반드시 필요합니다. Of cource, it is not enough merely to go step by step. As part of the step-by-step adaptation, there must also be a feedback process.
따라서 잘 작동하려면, 살아있는 프로세스는 단순히 단계별로 이루어져서는 안됩니다. 한 걸음 한 걸음 나아갈 때마다 발생할 살아있음의 증가를 한 번 확인하고, 있으면 받아들이고, 없으면 거부할 수 있는 종류의 피드백이 '내장된(built-in)' 단계적이어야 합니다. So, to work well, a living process must not merely be step by step. It must be step by step with a built-in feedback of such a kind that each step taken can be checked at once for the increase of life which will occur, accepted if it has it, rejected if it does not.
설계를 할 때는 일반적으로 설계도부터 시작합니다. 이 도면은 복잡하기 때문에 보통 수천 개는 아니더라도 수백 개의 결정 사항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의사 결정을 서로 분리하면 그 중 어느 하나도 테스트되지 않은 채 종이 위에서 이루어집니다. 물론 어느 단계에서 도면이 고객에게 보여지고 고객은 완성된 전체에 대해 의견을 제시할 수 있는 권리가 있습니다. 하지만 그때가 되면 밑그림의 윤곽은 거의 정해져 있고, 아직 테스트되지 않은 수백 개의 의사 결정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디자인이 탄생하기까지의 백여 단계 중 어느 하나도 테스트되지 않은 경우가 많았고, 건축가인 우리도 단계별로 실제 피드백을 줄 수 있는 현대적인 디자인 방법을 사용할 수 없었습니다. During design, typically, we start with a schematic drawing. This drawing, being complex, usually contains hundreds (if not thousands) of decisions. Yet these decisions, if we separate them from one another, have been made on paper without one of them being tested. Of course, at some stage the drawing is shown to the client, and the client has the right to comment on a completed whole. But by that time, the drawing, in its outline, is all but set, containing hundreds of untested decisions. Often not one of the hundred steps which led to its creation has been tested, nor have we, the architects, had available to us a contemporary method of designing which can give us real feedback, step by step, as we work it out.
고객으로부터의 코멘트는 있습니다. 그도 또한 사무실 안에 있는 사람입니다. 하지만 제안된 건물의 실제 동작에 대한 진정한 피드백은 거의 없습니다. ... 그러나 설계된 대로 현재 구성이 실제로 설계자가 원하고 믿고 있는 기능적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경험적으로 테스트되었습니까? There are comments from the client, from others in the office, and so forth. But little true feedback about the actual behavior of the proposed building. ... But have they been tested empirically to see if the current configuration, as designed, actually has these functional features that are wanted and believed in by the designer?
(3d modeling을 한다고 할 때) 이러한 디자인 프로세스가 피드백을 통해 단계적으로 진행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일이 일어나야 합니다: 지속적으로, 설계를 진행하면서 완성된 홀의 실제 경험에 충분히 근접한 3차원 형태로 홀을 모델링해야 하며, 이 모델을 통해 분위기, 느낌, 음향 등에 대해 현실적인 판단을 내릴 수 있고, 진행하면서 3차원 형태의 개선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In order to make such a design process go step by step with feedback, the following thing would have to happen: continuously, while making the design, we would have to model the hall in a three-dimensional form sufficiently close to a person's real experience of the finished hall, so that this model would enable us to make realistic judgments about atmosphere, feeling, acoustics, etc., and would help us to make improvements in the three-dimensional form as we go along.
그러나 복잡한 건물 공간이 그 안에 있는 사람들에게 미치는 효과는 더 복잡하며, 현재로서는 정량화할 수도 없고 컴퓨터 시뮬레이션의 3차원 이미지와 슈퍼그래픽을 통해 확실하게 경험할 수도 없습니다. 따라서 아무리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해도 우리가 알고 싶은 것, 즉 "어떤 느낌이고,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답을 얻을 수 없습니다 이런 종류의 피드백이 없으면 건물의 느낌을 강화할 수 없기 때문에 건물을 크게 개선할 수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현대적인 방법으로 건물 디자인을 만드는 것이 우리에게 깊은 영향을 미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But the effect of a complex building space on the people in it is more complex; it is not, at present, quantifiable, nor is it reliably experienced by means of three-dimensional images and supergraphics in computer simulations. As a result, no amount of computer simulation tells us what we want to know, which is, "How does it feel, what is its visceral effect on us?" In the absence of this kind of feedback, the building cannot be significantly improved because its feeling cannot be intensified. That is why the creation of a building design, by contemporary means, only very rarely succeeds in having a profound effect on us.
이 문제에 대한 실용적인 해결책이 있습니다. 도움이 되는 한 가지 접근 방식은 간단하고 저렴하며 빠르게 테스트, 수정, 테스트, 수정, 수정을 거듭하여 좋은 솔루션이 발전할 수 있도록 하는 일련의 종이 및 판지 모형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아주 간단하고 의도적으로 거친 종이와 판지 모형이 효과적입니다. 찢고, 자르고, 테이프로 붙이고, 붙이고, 붙여나가면서 모델을 계속 개선해 나가면 됩니다. 너무 조잡해서 잘라도 상관없고 테이프, 스크랩, 조각, 조각이 전체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을 정도로 거칠게 만든 모형이 있는 경우에만 이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오늘날 이러한 모델은 디자인 목적으로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 모델은 프레젠테이션에 매우 자주 사용되지만 이는 디자인이나 피드백에 기여하지 않는 또 다른 문제입니다. There are practical solutions to this problem. One approach that helps is the use of a long series of simple, cheap, quick, paper and cardboard models which can be tested, modified, tested, modified, rapidly, one after the other, so that a good solution has a chance to evolve. Very simple, intentionally rough paper and cardboard models do work. You tear, cut, tape, patch, and paste as you go, making the model better all the time. You can only do this if you have a model so crude that you don't mind cutting into it, and so roughly made that tape, scraps, bits, and pieces do not distract from the effect of the whole. In today's practice, such models are rarely used for design purpose. Models are very often used for presentation, but this is quite another matter, one that does not contribute to design or feedback.
6. The Result Must Be Unpredictable
단계별 프로세스에서 피드백을 의미 있게 만들려면 프로세스의 끝이 열려있어야(open-ended) 하며, 따라서 부분적으로 예측할 수 없어야 합니다. 고정되고 미리 결정된 최종 상태가 없어야 합니다. 이는 적응 과정에 대응하여 변경할 수 없다면 적응 자체가 아무런 의미가 없기 때문에 필요합니다. 정의상 이러한 변화는 예측할 수 없습니다. To make the feedback meaningful in a step-by-step process, the process must be open-ended, hence partly unpredictable. It must lack a fixed, predetermined end-state. This is necessary because adaptation itself means nothing if changes cannot be made in response to the process of adaptation. By definition, such changes cannot be foreseen.
그러나 적응과 피드백이 작동할 때는 결과를 예측할 수 없어야 합니다. 최종 결과는 아직 알 수 없다는 암묵적인 인식이 있어야 합니다. But when adaptation and feedback are working, the result must be unpredictable. There must be tacit recognition that the end-result is not yet know.
이는 설계 과정에서 건물 프로젝트의 최종 결과를 예측할 수 없어야 한다는 의미뿐만이 아닙니다. 당연한 말입니다. 하지만 살아있는 구조를 효과적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시공 과정에서도 예측할 수 없어야 합니다. This means not only that the end-result of a building project ust be unpredictable during design. That is obvious. But to be effective in creating living structure, it cannot help also being unpredictable during construction.
집의 창문을 생각해 보세요. 방을 건강하게 만들려면 창문은 방에 좋은 빛을 만들어야 하고, 근거리 및 원거리 전망과도 좋은 연결을 만들어야 합니다. 하지만 "좋은" 연결이란 무엇일까요? 그것은 실제 상황의 중요한 사소한 부분에 달려 있습니다. 집의 틀을 짜고 있는데 새로 나온 방 중 하나에 서 있으면 외부의 실제 풍경이 어디를 바라보게 만드는지 정확히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순간 바깥 풍경이 나에게 말을 건네는 정확한 방식은 매우 미묘합니다. 나무의 단풍, 하늘의 밝기, 외부에서 들려오는 소리, 멀리 보이는 산봉우리의 유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Consider the windows in a house. In order to make rooms wholesome, the windows must create good light in the rooms, and must also create a good connection with near and distant views. But what is a "good" connection? It depends on important minutiae of the real situation. If a house is being framed, and I stand in one of the emerging rooms, I will see exactly where the actual landscape outside makes me inclined to look. But the precise way that the landscape outside speaks to me, at that moment, is very subtle indeed. It may depend on the foliage on the trees, on the brightness of the sky, on the sound which comes from the outside,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distant mountain peak.
이런 종류의 판단은 '현실 세계에서만 잘 할 수 있'습니다. 아무리 세심한 건축 도면이라도 이런 미묘한 차이를 반영할 수는 없습니다. 판단을 내리는 데 필요한 정보에는 건물 계획을 세울 당시에는 존재하지도 않는 기초, 벽, 건물 질량의 전체가 포함됩니다. 이러한 판단을 정확하게 하려면 실제 건물이, 그것이 진행중일 때, 필요합니다. This kind of judgement can only be made well in the real world. No detailed architectural drawing, no matter how careful, can reflect this kind of subtlety. The information needed to make the judgement includes the wholeness of the foundations, walls, building mass - which do not even exist at the time the building plans are made. You need the real building, in its emergent state, to make this judgement accurately.
발생학 이론의 최근 발전, 특히 소위 나비 효과는 다양한 맥락에서 제가 여기서 말하는 내용을 뒷받침합니다. 나비 효과의 핵심은 다음과 같습니다: 복잡한 자연계가 진화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진화의 다음 단계는 이전 단계에 따라 달라집니다. 19세기 기계론적 과학은 이전 단계로부터 다음 단계를 쉽게 예측할 수 있는 사고 모델을 만들었습니다. 하지만 세상은 기계적인 사고 모델과 다르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보다 정교한 발견을 통해 복잡한 시스템에서 다음 단계는 전체의 현재 구성에 따라 달라지며, 이는 다시 이전 전체의 역사에서 미묘한 세부 사항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시스템의 경로를 미리 정확하게 예측할 수 없는 "흔적과 같은" 상태라는 것이 분명해졌습니다. Recent advances in the theory of morphogenesis, especially the so-called buterfly effect, support what I am saying here, in a wide variety of contexts. The essential point of but butterfly effect is something like this: If we examine a complex natural system evolving, each next stage of its evolution depends on its previous stage. Mechanistic 19th-centry science created a thought-model in which the next stage would be easily predictable from the previous stage. But it turns out that the world is not like the mechanical thought-model. More sophisticated discoveries have made it clear that in a complex system the next stage is dependent on the current configuration of the whole, which in turn may depend on subtle minutiae in the history of the previous wholes, so "trace-like" that there is no way to predict the path of the emerging system accurately ahead of time.
이 새로운 유형의 이론의 핵심은 작은 차이에서 최종 결과의 매우 큰 차이로 이어지는 다양한 진화 경로가 바로 제가 주장하는 살아있는 구조를 짓는 일에서 일어나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과 정확히 일치합니다. 건물을 짓는 동안 창을 정확하게 인식(그리고 처리)하면 처음에는 사소한 차이로 이어질 수 있지만 몇 단계만 거치면 완전히 다른 큰 구성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런 의미에서 하나의 작은 세부 사항이라도 상황과 가장 조화를 이루는 필요한 전체를 완전히 바꿀 수 있으며, 이러한 차이는 전체가 펼쳐질 때만 역동적으로 볼 수 있습니다. The key point of this new type of theory - divergent evolutionary paths leading from tiny differences to very large differences of end result - is exactly the one which I argue must occur in building living structure. Accurate perception (and treatment) of a window during the construction of a building may lead, at first, to minor differences but, within a few steps, to entirely different larger configurations. In this sense, even one small detail can completely change the necessary whole which is most in harmony with the situation, and this difference can only be seen dynamically as the whole unfolds.
또한, 창을 달리하면 다음 단계에서는 더 큰 차이가 발생합니다. 어떤 창문은 집 내부에 문을 한 방향으로 배치해야 할 수도 있고, 다른 창문은 내부 칸막이를 이동하고 문을 완전히 없애는 계획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세 번째 단계(실제 시공까지는 아직 몇 주밖에 남지 않았습니다.)에서는 건물 내부의 전개 방식에 따라 사람들의 동선 구성, 정원, 건물 전체 영역의 인공 채광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살아있는 구조의 핵심인 센터 분야는 본질적으로 매우 미묘하여 동적으로만 생성될 수 있으며, 최종 상태에 대한 정확한 정의가 본질적으로 예측할 수 없습니다. What is more, the window which is different then leads to an even larger difference at the next step. One window may require a door inside the house to be placed one way; another may require a plan which moves the internal partition and does away with the door altogether. And then, at a third stage - still only a few weeks away in real construction time - this divergence in the unfolding of the building interior could have results for the organization of people's movement through the building, or for gardens, or for artificial light throughout an entire region of the building. Thus the field of centers which is at the very heart of living structure - is inherently so subtle that it can only be created dynamically, and is inherently unpredictable in the precise definition of its end-state.
7. Unfolding of a Painting by Matisse
저는 독자들에게 현대의 맥락에서 단계별 적응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그래픽 이미지를 남기고 싶습니다. 마티스의 그림 한 점의 진화 과정에서 일어난 단계별 적응을 보여줌으로써 이 작업을 수행하겠습니다. 다음 장에서 다룰 내용을 미리 맛볼 수 있습니다. I should like to leave the reader with a graphic image of what step-by-step adaptation means in the context of our modern era. I will do this by showing step-by-step adaptation as it occurred in the evolution of one painting by Matisse. It gives a foretaste of what is coming in the following chapters.
약 10분 동안 그가 작업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이 단편 영화에서 가장 흥미로운 점은 그의 손과 붓이 춤추는 듯한 느낌을 준다는 점입니다. 손은 캔버스 위에서 떨리면서 맴돌고 있습니다. 때때로 손이 아래로 내려가 캔버스에 닿기도 합니다. 그런 다음 손이 다시 위로 올라가 그림 위를 맴돌며 진동하고 춤을 춥니다. 그는 그림에서 가장 시급하게 다음 중심이 필요한 부분을 찾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런 다음 몇 초 더 떨리는 동작을 한 후 다시 그 부분을 찾고 손이 내려가고 붓이 그림에 닿아 또 다른 중심이 형성됩니다. 그런 다음 손이 다시 일어나고 떨리는 진동 동작이 다시 한 번 시작되고 다시 한 번 아래로 내려가 다음 중심을 형성하는 표시를 만듭니다. 그의 손은 기이할 정도로 확실합니다. 그는 보고, 듣고, 보고, 찾은 다음 곧바로 손이 내려가서 표시를 합니다. 몇 번이고 반복해도 그 과정은 동일합니다. What is fascinating about the short film, which shows him working for about ten minutes, is the dance-like quality of his hand and his brush. The hand hovers, quivering, above the canvas. Every now and then, it dips down, and he touches the canvas. Then the hand goes up again, and hovers, oscillating, dancing, above the painting. He seems to be looking for that part of the painting which most urgently needs the next center. Then, after a few more seconds of this quivering motion, he finds it again, the hand goes down, the brush touches the painting, and another center is formed. Then his hand rises again, and the quivering, oscillating motion starts once more, until once more, it dips down to make the mark which forms the next center. His hand is uncanny in its certainty. He looks, listens, watches, finds, then his hand goes straight down to make the mark. Again and again and again, the process is the same.
이 과정에서 가장 흥미롭고 아마도 가장 중요한 것은 그림의 '건축'이 펼쳐지는 것입니다. 이 여덟 장의 스틸에서 우리는 건축이 어떻게 펼쳐지는지, 그리고 놀랍게도 그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The most fascinating and perhaps most important thing about this process is the unfolding of the architecture of the painting. In these eight stills, we see how, and show suprisingly, the architecture unfolds.
그가 한 걸음 한 걸음 움직일 때마다 끊임없이 맴돌며 떨리는 손의 진동을 보여줄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 그가 생각할 때에도 그의 붓은 떨립니다. 그런 다음 한 발자국을 내딛기 위해 아래로 내려가 항상 떨고, 다시 후퇴하고, 다시 떨면서 더 생각합니다. I wish I could show the incessant hovering, trembling vibration of his hand, as he moves from step to step. Even when he is thinking, his brush quivers. Then it darts down to do a step, all the time quivering, then retreats, quivering again, while he thinks some more.
