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s between revisions 1 and 3 (spanning 2 versions)
Revision 1 as of 2013-04-11 01:04:29
Size: 254
Editor: 정수
Comment:
Revision 3 as of 2021-04-18 06:31:26
Size: 2684
Editor: 정수
Comment:
Deletions are marked like this. Additions are marked like this.
Line 1: Line 1:
#acl +All:read
Line 10: Line 12:

== 사티어 모델, Chapter 4. Congruence ==

본 장은 "다섯 번째 대처방식"인 일치형(Congruence, 일치성)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실제로 일치형은 대처방식이라기보다는 충만한 인간이 되어 전인성을 이루고자 하는 선택이다. 이 책의 나머지 대부분에서는 이러한 일치형에 대한 설명과 이에 도달하기 위한 사티어의 치료방법들을 기술하고자 한다.

일치성은 사티어 모델의 중요한 개념 중의 하나이다. 이것은 존재의 한 상태이기도 하며, 우리 자신 그리고 다른 사람들과 의사 소통하는 방식이기도 하다. 높은 자존감과 일치성은 보다 충분히 기능하는 인간을 나타내는 두 가지 중요한 지표이다. 일치형의 특징들은 다음과 같다.

 * 자기의 독특성을 인정한다.
 * 개인적인 그리고 대인간의 에너지가 자연스럽게 순환된다.
 * 개성이 뚜렷하다.
 * 자신과 다른 사람들을 기꺼이 신뢰한다.
 * 모험을 하려고 하며, 상처받는 것을 기꺼이 감수한다.
 * 자신의 내적, 외적 자원들을 활용한다.
 * 친밀성에 대해 개방적이다.
 * 나 자신이 되는 것과 다른 사람을 수용하는 것에 자유롭다.
 * 자기 자신과 다른 사람들을 사랑한다.
 * 변화에 대해 융통적이고 개방적이다.

사티어는 다음의 그림을 통해 자신과 다른 사람, 그리고 상황 모두가 존중되어지는 일치형을 제시하고 있다.

<그림>

우리는 남을 이기기 위해서나, 다른 사람이나 상황을 통제하기 위해서나 스스로를 방어하거나 다른 사람들을 무시하기 위해서 일치적 반응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다. 일치성을 선택한다는 것은 우리 자신이 되기를 선택하는 것이며, 다른 사람들과 만나고 관계를 맺고 상호작용하기를 선택하는 것이다. 우리는 자신과 다른 사람들의 현재 상황을 자각하고 돌보는 자세로 반응하기를 원한다. 그렇다고 하여 일치성이 아무런 문제가 없는 행복한 상태나, 상황에 관계없이 무조건 공손한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 일치성의 수준 ===

우리는 전세계에 걸친 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일치성에는 세 가지 수준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Congruence

일치성

VirginiaSatir, CarlRogers 등의 심리학의 주요 주제이다.

욕구와 기대, 생각/감정, 행동이 일치하는 것.

욕구에 맞게 기대하고, 기대를 충족시키는 방향으로 행동하는 것.

사티어 모델, Chapter 4. Congruence

본 장은 "다섯 번째 대처방식"인 일치형(Congruence, 일치성)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실제로 일치형은 대처방식이라기보다는 충만한 인간이 되어 전인성을 이루고자 하는 선택이다. 이 책의 나머지 대부분에서는 이러한 일치형에 대한 설명과 이에 도달하기 위한 사티어의 치료방법들을 기술하고자 한다.

일치성은 사티어 모델의 중요한 개념 중의 하나이다. 이것은 존재의 한 상태이기도 하며, 우리 자신 그리고 다른 사람들과 의사 소통하는 방식이기도 하다. 높은 자존감과 일치성은 보다 충분히 기능하는 인간을 나타내는 두 가지 중요한 지표이다. 일치형의 특징들은 다음과 같다.

  • 자기의 독특성을 인정한다.
  • 개인적인 그리고 대인간의 에너지가 자연스럽게 순환된다.
  • 개성이 뚜렷하다.
  • 자신과 다른 사람들을 기꺼이 신뢰한다.
  • 모험을 하려고 하며, 상처받는 것을 기꺼이 감수한다.
  • 자신의 내적, 외적 자원들을 활용한다.
  • 친밀성에 대해 개방적이다.
  • 나 자신이 되는 것과 다른 사람을 수용하는 것에 자유롭다.
  • 자기 자신과 다른 사람들을 사랑한다.
  • 변화에 대해 융통적이고 개방적이다.

사티어는 다음의 그림을 통해 자신과 다른 사람, 그리고 상황 모두가 존중되어지는 일치형을 제시하고 있다.

<그림>

우리는 남을 이기기 위해서나, 다른 사람이나 상황을 통제하기 위해서나 스스로를 방어하거나 다른 사람들을 무시하기 위해서 일치적 반응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다. 일치성을 선택한다는 것은 우리 자신이 되기를 선택하는 것이며, 다른 사람들과 만나고 관계를 맺고 상호작용하기를 선택하는 것이다. 우리는 자신과 다른 사람들의 현재 상황을 자각하고 돌보는 자세로 반응하기를 원한다. 그렇다고 하여 일치성이 아무런 문제가 없는 행복한 상태나, 상황에 관계없이 무조건 공손한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일치성의 수준

우리는 전세계에 걸친 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일치성에는 세 가지 수준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Congruence (last edited 2024-09-06 05:38:23 by 정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