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s between revisions 16 and 19 (spanning 3 versions)
Revision 16 as of 2023-07-23 11:32:47
Size: 5936
Editor: 정수
Comment:
Revision 19 as of 2023-07-23 11:33:47
Size: 7893
Editor: 정수
Comment:
Deletions are marked like this. Additions are marked like this.
Line 54: Line 54:

<비즈니스위크>와 한 인터뷰에서 일론 머스크가 스티브 잡스에 버금갈 인물이 되겠냐는 질문을 받았을 때 게이츠는 이렇게 대답했다.

“일론은 실무형 엔지니어입니다. 스티브는 디자인과 인재 선발, 마케팅에 천재였습니다. 그 둘을 제대로 알면 혼동할 일이 없을 겁니다.”

머스크의 시각 지능과 기업가적 수완은 일찍부터 드러났다. 열 살 땐 독학으로 코딩을 배웠고, 열두 살 땐 〈블래스터Blaster〉라는 소프트웨어 비디오 게임을 디자인해서 500달러에 팔았다. 머스크는 비디오 게임으로 코딩 방법을 터득했기에 다른 코더들도 게임을 통해 시작했을 것으로 생각한다. 예전 게임에서는 컴퓨터가 다운되면 블루스크린의 코드가 뜨곤 했다. 나는 이것을 두고 컴퓨터가 배짱을 보여주는 거라고 말한다. 그런데 요즘 컴퓨터는 다운되더라도 배짱을 보여주지 않는다. 요즘 아이들은 비디오 게임을 하면서 어떻게 코딩에 노출될 수 있을지 모르겠다. 아이들이 스크린을 보면서 놀기만 하는 게 아닌가 걱정스럽다.

머스크는 반스에게 자신의 시각적 사고를 이렇게 설명했다.

“주로 시각 처리를 담당하는 뇌의 한 부분, 즉 눈으로 들어오는 이미지를 처리하는 부분이 내부 사고 과정에 의해 대체되는 것 같습니다. 나는 이미지와 숫자의 상호 관계와 알고리즘적 관계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가속도, 운동량, 운동 에너지 같은 것들이 물체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아주 선명하게 알 수 있습니다.”

이게 바로 로켓 연료에 대한 시각적 사고다. 머스크는 또 그의 뇌 속이 어떤 상태냐는 조 로건Joe Rogan의 질문에 이렇게 대답했다.

“그야 끝없이 폭발하고 있지요.”

Chapter 1. 시각적 사고란 무엇인가?

반면에 시각적 사고자는 신속한 연상을 가능하게 해주는 이미지를 심안心眼, 즉 마음의 눈으로 본다. 일반적으로 지도와 그림, 미로를 좋아하며 대체로 길 안내가 필요 없다. 시각적 사고자의 일부는 딱 한 번 가봤던 장소도 쉽게 찾아갈 수 있는데, 내부 GPS가 시각적 이정표를 기록해 두기 때문이다. 이들은 말문이 늦게 트이는 편이라 전통적 교수법에 의존하는 학교에서 어려움을 겪는다. 특히 개념이 추상적인 대수학은 시각화할 게 거의 없어서 가장 큰 난관으로 다가온다. 대신 물건을 만들고 조립하는 등 실제 작업과 직결된 연산에 뛰어난 편이다. 나 역시 기계 장치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쉽게 파악하거나 그런 활동을 하면서 즐거움을 느낀다. 시각적 사고자들은 문제 해결사로 통하지만 대체로 사회성이 떨어져 보인다.

언어로 가득 찬 세계에서의 시각적 사고

나는 오랫동안 자폐증을 앓는 사람 모두가 시각적 사고자라고 오해하고 있었다. 나중에 알고 보니 스펙트럼상 일부는 대단히 언어적인 사람들이다. 하지만 아이들은 대부분 초기엔 시각적 사고를 하는 성향이 있다.

사물 시각형 인간과 공간 시각형 인간

앞에서 언급했듯이 나는 시각적 사고와 언어적 사고의 차이를 알았을 때 무척 놀랐다. 시각적 사고와 언어적 사고가 연속선상에 존재한다는 사실을 깨달았을 때는 또 다른 돌파구를 찾았다. 그리고 마리아 코제브니코프Maria Kozhevnikov의 획기적 연구를 접한 후에는 시각적 사고방식에 관한 생각이 더욱 달라졌다.

하버드 의과대학 강사이자 매사추세츠 종합병원의 시공간 인지 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일하는 코제브니코프는 시각적 사고자를 공간 시각형 인간과 사물 시각형 인간이라는 두 부류로 구분한 초기 과학자 중 한 명이다.

Chapter 3. 영리한 엔지니어는 다 어디에 있는가?

영리한 엔지니어 양성하기

영리한 엔지니어를 양성하는 일은 가정과 유아 교육에서 시작된다. 아이들이 (바느질, 요리, 정원 가꾸기, 조립, 수선, 실험 등을 통해) 물건을 만들고 촉각 세계를 경험할 기회를 제공하는 것 외에도 인내심과 회복력, 호기심을 기를 수 있도록 격려해야 한다.