1단계에서는 POSITIVE-SPACE 변환으로 시작합니다. 반대쪽 페이지에서 볼 수 있듯이 여성의 머리 윤곽은 부분적으로만 존재하며, 이미 그려진 줄무늬의 포지티브 공간으로 둘러싸인 빈 캔버스로 형성되어 있습니다. 그것은 이미 놀랍습니다. 머리 자체에 너무 좁게 집중하는 사람이 할 수 있는 방식이 아니니까요. 그러나 이것은 살아있는 과정에 필요한 것이며 그림을 진정한 건축물에 맡기는 것입니다. 로마의 놀리 계획의 공간에서와 같이 공간에 대한 집중은 아름답고 질서 정연한 전체를 위한 길을 열어줍니다. In step 1, it starts with the POSITIVE-SPACE transformation. As shown on the opposite page, the outline of what is to be a woman's head is only partially present, formed as a void of blank canvas surrounded by the positive space of the stripes already painted in. That is already a surprise. It is not the way a person concentrating too narrowly on the head itself would go about it. Yet it is this which is needed by a living process, and this which commits the painting to a true architecture. Concentration on space, as in the spaces of the Nolli plan of Rome, paves the way for a beautiful and ordered whole.
마티스는 2단계로 넘어가면서 BOUNDARY를 형성합니다. 실제로 그는 얼굴을 어둡게 하여 나중에 머리카락이 있을 밝은 공간을 형성합니다. 다시 말하지만, 지배하는 것은 공간이며, 여자의 얼굴이 될 어두운 덩어리는 이 단계에서는 거의 이상하게 보이지만 빛의 경계, 즉 머리카락이 될 프레임에서 아키텍처를 형성합니다. As Matisse moves to step 2, he forms a BOUNDARY: actually, he darken the face, forming now a light space where later the hair will be. Again, it is the space which governs, and the dark mass which will be the woman's face looks almost strange at this stage, yet it forms an architecture in the frame of the light boundary, that is the hair-to-be.
3단계에서 마티스는 나중에 부풀어 올라 눈이 될 작은 어두운 선을 임시로 배치합니다. 이 선은 얼굴을 두 영역으로 나누고 주로 곡선형 눈썹의 형성을 지배하는 것은 GOOD-SHAPE의 변형입니다. In step 3, Matisse tentatively places small dark lines which will swell later to become the eyes: these lines divide the face into two zones, and it is the GOOD-SHAPE transformation that mainly governs the formation of the curved eyebrow.
4단계에서는 얼굴의 주요 선이 어둡게 터치되어 이제 확장된 구조를 형성합니다. 이 선들은 얼굴의 볼륨에 일관된 구조를 형성하기 때문에 여성을 연상시키지 않습니다. In step 4, we seethe main lines of the face, darkly touched in, forming now an extended architecture. These lines are not so much reminiscent of the woman as they form a coherent architecture in the volume of the face
5단계에서는 코와 눈을 더 강렬하게 그려서 내부 구조가 의미를 갖기 시작합니다. 갑자기 머리카락이 들어오고, 꿈틀거리는 컬 덩어리가 어둡고 확실하게 터치됩니다. In step 5, the nose and eye are more intensely drawn, so that their own internal architecture begins to means something. Suddenly, the hair comes in, a writhing mass of curls, darkly and definitively touched in.
6단계에서는 경계에서 더 많은 일이 일어났습니다. 이제 여성의 컬들로 센터들이 만들어졌습니다. 얼굴보다 어두운 이 어둠이 양과 음을 반전시키고 지금까지 머리카락의 공간이었던 밝은 경계 안에 이 컬의 구조를 배치하기 때문에 이것 역시 놀랍습니다. 여기서 컬이 의자의 줄무늬를 배경으로 어떻게 건축물을 형성하는지 볼 수 있습니다: 머리카락에서 말하는 빛은 그녀의 머리와 벽을 연결합니다. In step 6 more has happened in the boundary - now made of centers which are the woman's curls. This, too, is surprising, since this darkness, darker than the face, reverses the positive and negative, and places the architecture of these curls within the light boundary that was the space of the hair up until now. We see here how the curls form an architecture with the stripes of the chair behind: The light speaks in the hair connect her head to the wall.
7단계에서는 여성의 턱 아래에 선이 그려져 이제 머리가 몸과 가슴에서 선명하게 돋보이게 하고 가슴의 흰색 선도 부조로 배치하여 전체가 입체적으로 만듭니다. In step 7, a line is drawn under the woman's chin, now clearly making her head stand out from her body and her chest, placing also the white line of her breast in relief, making the whole three-dimensional.
8 단계에서는 얼굴 측면에 추가 컬과 컬을 추가하여 어깨 위로 랩핑하고 머리 구조를 완성합니다. In step 8, the side of her face gets additional curls and tresses, lapping over her shoulder and completing the structure of the head.
전체적으로 마티스의 떨리는 집중력, 즉 붓의 유희와 붓에 대한 피드백은 거의 춤을 추며 단계적으로 건축물을 형성합니다. 놀라운 것은 얼굴이 살아 있는 정도와 15개 변형을 통해 얼굴에 건축물이 형성되는 정도입니다. 고대 건축가들은 알고 있었지만 오늘날 사용되는 프로세스가 더 이상 살아있는 프로세스가 아니기 때문에 우리 중 너무 많은 사람들이 잊어 버린 아키텍처입니다. Throughout, the quivering, focused attention of Matisse's brush - the play of brush and feedback to the brush - nearly dances and forms the architecture, step by step. What is remarkable is the extent to which the visage lives, and the extent to which an architecture is formed in the face by means of the fifteen transformations. It is an architecture which ancient builders knew, but which too many of us have now forgotten - because the process used today is not a living process any more.
8. Architectural Implications
마티스의 성공적인 프로세스와 오늘날의 전문 건축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실패한 프로세스의 본질적인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스키드모어, 오윙스 앤 메릴과 같은 대형 상업 사무소의 건축가가 자신의 설계를 그리면서 자신이 하고 있는 일이 마티스 프로세스와 똑같다고 주장한다고 가정해 봅시다. 대답할 수 있을까요? 한 프로세스와 다른 프로세스 사이에 객관적인 차이가 있을까요? What is the essential difference between Matisse's successful process and the unsuccessful process typical of our professional architecture today? Suppose an architect at a large commercial office like Skidmore, Owings & Merrill is drawing his design, and then makes the claim that what he is doing is just like the Matisse process. Can we answer? Is there an objective distinction between the one process and the other?
중요한 차이점은 피드백이 없다는 것입니다. 마티스의 프로세스에서 각 단계는 이전에 존재했던 현실에서 한 걸음씩 나아가는 과정입니다. 다음 단계는 실제 그림의 현실이 드러날 때 피드백을 받고 그에 대한 반응으로 이루어집니다. 이것이 작업을 계속 진행하게 하고 더 나은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원동력입니다. 마티스가 실제 그림을 보고 있고 그의 손이 그림 위에 떠 있습니다. 그는 실물에 반응하여 색을 한 점 더 떨어뜨립니다. 마티스의 모든 움직임은 실물의 직접적인 피드백에 대한 반응이며, 진화하는 그림이 만들어내는 전체적 느낌에 대한 반응입니다. 따라서 이 과정은 실제 그림을 항상 더 좋게 만들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합니다. The critical difference is the absence of feedback. In Matisse's process, each step is a small step forward from a previously existing reality. The next step is taken as feedback and as a response to the reality of the actual painting, as it emerges. That is what keeps the thing on track, and what keeps making it better. Matisse is watching the actual painting; his hand is hovering over it. He drops down one more spot of color, in response to the real thing. Each move he makes is response on the direct feedback from the real thing, and the real feeling as a whole, which the evolving painting creates. The process therefore has a good chance of making the real painting better all the time.
건축가가 테이블이나 컴퓨터에서 그림을 그리는 것은 완전히 다른 경우입니다. 건축가는 건물을 그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 건물이 형성되는 것이 아니며, 실제 건물이 궁극적으로 사용자의 마음속에 만들어낼 것과 같은 느낌과 감각을 만들어내는 데 근접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도 아니기 때문에 건축가는 그림을 그리는 동안과 자신이 그린 것을 통해 실제 건물이 지어지면 실제 건물에서 실제로 어떤 일이 일어날지 알 수 없습니다. 종이 위에 그려진 선만으로는 실제 동작, 즉 실제 건물의 성격을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그는 종이 위에 그려진 도면으로부터 현실적인 피드백을 받을 수 없습니다. The architect drawing at his table or on his computer is an entirely different case. The architect is drawing the building. But since it is not the real building which is being formed, nor any simulation which might come close to creating feelings and sensations like those which the real building will ultimately create in the user's mind, the architect cannot tell, while he is drawing and from what he draws, what would really be going on in the actual building if it were built. He gets no realistic feedback from the drawing on paper because one cannot judge the real behavior, the nature of the real building, by looking at the lines on paper.
그렇기 때문에 건축가가 연필 스케치로 하는 일은 마티스가 의자에 앉아있는 여인을 그릴 때했던 것과는 전혀 같지않습니다. 기껏해야 건축가는 무언가를 그리는 것이고, 다음 단계는 드로잉에 대한 반응입니다. 따라서 각 연필 스트로크는 이전 연필 스트로크 세트에 대한 반응 일뿐입니다. 어떤 단계에서도 현실에 대한 피드백에 기반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 과정이 궤도를 벗어날 가능성은 항상 존재합니다. 현실에 대한 지속적인 대응이 부족하기 때문에 대기업에서 사용하는 프로세스는 매우 취약하며, 필연적으로 실패할 수밖에 없습니다. That is why what we architects do with our pencil sketches is not in the least like what Matisse did when he painted the Woman in a Chair. At best the architect is drawing something, and his next step is a reaction to the drwaing. Each pencil stroke is thus only a reaction to a previous set of pencil strokes. Since it is not, at any step, based on feedback about reality, there is every chance - one might say there is a certainty - that this process is going to go off the rails. It is the lack of continuous responses to reality which makes the process used by big commercial offices highly vulnerable, and which makes it - inevitably - unsuccessful.
이것이 바로 우리가 건축에서 열망해야 하는 아이디어입니다. 건물이든, 거리든, 방이든, 다리든, 구상, 설계, 시공,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유지보수까지 아주 작은 단계로 피드백을 받아 수정할 수 있는 세상을 상상해야 합니다. 최근 들어 거의 사라진 것이 바로 이러한 건축 과정의 자가 수정 측면입니다. That is the idea we must aspire to in architecture. We must imagine a world where, whether it is a building, or a street, or a room, or a bridge, the conception, design, and the construction - and ultimately the maintenance too - go forward in very small steps with feedback, so that they can be corrected. It is this self correcting aspect of the building process which has all but vanished in recent times.
살아있는 세상을 성공적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모든 건축 과정을 실험적이고 반응적인 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는 방법을 다시 찾아야 합니다. 모든 디자인, 모든 계획, 모든 건축의 기반이 되는 이 한 가지만으로도 세상은 바뀔 것입니다. 우리는 지금 미래를 계획하는 통계적 개념을 거부하고 각 건물의 미래를 알 수 없고 실험과 변화, 무엇보다도 성공에 열려 있는 새로운 건축 설계의 세계를 받아들여야 합니다. To create a living world, successfully, we must again find ways of making all building process move forward in this experimental, responsive fashion. That one thing alone, as a kind of bedrock for all design and all planning and all building, will change the world. We must reject the statist conception in which the future is planned now, and embrace a new world of architectural design in which the future of each building is not known, remains open to experiment and change, and above all to success.
9. Overall Implications
복잡한 건물, 마을, 거리를 만드는 것은 설계와 시공 모두에서 - 피드백을 통해 한 걸음 한 걸음 나아가고, 지속적으로 일을 올바르게 할 수있는 세심한 적응 과정을 거쳐야만 생명을 얻는 데 성공할 수 있다 - 는 사실이 여러분의 마음 속에 확립되기를 바랍니다. I hope I have established, in your mind, that creation of complex buildings, towns, streets - both in design and construction - will succeed in getting life only if it goes forward step by step, with feedback, in a minutely careful process of adaption which can, continuously, get things right.
이 결론이 디자인 분야와 건축 분야 모두에서 받아들여진다면 환경에 대한 사고의 분수령이 될 것입니다. 그것은 이 책이 담고 있는 모든 내용에 필수적인 토대를 마련하는데, 제 생각에는 피할 수 없는 조건이 무엇인지를 정의하기 때문에 모든 전개, 즉 세상의 생활 구조를 구축하는 모든 생활 과정에 필요합니다. This conclusion, if accepted both within the discipline of design and within the discipline of construction, must lead to a watershed in thinking about the environment. It lays a necessary foundation to all of what this book contains, since it defines what is, in my mind, an ineluctable condition, necessary to all unfolding, hence to all living process aimed at building living structure in the world.
이는 현재의 계획, 설계, 건설, 생산 방식에 거의 모든 면에서 심각한 결함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단계별 적응을 포함하지 않고, 원칙적으로 이대로 유지하는 한 적응할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생산 형태를 바꿔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In substance, it implies that our present forms of planning, design, construction, and production are, nearly all, deeply flawed. Since they do not include step-by-step adaptation - and cannot in principle do so, so long as they stay as they are - it implies that these forms of production must be changed.
살아있는 프로세스가 필요하고 우리의 생산 수단을 완전히 바꿀 수 있다는 생각에 대한 인식은 이제 막 자리 잡기 시작한 것 같습니다. Awareness of the idea that living process is both necessary - and likely to change our means of production entirely - is perhaps only now beginning to sink in.
9. The Whole: Each Step is Always Helping to Enhance the Whole
1. Introduction
8장에서는 살아있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은 단계적으로 진행된다고 말합니다. 그렇다면 단계별로 일어나는 일이란 정확히 무엇일까요? 이 질문에는 다른 무엇보다도 한 가지 답이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각 단계가 전체를 향상시킨다는 사실이 있습니다. Chapter 8 say that in a living process everything that happens, goes step by step. Now, we may ask, What exactly is it that happens, step by step? The this question, there is one answer above all others. Above all, there is the fact that each step enhances the whole.
2. Common Sense
적어도 더 큰 전체에 생명을 불어넣는다는 목표는 이해되고 존중받을 것이라고 상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마저도 항상 그렇지는 않다는 사실을 충격적으로 알게 되었습니다. 1988년 댄 솔로만과 저는 캘리포니아주 패서디나 시로부터 시 전역의 신축 아파트 설계를 안내하고 통제하는 새로운 구역 설정 조례를 작성하도록 임명받았습니다. 조례의 초기 초안에는 새 아파트 건설 프로젝트 신청자가 따라야 할 새로운 규칙의 주요 절차 중 하나로 다음과 같은 규정 초안을 포함시켰습니다: "제안된 모든 새 아파트 건물은 거리와 이웃의 삶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어야 합니다."라고 명시했습니다. One would imagine that at least the goal of bringing life to larger wholes would be understood and respected. I discovered, with something of a shock, that even this is not always so. In 1988, Dan Soloman and I were appointed by the City of Pasadena, California, to write a new zoning ordinance guiding and controlling the design of new apartment building throughout the city. In an early draft of the ordinance, as one of the major processes in a new set of rules to be following by any applicant for a new apartment building project, I included a draft rule which stated: "Any proposed new apartment building must help the life of the street and of the neighborhood in some tangible way."
이것은 가장 명백한 상식입니다. 이 말을 듣는 비전문가라면 거의 모든 사람이 "음, 그래, 물론... 이게 뭐 새로운 거지? 당연히 해야 할 일이죠. 좋은 생각이네요."라는 반응을 보일 것입니다. This is the most obvious common sense. Almost any non-professional person who hears this, would have a reaction something like, "Well, yes, ... of course.... what is new about this? It is the obvious thing to do. A good idea."
하지만 패서디나에서는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But that is not what happened in Pasadena.
이 이야기를 하는 이유는 부분적으로는 이 책의 독자들이 세계의 생활 구조에 관한 깊고 명백한 문제에 대해 공감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점을 미리 이해하고 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구조를 보존하는 프로세스를 달성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그것은 단지 많은 서클에서 사람들이하려는 일의 요점을 이해할 수 있도록 다소 신중하게 기반을 준비해야 할 수도 있음을 의미합니다. I tell this story partly because it is important, I think, for readers of this book to understand well in advance, to be prepared, perhaps, for a lack of sympathy even on such a deep and obvious matter concerning the living structure of the world. It does not mean that structure-preserving processes are impossible to achieve. It just means that in many circles, it may be necessary to prepare the ground rather carefully, so that people understand the point of what one is trying to do.
