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ze: 3535
Comment:
|
Size: 4876
Comment:
|
Deletions are marked like this. | Additions are marked like this. |
Line 36: | Line 36: |
난독증인 사람들 가운데 사물적 사고자도 있고, 수학에 더 소질이 있는 시각 공간적 사고자도 있다. 거듭 말하지만 그간의 연구는 두 유형을 충분히 구분하지 못한다. 일부 공간 시각형 인간과 난독증인 사람은 큰 그림을 그리는 데 능숙하다. 그들은 마음의 눈으로 3D 물체를 시각화하고 회전시킬 수 있다. 난독증과 창의성이 연관돼 있다는 증거가 있다. 피카소는 열 살 전까지 읽지 못했고 알파벳의 정확한 순서를 기억하지도 못했다. 패트릭 오브라이언Patrick O’Brian의 전기에 따르면 피카소는 학교에서 읽기와 셈을 익히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시상식에서 그(토머스 웨스트)가 학생들에게 했던 발언은 토머스 웨스트의 말을 강력히 뒷받침한다. “난독증은 선물과도 같습니다. 삶과 사업에서 어려움에 부닥쳤을 때 다른 사람들은 절대로 찾지 못할 참신한 해결책을 찾아낼 통찰력을 제공하거든요.” 린의 작품은 눈에 보이는 모습을 독특한 방식으로 해석했다는 점에서 매우 놀랍다. 건축가이자 예술가인 린은 현실을 추상적으로 바꾸는 게 아니라 추상적 개념을 우리 눈앞에 실물로 재현해 놓는다. |
Chapter 1. 시각적 사고란 무엇인가?
반면에 시각적 사고자는 신속한 연상을 가능하게 해주는 이미지를 심안心眼, 즉 마음의 눈으로 본다. 일반적으로 지도와 그림, 미로를 좋아하며 대체로 길 안내가 필요 없다. 시각적 사고자의 일부는 딱 한 번 가봤던 장소도 쉽게 찾아갈 수 있는데, 내부 GPS가 시각적 이정표를 기록해 두기 때문이다. 이들은 말문이 늦게 트이는 편이라 전통적 교수법에 의존하는 학교에서 어려움을 겪는다. 특히 개념이 추상적인 대수학은 시각화할 게 거의 없어서 가장 큰 난관으로 다가온다. 대신 물건을 만들고 조립하는 등 실제 작업과 직결된 연산에 뛰어난 편이다. 나 역시 기계 장치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쉽게 파악하거나 그런 활동을 하면서 즐거움을 느낀다. 시각적 사고자들은 문제 해결사로 통하지만 대체로 사회성이 떨어져 보인다.
언어로 가득 찬 세계에서의 시각적 사고
나는 오랫동안 자폐증을 앓는 사람 모두가 시각적 사고자라고 오해하고 있었다. 나중에 알고 보니 스펙트럼상 일부는 대단히 언어적인 사람들이다. 하지만 아이들은 대부분 초기엔 시각적 사고를 하는 성향이 있다.
사물 시각형 인간과 공간 시각형 인간
앞에서 언급했듯이 나는 시각적 사고와 언어적 사고의 차이를 알았을 때 무척 놀랐다. 시각적 사고와 언어적 사고가 연속선상에 존재한다는 사실을 깨달았을 때는 또 다른 돌파구를 찾았다. 그리고 마리아 코제브니코프Maria Kozhevnikov의 획기적 연구를 접한 후에는 시각적 사고방식에 관한 생각이 더욱 달라졌다.
하버드 의과대학 강사이자 매사추세츠 종합병원의 시공간 인지 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일하는 코제브니코프는 시각적 사고자를 공간 시각형 인간과 사물 시각형 인간이라는 두 부류로 구분한 초기 과학자 중 한 명이다.
Chapter 3. 영리한 엔지니어는 다 어디에 있는가?
영리한 엔지니어 양성하기
영리한 엔지니어를 양성하는 일은 가정과 유아 교육에서 시작된다. 아이들이 (바느질, 요리, 정원 가꾸기, 조립, 수선, 실험 등을 통해) 물건을 만들고 촉각 세계를 경험할 기회를 제공하는 것 외에도 인내심과 회복력, 호기심을 기를 수 있도록 격려해야 한다.
노출의 가치
Chapter 4. 상호 보완적 마음
Chapter 5. 천재성과 신경다양성
시각적 사고, 난독증, 천재성
난독증인 사람들 가운데 사물적 사고자도 있고, 수학에 더 소질이 있는 시각 공간적 사고자도 있다. 거듭 말하지만 그간의 연구는 두 유형을 충분히 구분하지 못한다. 일부 공간 시각형 인간과 난독증인 사람은 큰 그림을 그리는 데 능숙하다. 그들은 마음의 눈으로 3D 물체를 시각화하고 회전시킬 수 있다.
난독증과 창의성이 연관돼 있다는 증거가 있다. 피카소는 열 살 전까지 읽지 못했고 알파벳의 정확한 순서를 기억하지도 못했다. 패트릭 오브라이언Patrick O’Brian의 전기에 따르면 피카소는 학교에서 읽기와 셈을 익히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시상식에서 그(토머스 웨스트)가 학생들에게 했던 발언은 토머스 웨스트의 말을 강력히 뒷받침한다.
“난독증은 선물과도 같습니다. 삶과 사업에서 어려움에 부닥쳤을 때 다른 사람들은 절대로 찾지 못할 참신한 해결책을 찾아낼 통찰력을 제공하거든요.”
린의 작품은 눈에 보이는 모습을 독특한 방식으로 해석했다는 점에서 매우 놀랍다. 건축가이자 예술가인 린은 현실을 추상적으로 바꾸는 게 아니라 추상적 개념을 우리 눈앞에 실물로 재현해 놓는다.
천재 코더
컴퓨터 프로그래밍에는 수학적 마음, 특히 시각 공간적 수학적 마음이 필요하다. 영국 리즈 베켓 대학교의 애나 에이브러햄Anna Abraham 교수에 따르면 수학자들은 수학이 ‘추론에서 추상의 정점’을 나타내면서, 또 정밀함과 패턴 만들기, 발명, 창의성 등과 관련되기 때문에 ‘기본 토대’ 역할도 한다고 자랑한다. 이러한 유형의 마음은 논리학과 기계 계산기computing machine 사이의 간극을 메운, 뛰어난 수학자 앨런 튜링Alan Turing에게서 극명하게 드러난다. 튜링은 현대 컴퓨터 연산의 토대를 개발한 공로로 널리 인정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