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ze: 144
Comment:
|
Size: 1150
Comment:
|
Deletions are marked like this. | Additions are marked like this. |
Line 4: | Line 4: |
= 1강 = = 2강 = = 3강 = 기준 * 불 * 기하학적 도형 * 혈연 * 상제 - 인간 * 상제 - 덕 * 도 - 덕 하늘의 명령을 인간이 받아서 살던 시대 - 은나라. 그러한 은나라를, 주나라가 멸망시켜버렸다. 하늘의 통치를 받던 은나라인데, 왜 망했지? 주나라가 만든 논리는, 은나라에, 덕이 없어져서 하늘의 뜻이 주나라로 옮겨왔다는 것. 그래서, 인간이 하기 나름에 따라서 하늘의 뜻이 움직이게 되었다. 철기 문명이 발달하면서, 점점 하늘이 내리는 명령을 받아서 살던 인간이, 하늘의 위치를 '도'로 대치하면서, 인간이, 인간을 벗어난 능력에 의존함이 없이, 인간만의 능력으로, 인간이 가야 할 길(道)을 만들어야 한다. 그래서, 인간이 가야 할 길 道와, 인간이 가져야 할 소양 德, 이렇게 두 가지가 그 시대의 범주(category)가 되었다. = 4강 = |
최진석 교수의 장자 철학 강의.
1강
2강
3강
기준
- 불
- 기하학적 도형
- 혈연
- 상제 - 인간
- 상제 - 덕
- 도 - 덕
하늘의 명령을 인간이 받아서 살던 시대 - 은나라.
그러한 은나라를, 주나라가 멸망시켜버렸다. 하늘의 통치를 받던 은나라인데, 왜 망했지? 주나라가 만든 논리는, 은나라에, 덕이 없어져서 하늘의 뜻이 주나라로 옮겨왔다는 것. 그래서, 인간이 하기 나름에 따라서 하늘의 뜻이 움직이게 되었다.
철기 문명이 발달하면서, 점점
하늘이 내리는 명령을 받아서 살던 인간이, 하늘의 위치를 '도'로 대치하면서, 인간이, 인간을 벗어난 능력에 의존함이 없이, 인간만의 능력으로, 인간이 가야 할 길(道)을 만들어야 한다.
그래서, 인간이 가야 할 길 道와, 인간이 가져야 할 소양 德, 이렇게 두 가지가 그 시대의 범주(category)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