하지만 저는 이 이야기를 하는 또 다른 중요한 이유도 있습니다. 저는 우리 각자가 삶의 과정이라는 개념을 붙잡으려고 할 때 직면해야 하는 개별적인 어려움에 주목하고 싶습니다. 패서디나 기획위원회의 회장은 확실히 적대적이었습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우리 대부분, 때로는 우리 자신의 머릿속에도 이와 같은 부정적인 목소리가 자리 잡고 있어 모든 프로세스를 진정으로 더 큰 전체에 구조를 보존하지 못하도록 방해합니다. 이것은 일종의 정신적 억제(때로는 자아에 의해, 때로는 탐욕에 의해 촉진됨)로서, 우리가 지속적으로 국지적인 것에만 집중하게 만들고, 큰 틀에서 생명력 있고 아름다운 일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을 잊거나 무시하게 만들며, 또는 매번 세상의 구조를 더 온전하게 만들어야 할 책임이 우리에게 있다는 것을 잊어버리게 만듭니다. But I also tell this story for another more important reason. I wish to draw attention to the individual diffifulty that each one of us must face when we try to keep hold of the conception of living process. The president ot the Pasadena Planning Commision was antagonistic, certainly. But unfortunately there is some negative voice like this sitting inside most of us, sometimes even inside our own heads, discouraging us from really and truly making every process structure-preserving to the larger whole. This is a kind of mental inhibition (sometimes fueled by ego, sometimes by greed) which continually makes us focus on the local, and forget, or ignore, the extent to which we must make something living or beautiful happen in the large - or forget that it is our responsibility, at every turn, to head and make more whole, the structure of the world.
3. The Whole
그렇다면 전체(whole)의 확장, 강화, 심화가 모든 살아있는 프로세스의 핵심이자 목표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살아있는 과정은 전체의 창조와 관련이 있습니다. 예술적으로 건축가 예술의 본질은 항상 전체를 창조하는 것입니다. 건물이 성공하는 것은 우리가 그것을 인식하고 느끼기 때문이며, 전체를 관통하는 하나의 장엄한 전체로 인식하기 때문입니다. Let us say, then, that extension, enhancement, and deepening of the whole is the crux and target of all living process. Living processes have to do with the creation of wholes. Artistically, the essence of the builder's art, is always to create a whole. When a building succeeds, it is because we perceive it, feel it, to be a magnificent whole, whole through and through, one thine.
따라서 살아있는 과정이 건축에 대해 무엇을 말하든, 건축이 우리에게 무엇을 가르치든, 건축이 우리에게 무엇을 줄 수 있든, 무엇보다도 건축은 우리에게 이것을 제공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살아있는 전체를 만드는 능력. Thus, whatever a living process has to say about architecture, whatever it can teach us, and whatever it can give us, above all it must give us this: the ability to make a living whole.
물론 이것은 문제가 있습니다. 이것은 수수께끼 같은 주제입니다. 예를 들어, 우리는 주변 환경과 하나가 되지 않으면 무언가 전체를 만들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전체가 되려면 주변 환경과 분리되어 있지 않아야 합니다. 즉, 주변 환경의 일부분과 일부가 분리되어 있지 않아야 합니다. 그리고 살아있는 전체 내의 조각들은 특별한 품질을 가져야합니다. 따라서 전체가 되어 주변 세계로 뻗어나가는 것은 그 '내부'에도 전체를 포함해야 하며, 이 작은 전체는 느낌상 더 큰 전체의 일부여야 합니다. 따라서 각각은 구별되어야 하고 하나의 실체가 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보이지 않아야 더 큰 전체에서 분리되지 않고 잃어버리지 않습니다. 건물을 전체적으로 만드는 것은 엄청나게 복잡한 작업입니다. 하지만 어쨌든 전체를 만드는 것은 예술가로서 우리 작업의 본질이자 시작이자 끝입니다. 그리고 (8장에 따르면) 이것은 단계별로 진행하면서 이루어져야 합니다. This is problematic, of course. It is an enigmatic subject. We cannot make something whole, for example, unless we make it united with its surroundings. So, to be whole, it has to be "lost", tat is, not separate from its surroundings, part and parcel of them. And the pieces within a living whole, they must also have a special quality. So, the thing which is to be whole, and extends out into the world around it, must also contain wholes within it, and these smaller wholes must be part of the larger whole in feeling. So each is to be distinct, to be an entity. Yet it is to be invisible in order to be lost and not separate from the larger whole. Making a building whole, is an immensely complicated task. But, in any case, making the whole is the essence,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our work as artists. And (according to chapter 8) this is to be done while going step by step.
이제 살아있는 과정이 전체를 창조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될 수 있는지 설명해 봅시다. 이 작업이 우리의 창의력에 부담을 줄 수 있지만 자연이 더 쉽게 관리한다는 사실을 상기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산이 생태계의 풍경에서 솟아오를 때, 산은 하나의 전체가 됩니다. 이 모든 것은 구조를 보존하는 변형(structure-preserving transformation)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우리가 자연을 닮기를 바란다면(그리고 그보다 더 강한 것을 열망할 수는 없습니다) 원칙적으로 우리가 만드는 것에서 전체를 추출하고, 항상 단계별로 진행하며, 모든 단계에서 새롭고 살아 숨 쉬는 느낌과 전체의 출현에 집중함으로써 작업의 형태와 실체인 전체를 도출할 수 있어야 합니다. Let us then start articulating the way that a living process can help us to create a whole. It is possibly helpful to remind ourselves that although this task may tax our creative powers, nature managers it more easily. When a mountain rises up from the landscape over the econs, it becomes a whole. All this is arcieved, apparently, by structure-preserving transformations. So if we hope to be like nature (and we can hardly aspire to anything stronger) we should, in principle, be able to extract the whole in what we make, derive the whole - the shape and substance of our work - always going step by step, and by concentrating, at every stage, on the emergence of a new, living, breathing, feeling, whole.
4. To Be Guided by The Whold, We Must Pay Attention To The Latent Centers & Enhance Them
252페이지에 표시된 생 마르 광장의 진화를 생각해 보세요. 약 1000년에 걸친 이 과정은 항상 전체로서 진행되었고 사람들이 전체에 주의를 기울였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말하고 싶습니다. 하지만 무슨 전체냐고 반문할 수도 있습니다 1000년이 지난 후 눈에 보이게 된 전체는 서기 560년경에 작업이 시작되었을 때는 분명히 보이지 않았고 심지어 생각할 수도 없었습니다. 그렇다면 정확히 어떤 어떤 전체가 작업을 이끌고, 작업을 앞으로 나아가게 하고, 더 큰 전체를 향해 다음 단계로 이끌었나요? Consider the evolution of St Mar's Square, shown on page 252. I would like to say that this process, lasting about 1000 years, achieved what it did because the work was always going forward as a whole, and people were paying attention to the whole. But, you may quite reasonably say, What whole? The whole which became visible at the end of 1000 years was plainly not visible or even thinkable when the work started around 560 A.D.. So what whole, exactly, was guiding the work, pulling the work forward, guiding the next step towards some greater whole?
253~54페이지에 있는 일련의 다이어그램에서 해답을 찾을 수 있으며, 매우 간단한 반복 과정을 보여줍니다. 다이어그램 행렬의 각 행에는 특정 날짜의 특정 구성이 표시되고, 그 구성 당시 볼 수 있었던 잠재적 중심이 표시되고, 잠재적 중심을 강화하고 강화하기 위해 새로운 건설이 수행될 위치에 대한 결정을 나타내는 어두운 덩어리가 표시되고, 건설 결과, 즉 해당 위치에 지어진 실제 건물 계획이 전체 구성을 새로운 고원으로 가져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We may see the answer in the series of diagrams on pages 253~54, showing a very simple iterated process. In each row in the matrix of diagrams, we see a certain configuration at a particular date, then we see the latent centers that were visible at the time of that configuration, then we see a dark mass indicating the decision about where new construction would be undertaken to strengthen and intensify the latent center, and then we see the result of construction - the plan of an actual building built in that position taking the configuration as a whole to a new plateau.
다음 다이어그램 행에서는 새로운 구성에서 앞으로 나아가는 프로세스가 반복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반복된 프로세스를 10번 적용한 후, 이 프로세스를 통해 탄생한 아름답고 멋진 성 마르코 광장의 구성을 볼 수 있습니다. In the next row of diagrams, we see the process repeated, going forward from the new configuration. After ten applications of the iterated process, we see the beautiful, wonderful configuration of St. Mark's square as it arose from the process.
이 과정은 실제로 전체에 초점을 맞추고 전체에 의해 인도되었습니다. 그러나 매 순간 전체는 그 전체에 잠재된 중심과 함께 있는 그대로의 전체 구성에 주의를 기울임으로써 분별됩니다. 이 기법은 매우 일반적입니다. 항상 전체를 향상시킨다는 의미를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보존하는 구조와 향상하는 구조의 관계를 명확하게 파악할 필요가 있습니다. 구조를 보존하는 변형과 구조를 강화하는 변형 사이의 관계는 정확히 무엇일까요? 겉보기에 서로 다른 이 두 가지 아이디어는 어떻게 조화될 수 있을까요? This process has indeed focused on the whole, and been guided by the whole. But the whole, at each moment, is discerned by paying attention to whole configuration as it is together with the centers latent in that wholeness. This technique is quite general. In order to understand well what it means "always to enhance the whole," we need to grasp clearly the relation between preserving structure and enhancing structure. What, precisely, is the relation between a transformation that is structure-preserving, and one that is structure-enhancing? How can these two apparently different ideas be reconciled?
설명을 위해 2장에서 처음 제시한 기본 이론으로 돌아가 보겠습니다. 한편으로는 구조를 보존하는 과정이 구조를 변형하고 보존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이러한 구조를 보존하는 변형이 전체를 향상시킨다는 생각입니다. 모든 전체성, 모든 구조에는 잠재적 중심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 둘은 화해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중심은 전체 구성에 의해 발생하며 구조에 희미하게 존재하지만 아직 완전히 발달하지 않은 중심입니다. 이러한 센터는 구조의 일부이며 실제로 존재하며 존재합니다. 그러나 그들은 개발할 수 있는 능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개발되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잠재적 센터를 개발하는 것은 기존의 구조를 존중하는 동시에 아직 태어나지 않은 새로운 구조로 향하는 길을 닦는 것입니다. 그 후 나타나는 구조는 새로운 구조이지만 이전 구조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To explain, I go back to basic theory first presented in chapter 2. The idea is that a structure-preserving process on the one hand transforms and preserves structure and on the other hand the idea that this structure-preserving transformation then also enhances the whole. The two can be reconciled, because in every wholeness, in every structure, there are latent centers. These are centers caused by the overall configuration, dimly present in the structure, yet not yet fully developed. These centers are part of the structure, they are truly there, they are present. But they have not yet been developed, even though they are capable of development. In developing these latent centers, one is then both respecting the structure which exists, yet also paving a path to some as-yet unborn new structure. Even though the structure which then emerges is a new one, it has its roots in the old structure.
이를 올바르게 수행하고 이 보수적이고 생명력 있는 출현을 위한 길을 열려면, 존재하는 구조와 그 전체를 보존하는 동시에 그 전체를 강화해야 하며, 이는 아직 완전히 인식되지 않은 잠재적 중심을 강화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To do this right, and to pave the way to this conservative and life-giving emergence, one must both preserve the structure which exists, and its wholeness, yet also enhance the wholeness - and that means enhancing the latent centers, those that are not yet fully recognized.
5. The Modern Problem of Design
이 원칙을 보다 일반적인 사례에 적용하는 방법을 이해하기 위해 디자인 프로세스를 예로 들어 보겠습니다. 물론 디자인 자체는 하나의 프로세스이며, 다른 모든 프로세스와 마찬가지로 디자인된 결과물의 품질은 이 프로세스의 품질에서 비롯됩니다. 그렇다면 디자인 프로세스는 디자이너의 머릿속에 살아있는 프로세스가 지배할 때 어떤 모습일까요? 모든 디자이너가 말하듯이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첫 번째 단계입니다. 형태를 만드는 처음 몇 번의 획에는 나머지 단계의 운명이 담겨 있습니다. To understand the application of this principle to a more general case, let us take next an example of a process of design. Design itself, of course, is a process and, as in every other process, the quality of what is designed will flow from the quality of this process. What then, is a design process like when it is governed by a living process in the designer's mind. As any designer will tell you, it is the first steps in a design process which count for most. The first few strokes, which create the form, carry within them the destiny of the rest.
그렇다면 살아있는 프로세스에서 아름답고 일관된 전체가 형성되기 시작하려면 어떻게 디자인의 첫 단계를 밟아야 할까요? How then, in a living process, do we take the first steps of design so that a beautiful, coherent whole begins to take shape?
물론 초기 단계에서는 광범위한 구조, 즉 전체의 출현 구조에 집중해야 합니다. 문제는 이 초기 과정에서 형태의 출현에 대한 적절한 표기법이 없다는 것입니다. 건축가들이 전통적으로 사용하는 표기법은 드로잉이나 컴퓨터 표현의 언어입니다. 이 표기법을 사용하여 아이디어를 엿본 다음 이를 간단한 스케치 또는 간단한 모델로 기록하려고 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스케치에는 항상 너무 많은 정보가 너무 일찍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스케치(또는 컴퓨터 그림)는 항상 지나치게 구체적입니다. 스케치와 컴퓨터 그림은 매력적이고 흥미로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스케치에 포함된 정보의 20%만 디자이너의 머릿속에서 실제 프로세스를 통해 내린 결정에 근거한 것이고 나머지 80%는 표기법(스케치)이 요구하기 때문에 도면에 입력한 임의의 내용이라면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습니다. In the early stage we must concentrate, of course, on broad structure, on the emergent structure of the whole. A difficulty is that we do not have a good notation for the emergence of form during this early process. The notation that architects traditionally use is a language of drawing or computer representation. Using this notation, we try to get the glimpse of an idea, and then put this down as a simple sketch, or as a simple model. But such a sketch always includes too much information, too early, so that the sketch (or computer drawing) is invariably over-specific. Sketches and computer drawings are seductive and may be interesting. But if only 20% of the information in a sketch is based on real decision that have been taken by a living process in the designer's mind, and the remaining 80% is arbitrary stuff entered into the drawing only because the notation (sketching) requires it, trouble inevitably follows.
따라서 우리는 매 순간 실제로 알려진 것에 근접한 새로운 형태를 표현할 수 있는 표기법 또는 방법이 필요합니다. 여기서 저는 형태론적 "잔물결(ripple)"이라는 개념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형태학적 잔물결이란 부분적으로 생성된 형태로, 고려 중인 공간에 어떤 전체적인 구성이 존재하지만 아직 명확하게 위치하거나 치수가 정해지거나 특성화되지 않은, 모호하지만 전체의 어떤 특징을 확고하게 설정하고 최종 결과에 성격과 느낌을 부여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필드와 같은 구성입니다. We therefore need a notation, or a way of representing emerging form, which stays close to what is actually known at each moment. Here I wish to introduce the idea of morphological "ripples." What I mean by a morphological ripple is a partially generated form, in which some global configuration exists in the space under consideration, but it is not yet clearly located, or dimensioned, or even characterized - it is a fieldlike configuration which, though fuzzy, firmly sets some feature of the whole, and plays a decisive role in giving character and feeling to the end result.
첫 번째 단계인 형태적 파급은 새로운 디자인의 가장 광범위하고 글로벌한 특징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글로벌" 특징은 종종 고려 중인 영역의 전체 지름을 가로질러 확장됩니다. 각 단계에서 또 다른 물결(ripple)이 전체에 또 다른 특징을 하나 더 도입합니다. 이러한 잔물결을 왜곡 없이 담아내려면 종이나 컴퓨터 화면의 도면이 아니라 머릿속으로, 가급적이면 실제 장소에 서서 작업하는 것이 가장 좋지만, 최소한 건물과 지형의 광범위한 특징을 3차원으로 보여주는 매우 사실적인 모델이 있는 상태에서 작업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생각합니다. It is important that the first steps - the morphological ripples - should focus only on the broadest, most global features of the emerging design. Often these "global" features will extend cross the full diameter of the area being considered. At each step, another "ripple" introduces one more feature of the whole. To contain these ripples without distortion, I find it best to work, not on paper, not in a drawing on the computer screen, but in the mind's eye, preferably while standing in the real place itself - but at the very least in the presence of an extremely realistic model showing the broad features of buildings and terrain in three dimensions.