노출의 가치

Chapter 4. 상호 보완적 마음

Chapter 5. 천재성과 신경다양성

시각적 사고, 난독증, 천재성

난독증인 사람들 가운데 사물적 사고자도 있고, 수학에 더 소질이 있는 시각 공간적 사고자도 있다. 거듭 말하지만 그간의 연구는 두 유형을 충분히 구분하지 못한다. 일부 공간 시각형 인간과 난독증인 사람은 큰 그림을 그리는 데 능숙하다. 그들은 마음의 눈으로 3D 물체를 시각화하고 회전시킬 수 있다.

난독증과 창의성이 연관돼 있다는 증거가 있다. 피카소는 열 살 전까지 읽지 못했고 알파벳의 정확한 순서를 기억하지도 못했다. 패트릭 오브라이언Patrick O’Brian의 전기에 따르면 피카소는 학교에서 읽기와 셈을 익히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시상식에서 그(토머스 웨스트)가 학생들에게 했던 발언은 토머스 웨스트의 말을 강력히 뒷받침한다.

“난독증은 선물과도 같습니다. 삶과 사업에서 어려움에 부닥쳤을 때 다른 사람들은 절대로 찾지 못할 참신한 해결책을 찾아낼 통찰력을 제공하거든요.”

린의 작품은 눈에 보이는 모습을 독특한 방식으로 해석했다는 점에서 매우 놀랍다. 건축가이자 예술가인 린은 현실을 추상적으로 바꾸는 게 아니라 추상적 개념을 우리 눈앞에 실물로 재현해 놓는다.

천재 코더

컴퓨터 프로그래밍에는 수학적 마음, 특히 시각 공간적 수학적 마음이 필요하다. 영국 리즈 베켓 대학교의 애나 에이브러햄Anna Abraham 교수에 따르면 수학자들은 수학이 ‘추론에서 추상의 정점’을 나타내면서, 또 정밀함과 패턴 만들기, 발명, 창의성 등과 관련되기 때문에 ‘기본 토대’ 역할도 한다고 자랑한다. 이러한 유형의 마음은 논리학과 기계 계산기computing machine 사이의 간극을 메운, 뛰어난 수학자 앨런 튜링Alan Turing에게서 극명하게 드러난다. 튜링은 현대 컴퓨터 연산의 토대를 개발한 공로로 널리 인정받고 있다.

대다수 코더와 소프트웨어 개발자에게는 적어도 두 가지 공통점이 있다. 첫째, 일찍부터 수학에 끌린다. 둘째, 코드에서 패턴을 발견한다. 빌 게이츠는 어렸을 때 컴퓨터에 노출된 수학적 사고자의 완벽한 사례다.

빌 게이츠의 증언 영상을 보면, 그는 질문을 받으면 눈에 띄게 몸이 흔들렸다. 20년이 흐른 지금은 한결 편안해 보인다. 그는 자폐 특질을 지닌 사람이 정신 데이터베이스에 더 많은 정보를 추가하면서 어떻게 성숙하고 발전할 수 있는지 잘 보여준다. 새로운 정보는 다양한 방식으로 분류되고 조작될 수 있으며 더 유연한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게이츠의 마이크로소프트 윈도 운영 체제는 세계적으로 컴퓨팅 표준이 됐다. 엘렌 드제너레스Ellen DeGeneres는 한 인터뷰에서 게이츠에게 기술을 항상 좋아했느냐고 물었다. 그러자 게이츠는 자기가 좋아하는 건 소프트웨어라고 바로잡았다.

<비즈니스위크>와 한 인터뷰에서 일론 머스크가 스티브 잡스에 버금갈 인물이 되겠냐는 질문을 받았을 때 게이츠는 이렇게 대답했다.

“일론은 실무형 엔지니어입니다. 스티브는 디자인과 인재 선발, 마케팅에 천재였습니다. 그 둘을 제대로 알면 혼동할 일이 없을 겁니다.”

머스크의 시각 지능과 기업가적 수완은 일찍부터 드러났다. 열 살 땐 독학으로 코딩을 배웠고, 열두 살 땐 〈블래스터Blaster〉라는 소프트웨어 비디오 게임을 디자인해서 500달러에 팔았다. 머스크는 비디오 게임으로 코딩 방법을 터득했기에 다른 코더들도 게임을 통해 시작했을 것으로 생각한다. 예전 게임에서는 컴퓨터가 다운되면 블루스크린의 코드가 뜨곤 했다. 나는 이것을 두고 컴퓨터가 배짱을 보여주는 거라고 말한다. 그런데 요즘 컴퓨터는 다운되더라도 배짱을 보여주지 않는다. 요즘 아이들은 비디오 게임을 하면서 어떻게 코딩에 노출될 수 있을지 모르겠다. 아이들이 스크린을 보면서 놀기만 하는 게 아닌가 걱정스럽다.

머스크는 반스에게 자신의 시각적 사고를 이렇게 설명했다.

“주로 시각 처리를 담당하는 뇌의 한 부분, 즉 눈으로 들어오는 이미지를 처리하는 부분이 내부 사고 과정에 의해 대체되는 것 같습니다. 나는 이미지와 숫자의 상호 관계와 알고리즘적 관계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가속도, 운동량, 운동 에너지 같은 것들이 물체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아주 선명하게 알 수 있습니다.”

이게 바로 로켓 연료에 대한 시각적 사고다. 머스크는 또 그의 뇌 속이 어떤 상태냐는 조 로건Joe Rogan의 질문에 이렇게 대답했다.

“그야 끝없이 폭발하고 있지요.”

책/VisualThinking (last edited 2023-07-24 12:10:11 by 정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