종이에 스케치하는 것이 아니라 마음의 눈으로 새로운 건물에 대한 비전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눈을 감고 볼 때 단어와 인테리어 비전은 스케치나 물리적 디자인보다 더 불안정하고 유동적이며 변형 가능하고 입체적입니다. 따라서 전개가 더 성공적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마음의 눈에서 살아있는 과정 속에서 하나씩 진화하는 센터는 너무 일찍 오는 임의의 정보와 결정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습니다. It is essential to form this vision of the emerging building in your mind's eye, not in sketches on paper. Words and interior visions, when seen with your eyes closed, are more labile, more fluid, transformable and three-dimensional, than sketches or physical design. They allow the unfolding to go forward more successfully. In the mind's eye, the centers which evolve, one by one within the living process, are not hampered by arbitrary information and decisions that come too early.
따라서 드로잉 패드와 컴퓨터 화면은 전개 과정에 적합한 미디어가 아닙니다. 살아있는 프로세스가 쉽게 작동할 수 있는 미디어가 아닙니다. Thus the drawing pad and computer screen are poor media for an unfolding process. They are not media where a living process can easily go to work.
이와는 대조적으로, 새로운 건물을 위한 형태의 진화를 위한 최고의 캔버스는 내면의 눈, 마음의 눈입니다. 마음의 눈에는 실제로 살아있는 과정에서 생성되지 않은 비전이 거의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눈을 감으면 단어 그림에서 발생하는 특정 사물을 볼 수 있습니다. 단어 그림은 실제로 당신이 지금까지 내면의 눈에서 본 것을 포착합니다. 그리고 눈을 감고 있을 때 작동하는 마음의 눈은 단어와 동일한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실제로 보이지 않는 것을 추가하는 것은 거의 없지만, 추가하는 것은 실제적이고 본질적이며 유연합니다. 마음속에서 떠다니는 선명한 그림으로, 정의하고 싶은 측면에서만 정의되고 다른 측면에서는 정의되지 않은 비전이 떠오릅니다. By contrast, the best canvas for evolution of form for a new building is the inner eye, the mind's eye. The vision in the mind's eye contains little that is not actually generated by the living process. When you close your eyes, you see certain things which arise from the word picture. The word-picture, indeed, captures just what you have seen, so far, in your inner eye. And the mind's eye, as it works when your eyes are closed, has the same power as the words. It adds little that is not actually seen, but what it does add is real, and germane, and flexible. The vision floats in your mind, a hovering clear picture, defined only in those aspects you want to define, and undefined in others.
이러한 비전을 머릿속에 구축하는 과정은 그 자체로 차별화 과정을 단계별로 따라야 합니다. 비전은 한 번에 하나의 형태적 특징으로 구축됩니다. 먼저 건물에서 가장 중요한 한 가지를 스스로에게 말하고 보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건물의 높이, 위치, 품질, 색상이 바로 그것입니다. 건물에서 나오는 음울한 빛일 수도 있고, 건물 앞에 있는 정원일 수도 있고, 건물로 이어지는 정원일 수도 있습니다. 어떤 경우든 눈을 감고 상황에 따라 건물을 상상할 때 가장 먼저 보이는 건물의 전체적인 측면입니다. The process of building such a vision in your mind must itself follow the differentiating process, step by step. The vision is built one morphological feature at a time. You start by saying to yourself, and seeing, one thing, the most important thing about the building. That will be capture in its height, its position, is quality, its color. It might be a brooding light that emerges from the building, or it might be the gardens which precede it, and lead to it. It is, in any case, the first global, holistic aspect of the building which you see, when you close your eyes and imagine the building as the context requires that it should be.
6. At Each Step Decide Only What You Know With Certainty
기본 프로세스를 몇 번이고 반복하고 필요에 따라 15가지 변형을 적용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한 번에 하나의 기능이 구축됩니다. 첫 번째가 확실해지면 두 번째를 추가합니다. 첫 번째와 두 번째에 확신이 들면 세 번째를 추가합니다. As the living process goes forward, repeating the fundamental process again and again, and applying the fifteen transformations as needed, one feature is built up at a time. When we are sure of the first, we add a second. When we are sure of the first and second, we add a third.
반드시 수행해야 하는 이러한 단계와 그 순서를 어떻게 결정하나요? (11장 참조). 어떤 단계를 어떤 순서로 수행하나요? 제가 생활 과정의 지침으로 드릴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지침은 확실성을 가지고 움직이라는 것입니다. 즉, 당신이 아는 것에 대해서만 결정하면서 한 번에 하나씩 작은 발걸음을 내딛는 것입니다. 추측이나 "이렇게 해보면 어떨까?"라는 식의 단계는 절대 밟지 않습니다 대규모의 시행착오, 어둠 속에서의 사격은 효과가 없습니다. 그보다는, 느리고 작은 결정을 내리고, 한 가지를 결정하고, 그에 대해 확신을 갖고, 그리고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것이 좋습니다. 당면한 작은 문제 하나에 대해 옳았다는 확신이 들면 그때 다음 작은 결정으로 넘어갑니다. How do you determine these steps which must be taken, and their sequence? (see also chapter 11). What steps do you take, in what order? The most basic instruction I can give you as a guide for a living process, is that you move with certainty. That means, you take small steps, one at a time, deciding only what you know. You try never to take a step which is a guess or a "why don't we try this?" Large-scale trial-and-error, shots in the dark, simply do not work. Rather, you move by slow, small decisions, deciding one thing, getting sure about it, and then, moving on. When - on the one particular small issue at hand - you feel certain enough that you have it right, then you move on to the next small decision.
작은 결정으로 움직여야 한다고 말할 때, 결정의 물리적 규모가 작아야 한다는 뜻이 아닙니다. 오히려 각 결정의 내용이 특정 주제, 디자인의 일부 기능으로 제한되고 다른 문제와 단절되어 어느 정도는 그 자체로 부유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When I say that you should move in small decision, I do not mean that the decisions should be small in physical scale. Rather, I mean that the content of each decision should be limited to a particular subject, to some feature of the design, disconnected from other matters, and floating, to an extent, by itself.
결정의 규모에 관한 한, 그것은 반대로 다소 커야합니다. 특히 처음에는 가장 큰 질문을 중심으로 작업해야 합니다. 작업의 초기 단계에서 해결해야 하는 많은 문제는 디자인의 전체적인 글로벌 품질과 관련이 있습니다. As far as the scale of the decisions is concerned - that, on the contrary, should be rather large. At the beginning, especially, you need to work mainly with the largest questions. Many of the issues you need to settle, in the early stages of your work, have to do with the whole, the global quality of the design.
첫걸음을 잘 내딛는 것은 언제나 중요합니다. 각 단계는 어떤 의미에서 전체로 돌아가는 것이며 "첫 걸음"으로 다시 시작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좋은 첫걸음을 내딛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잘못된 첫걸음을 피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점을 인식해야 합니다. 수치로 비교하는 것이 유용합니다. 예를 들어 프로세스의 특정 단계에서 100개의 가능한 다음 단계가 있고 그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가능한 다음 단계 중 좋은 것보다 나쁜 단계가 더 많다는 데 동의할 것입니다. 100개의 가능한 선택지 중에서 상황을 악화시키는 다음 단계는 90~95개 정도이고, 상황을 개선하는 다음 단계는 5~10개 정도로 상대적으로 적을 수 있습니다. 우리가 확신할 수 있는 것은 좋은 단계보다 나쁜 단계가 더 많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소수의 좋은 단계는 어떻게 찾을 수 있을까요? 우리가 가능성을 고려할 때 우연히 소수의 좋은 다음 단계 중 하나를 맞출 수 있을 만큼 운이 좋아야 할 특별한 이유는 없습니다. It is always crucial to take a good first step. Each step is, in a sense, a return to the whole and a starting over with a "first step." So, in the same breath, we must recognize that to take a good step, the main problem is to avoid taking any of the many possible false steps. A numerical comparison is useful. Suppose, for example, that at a given stage in a process there are a hundred possible next steps available and we must choose among them (the next decision in the design). It will generally be agreed, I think, that more of these possible next steps are likely to be bad than good. Of the 100 possible choices, there may esaily be as many as 90 or 95 next steps which will make the thing worse, relatively few, say 5 or 10 next steps which will make it better. What we can be sure of is that there are more bad steps than good ones. How, then, do we find the few good ones? There is no special reason that we should be lucky enough to hit one of the small number of good next steps, by accident, as we consider the possibilities.
이를 추론해 보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습니다. 우리 마음에 가장 먼저 떠오르는 가능성은 좋은 가능성보다는 나쁜 가능성일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처음 떠오르는 가능성에 대해 극도로 회의적이어야 합니다. 우리는 가능성을 매우 빠르게 실행하고 대부분의 가능성을 거부해야 합니다. 만약 우리가 하나를 받아들인다면, 우리는 마지못해 마지못해, 마침내 그것을 거부 할 좋은 이유가없는, 우리에게 진정으로 훌륭해 보이고, 전체의 느낌을 더욱 심오하게 만드는 무언가를 만났을 때만 그것을 받아 들여야합니다. If we reason this out, we may then draw the following conclusion. It is more likely that the first possibilities that present themselves to our minds will be bad ones, rather than good ones. We should therefore be extremely skeptical about the first possibilities that present themselves to our minds. We should run through the possibilities very fast, and reject most of them. If we do accept one, we should accept it, reluctantly, only when we finally encounter something for which no good reason presents itself to reject it, which appears genuinely wonderful to us, and which demonstrably makes the feeling of the whole become more profound.
이것은 건축가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행동이 아닙니다. 오히려 건축가는 "영감이 떠오를 것"이라고 기대하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건축가는 자신의 창의성에 집착하여 자신이 결정한 것에 뛰어들고, 검토하지 않고 죽도록 사랑하지만 그것이 영감에서 나온 것이라고 믿기 때문에 계속 진행합니다. This is not the behavior that an architect typically uses. Rather what happens often is that the architect expects that "inspiration will strike." He is - too often - obsessed with his own creativity - jumps at what he has determined - and then loves it to death, unexamined, but goes on with it because he believes that it came from inspiration.
그러나 물론, 단순히 떠오르는 이미지에 뛰어 들고 자신의 머릿속에서 떠 올랐기 때문에 반드시 좋아야한다는 자기기만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다면 이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또는 세 번째 "영감"이 좋은 것이 아니라 나쁜 것일 가능성이 큽니다. 또한, 건축가가 아이디어를 따르거나 이전에 보지 못한 인상을 만들고자 하는 욕구로 인해 의도적으로 왜곡될 가능성도 프로세스를 모호하게 만들고 막다른 골목으로 이끌 수 있습니다. But of course, if one merely jumps at the image that presents itself, and if one carries a self-deluded idea that it must be good because it came up in one's own brain - the chances are great that this first or second, or third "inspiration" is something not good, but more likely something bad. Further, the possibility of willful distortion, caused by the architect following an idea or a desire to create a never-before-seen impression, is also capable of obscuring the process, and leading it up a blind alley.-
근대 및 포스트모던 건축의 거의 모든 충격적인 실수와 공포는 이렇게 이해될 수 있습니다. 그들은 주로 실험적으로 조사되지 않았기 때문에 나쁜 것으로 판명되었습니다. 디자이너는 형태의 진화에서 가능한 여러 단계를 검토하고 각 단계에서 가장 깊은 느낌을 주는 것, 즉 가능한 단계 중 어떤 단계가 그 장소에서 세계를 확장하고 보호하는 데 가장 적합한지를 신중하게 찾으려고 시간을 할애하지 않았습니다. ~-Virtually all the shocking blunders and horrors of modern and postmodern architecture may be understood like this. They turned out bad mainly because they were unexamined experimentally. The designer did not take the time to examine the different possible steps in the evolution of the form and, at each step, seek out - with care - that one of these which has the deeptest feeling: hence which of the possible steps does the most to extend and protect the world in that place.
중요한 점은 이것이 경험적 문제라는 것입니다입니다. 실험(실제 장소, 모델, 또는 다른 충분히 "실제적인" 시뮬레이션)을 통해 발견할 수 있지만, 실험이 '완료'되지 않는 한, 즉 디자이너가 취할 수 있는 단계를 실행하는 동안 모델과 디자이너의 머릿속에서 발견되지 않을 것입니다. 한 가지 예외가 있다면, 설계자가 존재하는 전체성과 깊이 접촉하여 설계자의 머릿속에서 전체성에서 직접 떠오르는 직관적인 반응으로서 진정한 구조-보존 변형(structure-preserving transformation)을 매우 빠르게 떠올릴 수 있을 때 발생합니다. 14장에서는 느낌에 의존하여 이를 가장 잘 달성할 수 있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The vital point is that this is an empirical matter. It can be discovered by experiment (in the real place, or in a model, or in other sufficiently "real" simulations). but it will not be discovered, unless the experiment is done - through models and in the designer's mind, while the designer is running through possible steps to take. The one exception occurs when the designer is deeply in touch with the wholeness that is there, and can summon up, very rapidly, a genuine structure-preserving transformation as an intuitive response which springs directly from the wholeness, in the designer's mind. We shall see, in chapter 14, how this can best be achieved by relying on feeling.
제가 설명한 과정이 뻔하다고 말할 수도 있습니다. 물론 사람들이 자기들이 그렇게 한다고 말하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하지만 사람들이 그들이 그렇게 한다고 말하는 것과 그들이 실제로 하는 것에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One might say that the process I have described is obvious. Certainly it is not very different from what people say they do. But there is a vast difference between what people say they do, and what they actually do.
7. The Process of Capturing The Whole
구조를 보존하는 변형과 느낌을 적용하여 단계별로 전체를 차별화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다음 내용은 Bill McClung과의 대화 중 일부입니다. 그는 버클리 언덕에 동서로 길게 뻗어 있고 길이가 3마일에 달하며 약 900에이커의 수풀과 나무로 이루어진 야생 협곡인 클레어몬트 캐년의 재건 및 개선에 대한 비전을 얻기 위한 디자인 프로세스의 몇 가지 단계를 설명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Bill은 저에게 처음에 디자인 컨셉을 어떻게 잡을 것인지 설명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To illustrate the process of differentiating a whole, step wise, by application of structure-preserving transformation and feeling, what follow is part of conversation with Bill McClung. He asked me to illustrate a few steps in a design process trying to gain a vision for the reconstruction and improvement of Claremont Canyon: a wild canyon runnung east-to-west in the Berkeley Hills, three miles long, and containing some 900 acres of brush and trees. Bill asked me to describe how I would initially go about forming a conception of the design.
나는 전체에서 시작하여 전체를 전체로서 취급하고, 오늘날 존재하는 것에서 나오는 것 같은 전체의 느낌을 사용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토론이 진행되면서 저는 그에게 전체의 다양한 형태적 특징이 어떻게 하나씩 떠오르는지, 그리고 이러한 특징들을 어떻게 보고 상상하는지, 점차적으로 하나씩 겹쳐서 전체에 대한 그림이 커지는 방식으로 보여줬습니다. 항상 이 작업은 전체와 관련이 있었습니다. I explained that I would start with the whole, and treat it as a whole, and use the feeling of the whole which seemed to emerge from what is there today. As the discussion went forward, I showed him how, one by one, different morphological features of the whole came to my mind, and how I was trying to see (and imagine) these features, in such a way that gradually, by super-imposing one on top of another, we would get a growing picture of the whole. Always, this work had to do with the whole.
- FIRST CHANGE IN THE WHOLE
나는 남쪽 협곡 벽의 높은 지점에 서서 북쪽 경사면(대략 260-61페이지에 표시된 경치)을 바라보는 것이 어떤 느낌인지 기억하는 것부터 시작했습니다. 협곡을 바라보았습니다. 험준했습니다. 다양한 색조의 녹색. 저는 이 협곡이 지금과 비교했을 때 전체로서 가장 큰 차이점이 무엇일지 자문해 보았습니다. 전체로서 지금보다 더 나은 모습을 상상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요? 전체에 대한 우리의 느낌을 개선하고 전체로서 더 깊은 느낌으로 반응할 수 있는 전체로서의 변화를 스스로에게 묻고 있었습니다. I started by remembering what it was like to stand at a spot high on the southern canyon wall, looking at the northern slope (roughly the view shown on pages 260-61). I looked out at the canyon. Rugged. Many hues of green. I ask myself what is the biggest difference this canyon might have, as a whole, compared with the way it is now. What could we conceive that might be better, as a whole, than it is today? Here I was asking myself for changes in the whole, that would improve our feeling about the whole, that would make us respond to it, as a whole, with deeper feeling.
저는 협곡을 운전하는 것이 어떤 느낌인지 특별히 의식했습니다. 바닥에는 다소 폐쇄 된 단일 도로가 있으며 도로 너머로는 거의 볼 수 없으며 협곡 자체는 도로에서 거의 완전히 접근 할 수 없다는 것을 확실히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협곡을 보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도로에서 운전자로서 협곡을 보지만 실제로는 볼 수 없기 때문에 모든 의도와 목적에 따라 협곡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협곡을 전체적으로 가장 크게 바꿀 수 있는 것은 협곡에 접근하고, 도달하고, 들어가서 즐길 수 있다는 느낌입니다. I was particularity conscious of what it is like to drive up the canyon. There is a single road, rather enclosed, at the bottom; one can hardly see out beyond the road; and one is certainly aware that the canyon itself is almost entirely inaccessible from the road. Thus, to all intents and purposes it is not there, since most people who see the canyon see it as drivers, from the road, yet cannot actually see it. The single thing that would change it most, as a whole, is the feeling that one could approach the canyon, reach it, enter it, enjoy it.
그래서 제가 상상할 수 있는 첫 번째 큰 변화는 이 모든 것이 접근 가능한, 즉 사람이 걷거나, 운전하거나, 자전거를 타거나, 동물을 위해 접근 가능한, 그러면서도 야생의 자연 상태 그대로인 것으로 상상하는 것이었습니다. 이를 염두에 두고 저는 눈에 잘 띄지 않는 길, 때로는 포장되지 않은 넓고 편안한 넓은 길, 아마도 10피트 폭의 길, 윤곽선을 따라 이어지는 길, 양쪽 협곡 벽과 초목 사이를 가로지르며 벽을 오르내리는 작은 길로 연결된 넓은 길의 네트워크가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질감을 상상하기 시작했습니다. 협곡의 거대한 규모에 비해 아주 작은 이 넓은 길의 질감, 길의 네트워크, 그리고 이 네트워크의 질감이 이곳을 접근하기 쉽게 만듭니다. 우리는 그곳에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그곳이 우리 것이라고 느낍니다. 우리는 그곳에 들어갈 수 있습니다. 길들일 수 있습니다. 도달할 수 있습니다. 즐기세요. 이로부터 우리는 먼저 전체적인 기하학적 텍스처를 얻을 수 있습니다. So the first really big change in the whole that I could imagine, was to imagine it all as being reachable; accessible, for people, walking, perhaps driving, on bicyles, for animals; while yet in its wild and natural state. With this in mind, I began to imagine a repeating texture of barely visible paths - sometimes wide comfortable broad paths, not paved, perhaps ten feet wide ... following contours - a network of these broad paths, on both canyon walls, among the vegetation, connected, perhaps criss-crossed by smaller paths going up and down the walls. The texture of these broad paths, a network of paths, and the texture of this network, tiny in relation to the hugeness of the canyon, makes the place accessible. We feel, as we enter, that it is ours because we can reach places. We can get into it. Tame it. Reach it. Enjoy it. From this we have a first thing, an overall geometric texture in the whole.
빌과 저는 이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그는 저에게 확신하냐고 물었습니다. 아니요, 제 대답은 불확실하지만 이 아이디어의 50% 또는 60% 정도는 전체에 대한 단서로 유용할 수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전체와 관련하여 생각하지 않은 매우 거친 아이디어입니다. 협곡을 좀 더 자세히 봐야 이런 생각이 타당한지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지금 당장 결정할 이유가 없습니다. 저는 이 일을 계속하지 않아요. 그보다는 그냥 마음속에 담아두는 편이 낫죠. Bill and I talked about this. He asked me if I felt certain about it. No, my answer was, I am uncertain, perhaps 50% or 60% of this idea might be useful as a clue to the whole. But it is still a very rough idea, very rough, not thought out in relation to the whole. I need to see more of the canyon, to see if such a thing makes sense. There is no reason to try and decide it now. I don't go on with this. Rather, I just let it sit in our minds.
- SECOND CHANGE IN THE WHOLE
그런 다음 소리내어 생각해보았습니다. 구조로서의 넓은 경로 네트워크는 충분히 크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러한 네트워크의 비전은 일관된 질감을 가지고 있지만 계곡 전체와 관련하여 전체로서 충분히 명확하지 않고 충분히 크지 않습니다. 협곡 전체를 전체로서 강화할 수있는 협곡의 특징은 무엇입니까? 빌은 특별한 모양의 열린 잔디밭을 제안합니다. 나는 이것이 아직 세부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언덕과 산의 지형, 지형 자체, 아름다운 언덕의 모양과 거칠지만 부드러운 윤곽선, 지금은 사라졌지만 잠재적으로 회복 가능한 형태. 나는 언덕 자체의 경사와 모양을 드러내어 GOOD SHAPE을 차별화하고 강화하는, 고의적이지는 않지만 더 큰 전체에서 나오는 트리밍 또는 가지 치기의 형태를 상상하기 시작합니다. 예, 그것은 전체로서 파악할 수있는 형태일 수 있으며, 협곡 전체, 전체 기하학적 모양, 전체 형태, 심지어 주름지고 유기적이며 울퉁불퉁하지만 여전히 하나의 것으로 보이는 협곡을 시각화 할 수 있고 실제로 볼 수있는 형태일 수 있습니다. 이제 전체적인 모양에 대한 느낌이 생겼습니다. Then, thinking out loud. The network of broad paths as a structure, it may not be big enough. Although a vision of such a network has a coherent texture, it is not clear enough as a whole, not big enough, in relation to the valley as a whole. What are the features of the canyon as a whole, that could intensify it as a whole? Bill suggests open grass lands of a special shape. I believe that this is still to detailed. The landform of the hills and mountains, the land form itself, the beautiful shapes of hills and the rugged, yet soft contours, lost now, but potentially recoverable. I begin to imagine a form of trimming, or pruning, which reveals the slopes and shapes of the hills themselves, differentiating and strengthening the GOOD SHAPE, not willful but emerging from the larger whole. Yes, that is more like it, it may be a form which becomes graspable as a whole, where we might visualize - and then actually see - the canyon as a whole, a whole geometric shape, a whole form, even wrinkled and organic and rugged, still visible as one thing. So now we have some feeling for an overall shape.
- THIRD IMPACT ON THE WHOLE
다음으로 저는 협곡 전체를 표시하는 센터가 있는 것이 이상적이라고 제안했습니다. 처음에 빌은 제 말을 너무 문자 그대로 받아들였어요. 글렌 존스의 집에는 중앙에 몇 에이커의 평평한 땅이 있다고 하더군요. 자연적인 중심지처럼 보이죠. 하지만 전 그곳을 알아요. 아니, 그건 잘못된 곳이라고, 그건 그냥 '중간'이라고 말하죠. 그것은 전체에서 생겨나서 그것을 살리는 중심이 아닙니다. I suggest next, that ideally there would be a center which marks the canyon as a whole. At first Bill takes me too literally. There is a flat land, at Glen Jones's place, he tells me, a few acres flat, right in the middle. It seems like a natural center. But I know that place. No, I tell him, that is the wrong place, that is just the middle. It is not a center which arises from the whole and lifes it up.
그는 저에게 더 말해달라고 요청합니다. 저는 협곡이 우리에게 전체적으로 감동을 줄 수 있는 어떤 존재 방식을 마음속으로 찾고 있다고 말합니다. 나는 협곡을 따라 구불구불한 길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이상적으로는 협곡의 머리, 교차로가 있는 곳과 다음 협곡으로 들어가는 능선이 있는 곳, 능선에 서서 글렌의 상류에 있는 거의 성 같은 성이 있다면 이상적입니다. 그러나 땅의 실제 중심은 산이 더 가파르고 험준한 왼쪽에 더 멀리 있기 때문에 잘못된 위치에 있습니다. 이곳은 협곡의 머리에 그 지점을 표시하기 위해이 가상의 건물이 있어야 하는 곳입니다. He asks me to say more. I tell him that I am still looking, in my mind, for some way of being, which will allow the canyon to impress us as a whole. I talk about the road winding up the canyon. Ideally, if at the head of the canyon, the place where the crossroads is and the saddle into the next canyon, if there, standing at the saddle, there was a castle, almost like a castle at the headwater of the glen. But it is in the wrong place, because the real center of the land is further to the left, where the mountain is steeper and more rugged. That is where this imaginary building should be, at the head of the canyon, to mark the spot.
- FOURTH STEP IN THE EVOLUTION OF THE WHOLE
이것은 제가 따르고 있는 매우 일반적인 프로세스입니다. 전체를 보면서 전체가 어디서, 어떻게 전체의 머리이자 심장인 중심을 나타내는 벡터를 생성할 수 있는지 스스로에게 묻습니다. 그런 지점을 찾을 수 있다면 그 지점을 강조하고 거기에 보석과 같은 작은 강렬한 중심(건물)을 배치하여 아래쪽으로 영향을 미치고 전체적으로 협곡의 중심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두 개의 중심 시스템을 상상하기 시작했습니다. 하나는 큰 협곡 자체의 중심이고 다른 하나는 보석과 같은 작은 건물로, 둘은 각각 서로를 강화합니다. This is a very general process I am following. Looking at the whole, I ask myself where, and how, the whole might generate a vector which indicates some center that is the head and heart of the whole. If I could find such a point, then we might try to emphasize that point, place some smaller intense center of great beauty (a building like a jewel) there, so that this casts influence downward, and strengthens the center of the canyon as a whole. Thus we are beginning to imagine a two-center system: one center the larger canyon itself, one the smaller jewel-like building, each of the two strengthening the other.
- FIFTH CONTRIBUTION TO THE FORM OF THE WHOLE
저는 빌과 간단히 이야기를 나누면서 우리가 따르고 있는 과정이 매 순간 전체와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강조했습니다. 우리가 취하는 각 단계, 제가 시도하는 모든 것은 전체의 특징을 시각화하고, 전체를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될 만큼 영향력이 크고, 전체가 우리에게 깊은 느낌을 줄 수 있도록 선택하는 것입니다. 어떤 종류의 전체가 그렇게 할 수 있을까요? 전체로서 어떤 형태가 그렇게 할 수 있을까요? 우리는 질감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저는 자료의 전체 통계가 모든 시스템이나 구조의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 인 전체라는 방식을 설명합니다. 이를 클레어몬트 캐년에 적용하여 빌과 저는 초지에 대해 이야기하는데, 빌은 초지 50%, 나무(참나무와 유칼립투스) 50%를 제안합니다. 질감이 중요합니다. 어떤 곳에서는 허허벌판인 열린 땅 자체가 텍스처의 한 종류이고, 어떤 곳에서는 빽빽한 수풀이 텍스처가 되거나 구멍으로 가득 찬 텍스처(스펀지)가 또 다른 텍스처가 될 수 있습니다. 이런 식으로 협곡의 전반적인 품질은 협곡을 전체적으로 파악하고 디자인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I talk briefly with Bill, once again laying emphasis on the fact that the process we are following is concerned with the whole at every moment. Each step we take, everything I try to do, is to visualize a feature of the whole, large enough in its impact to help form the whole, and chosen so that the whole creates deep feeling in us. What kind of whole will do that? What formation as a whole will do it? We talk about texture. I describe for him, the way that the overall statistics of material,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eatures of any system or structure, as a whole. Applying this to Claremont Canyon, Bill and I speak of grassland - he suggests perhaps 50% open grass land, 50% trees (Oaks and Eucalyptus). The texture is vital. In some places open land - void - is itself is one kind of texture; in another place dense cover is a texture, or a texture full of holes (spongy) is another. The overall quality of the canyon, in this way, will help us to grasp it, and design it, as a whole.
- SIXTH CONTRIBUTION TO THE FORM OF THE WHOLE
그러자 빌은 협곡 아래쪽의 도로를 또 다른 주요 중심지로 삼는 것은 어떻겠냐고 제안합니다 제 대답은 도로가 현재 중심이긴 하지만 그다지 영감을 주는 도로는 아니며 아름답고 살아있는 전체로서의 계곡에 대한 비전을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빌의 말처럼 도로 양옆으로 녹색 숲이 펼쳐져 있어 도로만 있는 것이 아니라 가끔 나무가 있고, 개울이 흘러내리고, 전체 협곡의 바닥을 이루는 넓은 녹색 숲이 폭이 100야드 정도 되는 계곡을 따라 계단식 지형을 타고 내려오는 부드러운 녹색 계곡이 된다면 어떨까요? 여기서 우리는 BOUDNARY, 큰 경계가 LEVELS OF SCALE의 형성으로 들어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형태학적으로 전체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크기 때문에 전체에 대한 비전에 더 많은 기여를 하며, 더 깊은 느낌을 주는 상태로 변화시킵니다. Bill then suggests, What about the road at the bottom of the canyon as another main center? My answer is that the road is alrady a center now, but that it is not a very inspiring one, it does not help to form a vision of the valley as a beautiful and living whole. But what if, Bill says, the road is flanked on either side by a green swath so that instead of just the road alone, it is a smooth green valley, with occasional trees, the stream coming down, a wide green swath forming the base of the whole canyon, perhaps 100 yards wide, following the land, jumping down the cascading terrain? Here we see BOUNRDARY, large boundaries, entering into the formation of LEVELS OF SCALE. That contributes more to the vision of the whole, because it is big enough, morphologically, to have real impact on the whole, and transforms it towards a state which has a deeper feeling.
8. The Whole Then Emerges From These Transations
이러한 단계가 얼마나 간단하지만 영감을 주는지 보여드렸습니다. 그것들은 소박합니다; 하지만 상상하는 동안 변화된 전체가 머릿속에 떠오르고, 그곳에 가면 어떤 모습일지 점점 더 생생하게 상상할 수 있습니다. 그것은 현재 존재하는 전체로부터 펼쳐지면서 우리 마음속에서 자연스럽게 생겨납니다. You see how simple, but inspiring these kinds steps can be. They are modest; but as we imaging them, a transformed whole takes shape in our mind, and more and more vividly we can imagine what it would be like to be there. It arises smoothly in our mind, unfolding from the whole which exists at present.
그 그림의 일부는 15가지 속성에 매우 많이 할당되어 있습니다: CENTERS, BOUNDARIES, ALTERNATING REPETITION, GRADIENTS, GOOD SHAPE, LOCAL SYMMETRIES, DEEP INTERLOCK, ECHOES ... 이러한 속성은 머릿속에서 차별화되는 그림이 자연스럽게 표현되는 언어입니다. Part of the picture is very much given to the fifteen properties: CENTERS, BOUNDARIES, ALTERNATING REPETITION, GRADIENTS, GOOD SHAPE, LOCAL SYMMETRIES, DEEP INTERLOCK, ECHOES ... These properties are the language in which the picture, as it differentiates in your mind, naturally presents itself.
그 그림을 언어적 형태로 유지하되, 그림을 그리는 동안 우리가 상상하는 내용이 매우 물리적이고 글로벌하다는 점, 즉 개별적인 특징이 각각 전체의 형태와 느낌에 중요한 기여를 한다는 점을 강조함으로써 전체 협곡을 위한 디자인인 큰 계곡의 구성을 향해 점차적으로 작업합니다. By retaining the picture in verbal form, but by insisting, while we create it, that the content of what we imagine is very physical and global - in other words, that the separate features each make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form and feeling of the whole - we gradually work towards a configuration for the valley in the large which is a design for the whole canyon.
우리는 아직 아무것도 결정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이야기하는 동안 이러한 각 아이디어는 언어적 형태로 강력하고 강력하게 느껴지는 시각화된 전체의 일부로 남아 있습니다. 눈을 감으면 빌과 제가 논의한 여섯 가지가 하나씩 떠오릅니다. 이 아이디어들은 제 머릿속에서 자유롭게 결합되어 하나의 큰 그림을 형성합니다. 물론 아직 완성되지는 않았지만요. 그것들은 영감을 주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림에서 얻는 다소 죽어 있고 부정확한 정보는 많은 부분에서 틀릴 수 있으며 어쨌든 전체 디자인에 대해 필요한 영감을 얻지 못합니다. 머릿속으로 그리는 것이 더 생생합니다. 하지만 협곡의 실제 모델에 구조를 그리거나 표시하라는 요청을 받으면 한 번에 그릴 수 있습니다. We have decided nothing yet. But as we talk, each of these ideas remains, in verbal form, part of a strongly, powerfully felt visualized whole. Closing my eyes, I see each of the six things Bill and I have discussed. They coalesce freely in my mind, to form a single larger picture - still not complete, of course. They have an inspiring quality. It is not like the rather dead and inaccurate information one gets from a drawing, which would be wrong in so many places, and which - anyway - would not give us the inspiration we need about the design of the whole. It is more vivid in the mind's eye. Yet, if caled upon to draw it, or to indicate the structure on a physical model of the canyon, I could do so at once.
...
9. Microcosm of A Process Which Is Guided By The Whole
프로세스의 각 단계가 전체를 향상시킨다는 것이 실제로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명확하고 직관적인 작은 이미지를 독자들에게 남기기 위해 이 장의 마지막을 그림의 예로 마무리하겠습니다. 이 예는 회화의 경우 전체성을 향상시키는 살아있는 프로세스가 어떤 것인지 보여주기 위한 것입니다. To leave the reader with a clear, and intuitive small image of what it really means to make each step of a process enhance the whole, I shall close this chapter with an example of a painting. The example is intended to show, for painting, what a living process is like in its wholeness-enhancing nature.
이 과정은 오클랜드 항구의 한 배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어느 날 베이 브릿지를 지나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화물선을 몇 초 동안 잠깐 본 적이 있습니다. 그 장면의 전체성, 즉 배, 물, 다리, 항구의 전체성이 제 마음속에 남아있었습니다. 이 전체성은 그림에서 어느 정도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청록색 선체와 붉은 물줄기, 하늘을 배경으로 한 두 마리의 학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이 전체성에는 쉽게 설명할 수 없는 큰 측면이 있습니다. 제가 이 장면을 볼 수 있었던 주변 다리의 검은색, 흰색 크레인 주변의 빛, 크레인과 배 사이로 리듬감 있게 보이는 오클랜드 항구의 먼 어둠, 검은색, 흰색, 청록색, 빨간색의 섬광, 물 위의 반짝임 등 전체적인 색채 감각이 바로 그것입니다. This process started with a ship in the Port of Oakland. I caught a glimpse of a cargo ship for a few seconds as I was driving home on the Bay Bridge one day. What stayed in my mind was the wholeness of the scene; by this I mean the wholeness of the ship, water, bridge, port. This wholeness is visible to some extent in the painting illustrated. It does consist, of course, of the turquoise hull, the red waterline; the two cranes against the sky. But there is a large aspect to the wholeness, not so easily described. This is the blackness of the bridge around me, and from which I saw the scene; the light around the white cranes; the distant darkness of the Port of Oakland, rhythmically visible through the cranes and the ship; the overall color sense, the black, the white, the turquoise and flashes of red; the shimmer on the water.
이 모든 것이 한순간 눈에 보이는 그 장소의 온전함이었습니다. 구체적으로, 그 온전함은 일종의 빛으로 경험되고 기억되었습니다. 저는 이 온전함의 질, 그 구조를 기억했는데, 1권에서 설명한 것처럼 센터들의 패턴을 기억하는 것이 아니라, 이 온전함의 멜로디를 하나의 구조로 기억했습니다. 저는 이 멜로디를 느낌이나 일종의 빛으로 경험했습니다. 그런 다음 스튜디오로 돌아가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을 때 그 빛과 멜로디로 빛나는 이 전체성을 다시 확립하는 오브제를 만들려고 노력했습니다. 그래서 장면의 디테일이 아니라 전체성, 생명을 모방하려고 노력했습니다. 그리고 그 삶을 전체적으로 담아내기 위해 다양한 디테일을 구성했고, 그 디테일이 그 느낌과 그 전체성, 그 삶을 빛나게 만들 때까지 노력했습니다. All this was the wholeness of that place, visible for an instant. Concretely, the wholeness was experienced, and remembered, as a kind of light. I remembered the quality of this wholeness, its structure, not by remembering a pattern of centers as described in Book 1, but by remembering the melody of this wholeness as a single structure. I experienced this melody as a feeling, or as a kind of light. Then, when I went back to my studio, and started the painting, I tried to create an object which re-established this wholeness, which shone with that light, that melody. So, I was trying to copy, not the details of the scene but the wholeness, the life. Then, in trying to capture this life as a whole, I constructed a variety of details, until these details made that feeling and that wholeness and that life shine out.
일반적으로 중요한 것은 디테일이 아닌 전체에 초점을 맞춰 작업했다는 점입니다. 그 배를 본 순간, 그 순간에 존재했던 특정한 빛의 느낌에 집중했습니다. 이 구조를 머릿속에 간직하려고 노력했습니다. 짙은 청록색 물, 옅은 청록색 배, 위쪽은 빨간색, 아래쪽은 빨간색 줄무늬, 빨간색과 흰색 화물 컨테이너, 짙은 회색 안개에 실루엣을 드러낸 두 개의 흰색 크레인 등 주요 색상을 빠르게 머릿속에 떠올렸죠. 그게 제가 가진 시간의 전부였습니다. 그 순간 제가 느꼈고 지금도 기억에 남는 것은 디테일이 아니라 전체적으로 발생한 특정 색의 빛이라는 장면의 전체성, 즉 특정한 종류의 빛이었습니다. In general, the important thing is that the process was not based on details, but on the whole. At the moment I saw the ship, I concentrated on the particular feeling of light which existed at that moment. I tried to retain this structure in my mind. I made a quick mental note of the main colors: dark blue-green water; the ship pale qurquoise, red stripe above, red below; cargo containers red and white; the two white cranes, silhouetted against the dark gray billowing fog. That was as much as I had time for. What I felt at that moment and remember even now, was the particular kind of light, the wholeness of the scene - not its details, but a particular colored light, which occurred as a whole.
나중에 스튜디오에서 이 전체성을 재현하려고 노력하기 시작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저는 일반적인 의미에서 장면을 사실적으로 그리려고 한 것이 아닙니다. 배를 세밀하게 그리거나 물을 세밀하게 그리거나 다리를 세밀하게 그리려고 한 것이 아닙니다. 만약 제가 이 작업을 했다면 디테일에서 전체성을 구축하려고 했을 것입니다. 하지만 그렇게 하면 효과가 없었을 것이고, 제가 한 일도 그렇게 하지 않았습니다. 저는 그저 제가 보았던 생생한 생명이 가득한 빛이 그림에서 어떻게든 빛나기 시작하길 바라며 종이에 색을 칠하기 시작했습니다. 그것이 제가 중요하게 생각한 것입니다. 그래서 저는 삶을 그리는 것이 아니라 삶을 발산하는 그림을 그리려고 노력했고, 처음에는 카드에 색연필로, 나중에는 보드에 유화로 자율적인 구성을 만들었습니다. Later, in my studio, I began trying to re-create this wholeness. In doing this, I was not trying to make the scene realistic in the ordinary sense. I was not trying to paint the ship in detail, or the water in detail, or the bridge in detail. If I had been doing this, I would have been trying to build the wholeness from the details. But that would not have worked, and that is not what I did. I simply began placing colors on the paper, in the hope that the vivid life-filled light which I had seen would somehow begin to shine forth from the painting. That is what I cared about. So, I was not drawing from life, but trying to create a drawing which would give off life, making an autonomous construction (at first, in colored pencil on a piece of card, later in oils on a board).
시작했을 때 사진에는 실제 장면의 실제 빛이 전혀 없었고 장면을 보았을 때 느꼈던 실제 느낌으로 빛나지 않았습니다. 분홍빛이 도는 붉은색을 시도했는데 줄무늬가 너무 균일했습니다. 위쪽을 더 얇게 만들었습니다. 빨간색을 더 붉게 만들었습니다. 물에 진한 군청색을 넣었습니다. 너무 달콤해졌어요. 어느 순간 다리 부재의 검은색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깨달았고, 사실감 때문이 아니라 검은색이 빛을 바꾸기 때문에 넣었습니다. 배 뒤에 회색 레이어를 만들었는데, 그 중 하나는 다른 레이어를 더 밝게 만들기 위해 거의 검은색에 가까웠습니다. 훨씬 후에 안개의 윗부분에 보라색 줄무늬를 넣기로 결정했습니다. 실제 상황에 그런 것이 있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보라색 줄무늬를 넣었더니 전날 장면에서 보았던 것처럼 보트가 정말 빛나기 시작했습니다. 분홍색, 보랏빛 회색, 더 많은 흰색... 매번 어떤 종류의 변화를 발견했지만 빛이 만들어지는 것은 아니었습니다. When I began, the picture didn't have the real light of the actual scene at all, nor did it shine with the actual feeling I felt when I saw the scene. I tried a pinkish red, the stripes were too equal. I made the top one thinner. I made the red more red. I put deep ultramarine in the water. It became too sweet. I realized at a certain point that the blackness of the bridge members played a role, and I put them in - not because of realism, but because the black changed the light. I made layers of gray behind the ship - one of them almost black in order to make the others more brilliant. Much later, I decide to put violet streaks in the upper layers of fog. I have no idea if there was anything like that in the actual situation. But when I put in those flashes of violet, the boat began to shine in the way it really was shining when I saw the scene the day before. I had already tried pink, violeted gray, more white ... each time I noticed a change of some kind, but not the creation of the light.
하늘에 보랏빛 섬광을 비추고 나서야 보트가 빛나기 시작했습니다. 크레인 근처에 연한 녹색의 작은 터치도 마찬가지입니다. 다시 말하지만, 실제 상황에 그런 것이 있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녹색은 나무, 풀, 녹색 컨테이너 등 제가 실제로 본 것을 나타내는 것이 아닙니다. 제가 아는 것은 이 녹색 터치를 넣었을 때 크레인에 생명이 생기기 시작했고, 실제 장면과 비슷한 방식으로 전체가 빛으로 빛나기 시작했다는 것입니다. It wasn't until I put the flashes of violet in the sky that the boat began to shine. The same with the small touches of light green near the cranes. Again, I don't know if there was anything like that it in the actual situation. The green doesn't represent trees, or grass, or green containers, or anything that I actually saw. What I know is that when I put in these touches of green, the cranes began to have a life, the wholeness began to shine with light, in a fashion something like the actual scene.
크레인을 더 하얗게, 덜 하얗게 만드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밝은 청록색을 더 파랗게, 더 초록색으로, 더 회색으로 만들고 빛을 내기 시작할 때까지 계속 변경했습니다. 물의 경우 실제로는 매우 짙은 녹색의 청록색이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하지만 제가 기억하는 색을 그대로 담으려고 하지는 않았어요. 제가 한 일은 파란색, 녹색, 녹색 레이어, 칙칙한 파란색 레이어, 군청색 터치, 마지막으로 보트가 빛나고 다리가 빛날 때까지 전체에 얇은 회색을 입히는 작업이었습니다. 최종 버전에서는 물의 진한 파란색을 긁어 희끄무레한 선을 만들었습니다. 객관적으로 그날의 실제 물은 이와 같지 않았습니다. 어둡고 하이라이트가 많지 않았죠. 그런데 물의 짙은 파란색을 긁어내니 그림의 전체적인 빛이 실제 빛과 비슷해졌습니다. 전체가 더 정확해졌죠. 디테일은 기계적인 의미에서 덜 정확했지만 실질적인 의미는 거의 없었습니다. 중요한 것은 전체성이었습니다. In the same way I made the cranes more white, less white, I made the light turquoise more blue, more green, more gray, kept on changing it, until it began to give out light. In the case of the water I remember what it actually was like, a very dark green turquoise. But I didn't try to capture the color I remembered. What I did was to work at the blue, the green, working over layers of green, layers of a grayish blue, touches of ultramarine - finally a coat of thin gray over the whole, until it made the boat shine and made the bridge shine. In the final version, I scratched the dark blue of the water to make whitish lines in it. Objectively, the actual water on that day was not like this. It was dark, and didn't have many highlights. But when I scratched the dark blue of the water, the overall light in the painting became more like the real light. The whole was more accurate. The detail was in some mechanical sense less accurate - but that had little practical meaning. It was the wholeness which mattered.
이 과정에서 전체성이 디테일을 만들어냅니다. 이것이 바로 제가 말하는 새로운 종류의 프로세스입니다. 살아있는 전체성이 모든 단계를 안내합니다. 디테일은 그 전체성과 그 느낌을 최대한 정확하게 만들어내기 위해 태어나고, 만들어지고, 존재하게 됩니다. 중요한 것은 전체의 생명입니다. In this process, the wholeness generates the detail. This is what I mean by a new kind of process. The living wholeness guides every step. The details are born, created, brought into existence, only to create that wholeness and its feeling as accurately as possible. It is the life of the whole which matters.
그런데 이상하게도 이 과정의 결과로 그림이 매우 사실적으로 보입니다. 그림을 보는 순간 그 장면 자체가 제 안에서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느낌을 줍니다. 하지만 그것이 사실적으로 느껴지는 것은 디테일을 기계적으로 베낀 것이 아니라 전체성이라는 실제 삶에서 생성된 것이기 때문입니다. Oddly, though, as a result of this process, the painting seems very realistic. It creates the same feeling as the scene itself created in me at the moment when I saw it. But it became realistic because it was generated from the real life of the wholeness, not because of slavish mechanical copying of details.
그리고 앞서 말했듯이 15가지 변형이 전체가 등장하는 과정에 어떤 방식으로 들어갔는지에 대해 한두 마디 말씀드리겠습니다. 다시 한 번, 전체성에 초점을 맞추고 이번에는 색을 통해 전체를 향상시키려는 시도는 자연스럽게 색을 만드는 기하학적 구조의 열다섯 가지 속성 중 일부를 가져옵니다. 이 장면의 배경이 되는 베이 브릿지는 커다란 BOUNDARY의 검은색 단색으로 배의 색을 더욱 강조합니다. 파도의 반짝임을 형성하는 긁힌 자국은 ALTERNATING REPETITION과 ROUGHNESS를 제공하고 물의 전체성을 강화합니다. 배를 따라 이어지는 줄무늬는 선체와 경계를 형성하고 LEVELS OF SCALE을 형성하도록 크기와 배치가 되어 있습니다. 크레인과 흰색 물감 얼룩이 하늘에 ECHOES를 형성합니다. And, as I did earlier, I will say a word or two about the way the fifteen transformations entered into the process by which the whole emerged. Once again, the focus on wholeness, and the attempt to enhance the whole (this time through color) brings with it, naturally, some of the fifteen properties in the geometric structure which creates the color. The Bay Bridge from which the scene is drawn, is a big BOUNDARY, solid black, intensifying the color of the ship. The scratches forming the sparkle of the waves privide ALTERNATING REPETITION and ROUGHNESS, and intensify the wholeness of the water. The stripe along the ship, is sized and placed to form a hull and a boundary and LEVELS OF SCALE. The cranes and white flecks of paint form ECHOES in the sky.
각각의 경우 문제의 속성의 모양은 원래 관찰된 전체성(다리 자체)에 존재하며 그림에서 전체성을 형성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데, 그 역시 15가지 속성을 통해 서로 활기를 불어넣는 센터들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 다음 그림의 이러한 구조를, 15가지 속성의 작용을, 정확히 한 번에 하나씩, 강조하고 증가시킴으로써 전개 과정에서 전체성을 강조하고 그 전체의 생생한 버전을 만드는 데 강화되고 사용될 수 있습니다. In each case the appearance of the property in question is present in the wholeness observed originally (the bridge itself) and plays a key role in forming the wholeness in the painting because that, too, is made of structures of centers which enliven one another through the fifteen properties. This structure of the picture may then be intensified and used, in the process of unfolding, to accentuate the wholeness, and to create a vivid version of that whole, exactly by underlining and increasing the action of the emergent fifteen properties, one at a time.
10. In Summary
삶의 과정에서 항상 일어나는 일은 모든 단계(크든 작든, 늦게 오든 일찍 오든)가 전체의 아름다움, 즉 생명을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 과정은 상황으로부터 나오는 가능한 전체에 대한 비전에서 시작되며, 이는 세상의 형태에서 성장하는 것으로 느껴집니다. 모든 단계는 이 거대한 전체의 느낌이 더 깊고 강렬하게 만들어지고 있다는 생각으로 이루어집니다. In a living process, what is always happening is that every step (large or small, whether it comes late or early) is done in such a way as to increase the beauty - the life - of the whole. The process starts with a vision of a possible whole that comes out of the circumstances, that is felt as something which grows out of the form of the world. Every step is made with the idea that the feeling of this very large whole is being made deeper, more intense.
비록 미미한 발걸음일지라도, 이것이 기본 원칙입니다. Even if it is only a tiny step, this is still the guiding rule.
10. Always Making Centers: So that every center is shaped by then next step in the differentiation
항상 센터들을 만들기: 모든 센터가 다음 단계의 분화까지 형성되도록 합니다 Always Making Centers: So that every center is shaped by then next step in the differentiation
1. Emerging Centers Which Help The Whole
이제, 분화가 이루어지는 프로세스를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이것은 반복에 반복을 해서 적용되고, 완전한 건물을 생성하며, 센터 센터마다, 센터가 수천 개에 이를 때까지, 수십 단계의 규모로, 디자인을 완전히 결정합니다. I shall now describe, in some detail, the process through which differentiation, applied again and again, generates a complete building, center by center, until thousands of centers, at dozens of levels of scale, completely determine the design.
1권에서 저는 살아있는 전체성이 STRONG CENTERS의 구조, 즉 여러 규모로 존재하는 중심이 서로를 강화하며 장을 형성하는 방식에 대해 광범위하게 설명했습니다. 저는 또한 구조가 생명을 가질 때 존재하는 이러한 많은 중심이 주로 뚜렷한 구성 요소가 아니라 거의 보이지 않는 공간의 일부분이며, 그 "centeredness"가 모양 안에서 작용하여 GOOD SHAPE을 만들고, 공간의 요소 사이에서 작용하여 POSITIVE SPACE을 만들거나, 공간 전체에서 거의 보이지 않는 조화와 관계, 편안한 NOT-SEPARATENESS을 만드는 방식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이 모든 것을 저는 전체를 센터들의 장(field)이라고 부르며 요약했습니다. In Book 1, I have given extensive description of the way that a living wholeness is a structure of STRONG CENTERS, centers existing at many scales, mutually reinforcing each other and forming a field. I have shown also that many of these centers which are present when a structure has life are not chiefly obvious distinct components but very often nearly invisible pieces of space whose "centeredness" acts within a shape to make it a GOOD SHAPE, act between elements of space to make POSITIVE SPACE, or acts in such a way as to make almost invisible harmonies, relationships, and comfortable NOT-SEPARATENESS in space as a whole. All this, I have summarized by calling the wholeness a "field" of centers.
따라서, 살아있는 전체가 단계적으로 구축 될 때, 공간 전체에 걸쳐 만들어져야 하는 것은, 전체에 힘을 실어주는 이 모든 센터들이라는 것이 분명합니다. 그러므로 이제 센터들이 만들어지는 방식과, 전체성과 전체의 생명에 기여하도록 형성되는 방식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해 보겠습니다. When a living whole is to be built step by step, it is clear, therefore, that what must be created, throughout the space, are precisely all these centers from which the wholeness gets its strength. Let us therefore now discuss, concretely, the way that centers are made, and the way that they are shaped so as to contribute to the wholeness and the life of the whole.
당연히 떠오르는 질문은, 어떻게 이런 일이 일어날 수 있을까요? 어떤 종류의 센터-생성 단계들이 점진적(단계적)이면서 동시에 각 단계가 진행될 때마다 전체성을 수리하고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그런 영향을 미칠 수 있을까요? Of course the question that arises is, How is this to happen? What kinds of center-creating steps can have such an impact that is both piecemeal (step by step) and yet also helping to repair and enhance the whole in its wholeness at each step forward.
그 해답은 전체성의 이론 자체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센터들은 원자적이지 않으며, 일반적인 의미에서 빌딩 블록이 아닙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모든 발전에서 증가의 단위이며, 전체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전체가 펼쳐질 수 있게 합니다. 그 이유는 센터들은 무엇보다도, 불안정하고, 전체성의 초점이며, 사물이 아니라 지역, 자질, 중심성(centeredness)의 초점으로, 변화함에 따라, 개선됨에 따라, 그들은 앞으로 나아가면서 전체성에 융합되어, 전체성을 향상시키고 확대하고 확장하는 데 이상적입니다. The answer comes from the theory of wholeness itself. Centers are not atomic, and are not in any normal sense building blocks. They are nevertheless the units of increase for all development, which allow a whole to unfold without damaging the wholeness. That is because centers are above all, labile, they are foci of wholeness, they are not things, but regions, qualities, focal points of centeredness which as they change, as they are improved, are ideally suited to enhance and enlarge and extend the whole while making that wholeness benefit, while they are fused into the wholeness, as they go forward.
따라서 생명이 창조되기 위해서는 매 순간, 다음 단계마다 건설되고, 확장되고, 추가되어야 하는 것은 센터: 즉 자라나는 전체의 구조 안으로 주입되어야 하는 중심성(centereredness)의 장(field)입니다. 이것은 어떤 종류의 빌딩 블록을 추가하는 과정이 아닙니다. 그것은 기존의 전체성의 구조를 이전과 같이 강화하고 유지하는 데 가장 큰 도움이 될 수 있는 지점에서 기존의 전체성에 필드와-같은 중앙성(centrality)을 주입하는 동시에, 새롭고 더 살아있는 상태로 나아갈 수 있도록 유도하는 문제입니다. So, for life to be created, what must be built, extended, added, at every moment, at every next step, is a center: a field of centereredness which is to be injected into the structure of the growing whole. This is not a process of adding a building block of some kind. It is a question of injecting a field-like centrality into the existing wholeness at that point where it can do most good to enhance and sustain the structure of the wholeness as it was before, while also now nudging it forward to a new, more living state.
이러한 관점을 고려할 때, 어떤 일이 전개되면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을까요? 새로운 센터들이 형성되고, 새로운 센터들이 형성됨에 따라, 공간은 국지적으로뿐만 아니라, 새로 형성되는 센터 주변에서, 자체적으로 재배치됩니다. POSITIVE SPACE은 센터가 더 명확해지고, 평범한 센터가 STRONG CENTER로 만들어지면서 발생합니다. 그리고 POSITIVE SPACE가 발생하고 더 강한 센터가 발생함에 따라 구조는 더 명확하고, 더 명확하게 차별화되고, 더 명확해집니다. Given this point of view, what then is happening when something unfolds? New centers are formed, and as they form, the space rearranges itself, not only locally, but in the neighborhood of the newly forming center. POSITIVE SPACE occurs as centers are made more definite, ordinary centers are made STRONG CENTERS. And as POSITIVE SPACE occurs, and stronger centeres occurs, the structure becomes more definite, more clearly differentiated, more articulate.
제대로 작동하는 프로세스의 주된 특징은 모든 단계에서 프로세스는 전체의 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이러한 개선이 이루어지도록 부분을 형성한다는 문장으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같은 지점에 대한 상호 보완적인 관점은 부분은 전체 내에서 그리고 전체에 의해 형성된다는 것입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더 큰 전체에 지속적으로 초점을 맞추고, 작은 행위 하나하나, 그리고 만들어지는 작은 조각 하나하나에서 그 과정이 구조 내에서 더 큰 전체의 중요한 형태와 조직에 기여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입니다. 모든 작은 부분은 더 큰 구조의 삶에서 효과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형성됩니다. The dominant feature of a process that is working correctly is summarized in the statement: at every step, the process does its utmost to enhance the structure of the whole, and shapes its parts to make this enhancement happen. The complementary view of the same point is that the parts are formed within the whole and by the whole. Most important is the constant focus on larger wholes, and the awareness in each small act, and in each small piece that is created, the process is contributing to the significant shape and organization of larger wholes within the structure. Every small part is shaped in order to play an effective role in the life of the larger structure.
기계적 과정에서 부분은 전체와 독립적으로 형성된 다음 서로 더해져 집합체를 형성합니다. 살아있는 구조에서 부분은 전체 안에서 존재하고, 전체로부터 벗어나고, 전체에 존재하는 것에 의해 결정되고 형성되며, 무엇보다도 그 안에 존재하는 잠재적 구조에 따라 전체를 변형시킵니다. 이것이 바로 살아있는 것을 표시하고 기계적인 것과 구별하는 규칙입니다. In a mechanical process, parts are formed independently of the whole, and then added together to form an aggregation. In a living structure, the parts come into being within the whole, they break out from the whole, they are determined and shaped by their present in the whole, and above all they transform the whole according to the latent structure which exists in it. That is the rule which marks the living, and distinguishes it from the mechanical.
2. A Snow Block In an Igloo
눈 블록으로 이글루를 만드는 전통적인 과정을 생각해 보세요. 이글루는 큰 직사각형 눈 블록을 잘라 벽을 만들고, 먼저 벽의 바닥을 만든 다음 안쪽으로 구부러지는 벽 상단의 곡선 부분과 마지막으로 지붕을 만들어 대략적으로 둥근 구조로 만듭니다. 처음 자른 눈 블록은 대략 직사각형의 블록이었습니다. 하지만 제자리에 놓자마자 이글루의 평면과 단면이 둥근 모양에 맞도록 밀고, 다듬고, 뭉개서 금고 모양을 만들어야 했습니다. Consider the traditional process of making an igloo from snow blocks. The igloo is a roughly round structure, built by cutting big rectangular blocks of snow and placing them to form th wall - first the base of the wall, then the curving part of the wall top, as it curves inward, and finally the roof. The snow block, when it was first cut, was a roughly rectangular block. But as soon as one put it in place, it had to be pushed, trimmed, and squashed to make it conform to the emerging roundness of the igloo both in plan and in sections as one formed the vault.
다음은 전체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부분을 형성할 수 있는지에 대한 완벽한 예입니다. 부분은 자율적으로 시작됩니다. 그러나 눈은 펴서 늘일 수 있고, 형태를 만들 수 있고, 자를 수 있고, 모양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제자리에 놓이자마자 전체에 적응하여 전체는 진화하고 부분은 전체에서 자신의 위치에 따라 모양을 갖추게 됩니다. 나중에는 전체에 녹아들어 더 이상 구분할 수 없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형성되는 센터들은 어떻게 될까요? 블록 자체는 천천히 형성되며, 각 블록은 위치에 따라 더욱 뚜렷하고 고도로 분화된 모양을 갖게 되고, GOOD SHAPE과 STRONG CENTERS이 등장합니다. 블록 사이의 공간도 닫히면서 일관된 센터들이 되고, 공간으로서 더 긍정적이며 그 자체로 더 센터 같은 것이 됩니다. NOT-SEPARATENESS은 분리할 수 없게 되면서 나타납니다. Here is a perfect example of the way awareness of the whole may shape the part. The part starts out autonomous. But because the snow is malleable, moldable, cuttable, and shapeable, it is adapted to the whole as soon as it is put in place: the whole evolves, and the part gets shaped according to its position in the whole. Later, it melts into the whole, and becomes almost indistinguishable any more. And what of the centers which are forming, during this process? The blocks themselves are forming slowly, each one getting a more distinct more highly idfferentiated shape, according to position, GOOD SHAPE and STRONG CENTERS emerge. The spaces between the blocks, being closed up, become coherent centers too, and they become more positive as space, and themselves more center-like. NOT-SEPARATENESS appears as they become inseparable.
이러한 상황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자세히 분석해 보면 두 가지 방향의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첫째, 분명히 부분은 전체에서 차지하는 위치에 따라 영향을 받습니다. 눈 블록은 모듈식이 아니라 둥근 돔형 이글루의 모양에 대한 위치와 기여도에 따라 고유 한 모양을 갖습니다. 둘째, 부분은 큰 측면에서 떠오르는 전체의 수명을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만들어집니다. 이글루는 모양과 전체적으로 새 블록이 들어감에 따라 더 좋아지고 이전보다 더 많은 살아있는 구조를 갖습니다: 개선됩니다. 블록이 추가될 때마다 전체가 확장되고 더 강해집니다. 이것은 모듈형 패널로 창고를 건설하는 것과는 매우 다릅니다. 창고에서는 부품이 올라갈수록 더 많은 부품을 볼 수 있지만 건물은 더 좋아지지 않습니다. 이글루는 새로운 스노우 블록이 도입될 때마다 개선과 개선의 기회가 생기기 때문에 더 좋아집니다. 작은 센터들(스노우 블록)은 더 큰 센터들(이글루)의 수명을 돕기 위해 형성되며, 그 과정에서 떠오르는 전체에 의해 모양이 만들어집니다. If we analyze carefully what is going on in such a situation, we see two directions of influence. First, obviously, the part is influenced by its position in the whole. The snow block is not modular, but uniquely shaped according to its position and contribution to the shape of the round, domed igloo. Second, the part is made in such a way as to increase the life of the emerging whole in its large aspects. The igloo, as a shape and as a whole, gets better as the new block is put into it, has more living structure than before: It is improved. With each added bock, the wholeness is extended and made stronger. This is very different from construction of a warehouse from modular panels. In the warehouse you see more of the parts as they go up, but the building is not getting better. The igloo gets better, since each new snow block creates opportunities for refinment and improvement as it is introduced. The small centers (snow blocks) are formed to help the life of the larger center (igloo), and in the process are shaped by the emerging whole.
3. A Power Station Made to Help a Valley
더 큰 예를 들어 오스트리아 알프스 산맥의 아름다운 봉우리와 숲이 보이는 계곡에 발전소를 건설해야 한다고 가정해 봅시다. "그곳에는 발전소를 지을 수 없다. 너무 훼손될 것이다."라고 쉽게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어떤 이유로 그곳에 발전소를 지어야 한다고 상상해 봅시다. 안 된다고 말한다고 해서 문제가 해결되는 것은 아닙니다. Let's take a larger example, and imagine that we are responsible for placing a power station in the Austrian Alps, in a particularly beautiful valley, with lovely peaks and forests visible. It would be easy enough to say, "We cannot build a power station there, it would be too damaging." But let us imagine, further, that for some reason it is necessary to put it there. Just saying no, does not solve the problem.
...
이 모든 일을 하기 위해 우리는 그 장소에 있는 동안에도 계속 살펴봅니다. 또한 발전소가 어디에 위치할지, 어떤 모습일지, 계곡을 더 좋게 만들 수 있다는 우리의 생각이 옳은지 확인하기 위해 계속해서 사진을 찍고 발전소의 규모를 그려 넣습니다. To do all this, we not only keep on looking while we are in the place itself. We also keep on taking pictures, then drawing in the volume of the power station so that we can see just where it will be, what it will look like - and whether we are right in thinking that it can make the valley better.
이 모든 것이 매우 합리적입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현대적인 계획 프로세스에 따라 이러한 일이 일반적으로 수행되는 방식과는 다르다는 점을 인정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일반적인 계획 및 개발 프로세스에서는 전력 회사가 유리한 장소(저렴하고 접근이 쉬운 곳 등)를 선택합니다. 그런 다음 기획자는 해당 부지를 수락하거나 거부합니다(약간의 협상과 종종 정치적 압력을 받아 수락하는 경우도 있음). 그런 다음 건물이 지어집니다. 이러한 과정은 건물이 들어설 장소 전체의 이익을 고려하는 요소가 없기 때문에 살아있는 과정이 아닙니다. This is all very sensible. I think we must acknowledge, though, that it is different from the way these things are normally done according to most modern planning processes. In the typical planning and development process, the power company choose a place which is to their advantage (cheap, easy access, and so on). The planners then accept or reject the site (with some negotiation, and often with political pressure to accept). Then the building is built. Such a process is not a living process, because it has no component which draws attention to the good of the whole landscape where this is to occur.
제가 제안하는 것은 상당히 다릅니다. 작은 센터(새 발전소의 15에이커 부지)는 더 큰 센터(계곡 전체)에 가장 큰 이익을 가져다주는 방식으로 배치되고 형성되고 모양이 만들어집니다. 이 발전소가 건설될 지구의 지역에 대한 혜택은 분명합니다. 그러나 현재 상황에서는 중심지 형성 과정이 현재의 정치 권력이나 현재 과정의 운영 단계에 의해 대표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그러한 과정은 분명히 가능합니다. What I propose is quite different. The smaller center (the fifteen-acre site of the new power station) is placed and formed and shaped in its entirety in such a way to to bring the most good to the larger center (the whole valley). The benefit to the region of Earth where this power station is to be built is obvious. But as things stand, the center-forming process is not represented in the present proess by any present political power, or by any operational step in the present process. Yet, in principle, such a process is clearly possible.
4. An Operational Basis: How Each Center, As It is Formed, May be Chosen to Help Increase the Life of the Whole
눈 블록은 건축가의 머릿속에 떠오르는 반구형 건물에 대한 불완전하게 정의된 아이디어를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되며, 정확하지는 않지만 개별 블록의 절단과 모양을 이 더 큰 전체를 향해 유도할 수 있을 만큼 명확하게 그의 행동의 목표가 됩니다. 각 블록은 중심이 없는 미-분화된 블록으로 시작하여 모양을 만들고, 밀고, 다듬고, 전체에서 자신의 위치를 차지하면서 살아 있는 중심이 됩니다. The snow block helps to form an emerging, imperfectly defined idea of a half-spherical building, which is seen in the builder's mind, and is a target of his actions - imprecise, yet clear enough to steer the cutting and shaping of the individual bocks towards this larger whole. Each block starts as an undifferentiated block, without much existence as a center, then becomes a living center as it is shaped, pushed, trimmed, to take its position in the whole.
오스트리아의 발전소는 올바르게 배치되면 오염되지 않은 아름다운 계곡이라는 계곡 전체에 대한 비전에 따라 중심이 됩니다. 이 비전은 발전소를 위한 적절한 장소를 찾는 작업을 이끌고, 그 과정은 계곡의 살아있는 구조에 기여하기 때문에 발전소를 - 세밀하고 차별화되고, 현실적이며, 도움이 되는 - 살아있는 센터로서의 디자인을 형성합니다. The austrian power station, when correctly placed, is a center guided by a vision of the whole valley, as it might be, a beautiful valley, uncontaminated. This vision steers the work of finding the right place for the power station, and that process in turn then shapes the design of the power station as a living center - makes it detailed, differentiated, realistic, and helpful - because of the contribution that it makes to the living structure of the valley.
제가 패서디나의 공동주택에 제안한 규칙(250~51페이지에 제시)은 모두가 즐길 수 있는 유용하고 사교적이며 아름다운 거리의 출현을 돕기 위해 고안되었습니다. 이 과정은 (그러한 거리의 청사진 없이) 각 신청자가 더 큰 전체가 출현하는 데 도움이 되는 방법을 찾는 "아이디어"에 의해서만 추진되었습니다. The rule I proposed for apartment house in Pasadena (given on pages 250~51) was designed to help the emergence of the street as a useful, social, beautiful place that could be enjoyed by everyone. The process was (without a blueprint of such a street) to be driven only by the "idea" that each applicant finds some way of helping the larger whole to emerge.
이 세 가지 경우 각각에서 "전체의 생명"을 보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다만 작은 센터들이 그 생명에 기여하도록 강요하는 것이 어려울 뿐입니다. 그러나 작은 행위가 기여하도록 만들 수 있을 만큼 (아직 알려지지 않은) 전체에 대한 비전이 충분히 명확하지 않다고 주장할 수도 있습니다. 패서디나 거리의 경우, 개발 의지가 없는 개발자는 그 거리가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지 파악하지 못하기 때문에 자신이 어떻게 기여할 수 있을지 아직 모른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무엇을 해야 할지 안다고 해서 목표가 무엇인지 아는 것은 아닙니다. 그것은 원하는 최종 상태의 구체적인 모델이 없는 경우에도 시스템의 생명과 전체가 프로세스로서 "느낄 수"있기 때문에 공식화되지 않은 전체를 향해 갈 수 있는 능력을 갖는 것을 의미합니다. 중요한 사실이자 모든 살아있는 과정의 본질은, 실험을 통해 전체성에 무엇이 필요한지, 어디로 가고 있는지, 무엇이 현재 전체에 가장 구조를 보존하는지, 무엇이 전체의 생명에 기여하는지, 무엇을 전체성이 필요로 하는지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되는 실험을 고안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제가 입증했듯이(253~54쪽), 이것은 실험적 작업인데, 잠재된 센터들(latent centers)을 찾아내고 그것들을 강화함으로써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In each of these three cases "the life of the whole" is not too hard to see. It is perhaps only hard to force oneself to make the smaller centers contribute to that life. But, one might argue that a person does not have a sufficiently clear vision of the (as yet unknown) whole to be able to make a small act contribute. In the case of the Pasadena street, an unwilling developer might say that he does not yet see how he might contribute, because he does not grasp what the street is supposed to be like. But knowing what to do does not mean knowing what the target is. It means, having the ability to go towards an unformulated whole, because the life and wholeness of the system is visible, "feelable" as a process, even in the absence of a concrete model of the desired end-state. The key fact, and the essence of all living process, is that experiments can be devised to help us to determine what the wholeness needs, where it is going, what is most structure-preserving to the present whole, what contributes to the life of the whole. As I have demonstrated (pages 253~54) this is an experimental task that can be sucessfully performed by indentifying latent centers, then strenthening them.
거리를 바라보고, 생각하고, 마음의 눈으로 보고, 잠재된 센터들을 보려고 노력하고, 눈을 감고 거리를 가장 잘 도울 수 있는 것이 무엇일지 상상하는 것... 중요한 것은 그러한 실험을 할 수 있고, 결과를 가져오고, 그 결과는 검증 가능하고 공유할 수 있는 정도(적어도 합리적인 정도)로 측정 가능한 정도의 생명을 가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제 실험을 통해 여러 사람이 이러한 노력을 기울이면 어떤 행동이 더 구조를 보존하거나 생명을 담지하고, 어떤 행동이 덜 보존하는지에 대해 서서히 동의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반복적으로 밝혀졌습니다. 책 1권 8장의 자아에-대한-거울 테스트와 마찬가지로, 이 작업은 선한 의지만 있다면 누구나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작업이며, 여러 사람이 함께 수행하면 적어도 결과에 대해 상당한 수준의 합의가 이루어질 것입니다. By staring at the street, by considering it, by seeing it in one's mind's eye, trying to see the latent centers, then closing one's eyes and imagining what could be there that might best help the street ... the important thing is that such experiments can be done, they do bring results, and the results have measurable degree of life to an extent that is verifiable and sharable (at least to reasonable degree). My experiments have shown repeatedly that when different people make this effort, they are then slowly able to agree which proposed actions are more structure-preserving or life-bearing, and which actions are less so. Like the mirror-of-the-self tests of Book 1, chapter 8, this is a task which people can do with success, if they have good will - and there will be at least substantial agreement about the results when different people do it together.
따라서 그것은 펼쳐짐의 프로세스를 실행 가능한 기반에 놓습니다. 그리고, 다음에 살펴보겠지만, 이 프로세스는 건물 설계의 모든 단계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건물을 설계할 때 처음의 모호한 아이디어에서 세부 사항을 완전히 정교화하기까지 일련의 사건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은 점점 더 강하고 강력한 센터들이 점진적으로 펼쳐지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Thus it puts the process of unfolding on an operational basis. And, as we shall see next, this process can be applied to every step in the emergence of a building design. Everything that happens in the sequence of events when we design a building, from the first vague ideas to the complete elaboration of the details, can be understood as a progressive unfolding of stronger and stronger centers.
6. Why Is it So Difficult to Form Centers by Differentiation? An Illustration From Postmodern Architecture
7. The Platful Core of the Matter
이론적 요점을 설명하기 위해, 센터 헝성 과정 자체의 본질을 되짚어보고 싶습니다. 기본 프로세스의 핵심은 각 단계마다, 공간에서, 단계적으로, 강력한 센터들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To illustrate the theoretical point, I should like to reviw the nature of the center-making process itself. The nub of the fundamental process says that at each step, strong centers are to be created, step by step, in space.
기하학적 센터들을, 땅 한 조각에, 만드는 작업은 실제로 기하적인 물리적 활동입니다. 공간에서 실제로 센터들인 사물을 만드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 활동은 매우 기하적이고 형식적이어서 거의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며, 목욕탕에서 노래를 부르거나 물감이 종이를 따라가는 것처럼, 기하를 만드는 자유로운 과정인 예술가의 노래와 같습니다. The work of creating geometric centers, in a piece of land, is really a geometrical, physical activity. It has to do with making things in space that are really centers. This activity is something so geometrical, so formal, that it is almost automatic; it is really an artist's song, a free process of creating geometry like singing in the bath, or letting a line of paint follow the paper.
이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이어지는 토론을 준비하기 위해, 중요한 내용이 없기 때문에, 사소해 보일 수 있는 낙서부터 시작하겠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센터들을 만드는 과정입니다. 그것은 근본적인 과정의 구체화입니다. 그리고 매우 단순하지만 노력 없이도 새로운 구조를 만들어내기 때문에 매우 흥미롭습니다. 독자 여러분도 비슷한 연습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To suggest this idea, and to prepare for the discussion which follows, I start with something that may seem trivial, a doodle, because it has no significant content. And yet, it is a process of creating centers. It is an embodiment of the fundamental process. And because it is so simple, yet creates new structure without effort, it is intensely interesting. The reader might like to try a similar exercise.
첫 번째 낙서. 이 그림을 그리는 데 걸린 5분 정도 동안 일어난 일입니다. 부드러운 연필로 시작해서 아주 빠르게 그리기 시작했기 때문에 모든 일이 너무 빨리 일어나서 통제할 수 없었고 그 과정은 거의 자율적이었습니다. First doodle. This is what happened during the five minutes or so it took to draw it. I started with a soft pencil, and I went into it very, very fast, so all of what happens, happens so fast I am not in control, and the process is almost autonomous.
먼저, 작은 점 하나를, 부드러운 연필로 그린 다음, 그 점을 잘라내어, 확대하기 시작했습니다. First, a single little dot, which I started with my soft pencil, and then slashed away at it, starting to enlarge it.
저는 팔을 대각선 스트로크를 만드는 방식으로 사용했기 때문에, 모양이 일종의 수평 형태로 매우 빠르게 성장했으며, 약간의 물결 모양이 포함되었습니다. 이것이 첫 번째 센터였습니다. I was using my arm in a way that produced diagonal strokes, so the shape grew very quickly into a sort of horizontal form, which had a bit of a wave in it. This was the first center.-
그런 다음, 대각선 획을 너무 빨리 그리다 보니, 연필이 미끄러져 아래로 내려갔습니다. 즉시 이 부분을 확대하기 시작했고, 이 단계에서는 거친 볼록한 윤곽선만 있는 아래쪽으로 부풀어 오른 모양으로 만들었는데, 이것이 두 번째 센터의 시작이었습니다. ~-Then, since I was drawing the diagonal strokes so fast, the pencil slipped and went down below. Immediately I began to enlarge this section making it into some sort of shape which was realy no more than a bulge towards the bottom - with, at this stage, nothing more than a rough convex outline - this was the beginning of the second center.
이 모양은 아직 무정형이기 때문에, 전체를 하나의 큰 센터로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모양이 고르지 않기 때문에, 오른쪽에 있는 것과 똑같이 반복되는 거울 이미지를 만들어 더 큰 센터를 만들어야만 이 작업을 수행할 수 있었습니다. Since this shape is still amorphous, I began trying to make the whole thing into one single larger center. Because the shape is uneven, I could only see to do this by making a mirror image which repeated the same as what I had, on the right, thus making a larger center.
이 작업을 하는 동안, 저는 이미 만들어 놓은 작은 중심들에 주의를 기울였고, 그 힘을 유지하기 위해, 상단에 좀 더 의도적으로 물결 모양을 만들어, 두 개의 위쪽 중심을 구분하고 그 아래 흰색에 중심을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While doing this, I was alsy paying attention to the smaller centers which I had already created, and to maintain their force, I made a more deliberate wave in the top, which keeps the two upper centers distinct and something (each one is formed by a wavy bulge), that also, begins to create a center in the white below it.
동시에 그림의 아래쪽 부분에 있는 동일한 것, 즉 공백에도 주의를 기울이고 있습니다. 다시 한 번, 이미 만든 센터를 유지하기 위해, 하단에서 아래쪽 가장자리에 움푹 들어간 부분을 그립니다. 만약 그것을 매끄럽게 다듬었다면, 바닥이 사다리꼴처럼 되어, 작은 센터들을 잃었을 것입니다. 지금까지 그림을 그리는데 10초 정도 걸렸습니다. And at the same time I am also paying attention to the same thing - the white space - in the lower part of the figure. Once again, in order to maintain the center which I have already created, at the bottom, I make an indentation at the lower edge - if I had smoothed it out, the bottom would be like a trapezium, and would have lost its smaller centers. By now I have spent perhaps 10 seconds drawing.
이제 흰색에 주의를 기울이기 시작했습니다. 보시다시피, 그것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흰색 움푹 들어간 부분에 이미 "모양"의 시작이 있습니다. I now started to pay attemtion to the white - as you can see, there is already the beginning of a "shape" in the white indented area between the top of the thing and the bottom of the thing.
그것을 보면서, 어떻게 하면 저것으로 센터를 만들 수 있을까 궁금해하는 동안, 이미 오른쪽으로 또 다른 T자 모양이 시작됩니다. 왜냐하면 조금 떨어진 검은색의 존재가 이미 흰색을 둘러싸기 시작했고, 흰색 공간을 센터로 만들 수 있다고 약속을 하기 때문입니다. 이 흰색 영역을 센터로 만드는 동안, 저는 흰색의 위쪽 부분, 즉 두 개의 검은색 T 막대 사이의 좁은 공간, 즉 흰색에서 더 작은 센터에도 주목하고 있습니다. Looking at it, I wonder how I can make a center out of that, and while I am thinking already begin another of these T-shaped things to the right, because the presence of the black, a little distance away, already begins to enclose the white, and gives me the promise that I can make the white space into a center. While making this white area into a center I am also paying attention to the upper part of the white, the narrow space between the bars of the two black Ts, which is a yet smaller center in the white.
8. Differentiation of an Imaginary Building Structure-Preserving Creation of Living Centers
9. The Julian Street Inn
10. Emergence of Strong Centers at Fine Scale In the Julian Street Inn
11. Emergence of the Fifteen Properties
12. Successful Adaptation
13. The Pervasive Generality of the Center-Making Process
11. The Sequence of Unfolding: Generative sequences are the key to the success of living process whenever complex structure is being formed
12. Every Part Unique: Finely tuned to circumstance that every part becomes unique
13. Patterns: Generic Rules for Making Centers or "Making life enjoyable"
1. Introduction
이전 장에서는 주로 형식적인 관점에서 전개에 대해 논의하면서 센터들이 성장하는 방식과 새로운 전체가 건물이 될 때 부분 간의 조정과 적응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성장하는 방식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In previous chapters, I have discussed unfolding mainly from a formal point of view, discussing the way that centers grow, and how they grow in such a way as to allow coordination and adaptation among the parts of the emerging whole as it becomes a building.
그러나 물론 건물의 기능적 기원에 대한 질문과 건물에 들어가야 할 기능의 정의라는 아직 전혀 다루어지지 않은 거대한 주제가 있습니다. 건물의 생활 구조를 만드는 모든 정상적인 과정에서 건물의 기능적 기반, 즉 사람들이 편안하게 생활하기 위해 필요로 하고, 원하고,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적절한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그것이 건물의 가치의 본질이기 때문입니다. But, of course, there is an enormous subject, not yet dealt with at all: the question of the functional origin of a building, and the definition of the functions that are to go into it. In any sane process which is able to make living structure in buildings, giving proper attention to the functional basis of the building - to what people need, and want, and desire, in order to make themselves comfortable - is paramount. For a building it is the essence of its worth.
기능적 정보가 건축 과정에 들어가는 방식은 조형 과정의 기하학적 측면을 이해하지 못하면 잘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이 주제에 대해서는 이전에 논의하지 않았습니다. 건물이 무엇을 하고, 얼마나 잘 하는지에 대한 질문조차도 기하학의 맥락에서만 제대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I have not discussed this subject earlier, because the way that functional information enters the building process, cannot be well understood without a grasp of the geometrical aspects of the formative process. Even the question of what the building does, and how well it does it, can be understood properly only in the context of the geometry.
이제 기하학과 구조에 대한 충분한 준비를 마쳤으므로 건물의 기능적 기초에 대한 자세한 논의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We have now had a sufficient preparation in geometry and structure, to begin a detailed discussion of the functional basis of a building.
2. Structure-preserving Transformations as the Origin of Function
1권(2장, 403~439쪽)에서 말씀드렸듯이 모든 기능은, 건물에서 그것들이 잘 작동한다면, 살아있는 센터들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즉, 건물에 대해 정의해야 할 모든 기능은 센터들을 만들기 위한 규칙으로 표현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이러한 센터들의 선택이 중요합니다: 완성된 프로젝트는 그 안에 나타날 주요 센터들의 선택에 의해 그 행동과 느낌이 정의되고 제어됩니다. As I have said in Book 1 (chapter 2, pages 403~439) that all functions, when they are working well in a building, are associated with living centers. This means that all the "functions" which are to be defined for a building need to be expressed as rules for making centers. And, above all, the choice of these centers is vital: To a very great extent, the finished project will be defined, controlled, in its behavior and its feeling, by the choice of key centers which are to appear in it.
3. Pattern Languages
4. Patterns as Generic Centers and the Evolution of New Culture
5. Human Culture as a Part of Physics
6. Discovering New Pattern-Languages: How to Draw a Vision of the Future from the Study of the Present
7. A New Language for Houses in Peru
8. The Type of Observation which Leads to Discovery of Living Centers: Seeking Tradition and Seeking the New
9. The Process of Finding a Good Center
10. Essential Centers not Gimmicks
11. The System of Patterns Emanates as a Whole
12. The Eishin School Pattern Language
13. The Deep Nature of Patterns and Pattern Languages
14. Looking for Glimpses of Eternal Life
14. Deep Feeling: The aim of every living process is, at each step, to increase the deep feeling of the whole
15. Emergence of Formal Geometry: Appearance, finally, of coherent form
16. Form Language and Style: How can human beings implement a geometrical differentiating process successfully?
17. Simplicity
Part Three: A New Paradigm for Process in Society - Evolution towards a society where living process is the norm
18. Encouraging Freedom: Starting to make changes in the character of process
19. Massive Process Difficulties
20. The Spread of Living Processes Throughout Society: Making the Shift to the New Paradigm
21. The Role of the Architect in the Third Millennium
Conclu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