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ndhilMullainathan, EldarSharfir, Scarcity: Why having too little means so much.

결핍의 경제학: 왜 부족할수록 마음은 더 끌리는가.

서문

그렇잖아도 시간이 부족한데, 부족하다고 한탄하는데 시간을 낭비해야 하다니! 엘다는 이 역설을 잘 알고 있었다. 하지만 그 악순환에서 벗어나려는 계획을 묘사하는 센딜은 역설을 부분적으로밖에 알아채지 못했다.

센딜은 우선 악순환의 고리를 끊을 생각이다. 예전에 이미 했던 약속들은 지켜져야 했으므로 새로운 약속을 아예 하지 않기로 했다. 모든 제안이나 요구는 거부할 참이다. 또 기존의 프로젝트들을 꼼꼼하게 챙겨서 서둘러 끝내고 더는 지연시키지 않으리라. 그러면 해야 할 일들의 목록은 통제가 가능한 수준으로 줄어들 것이고, 마침내 이런 긴축과 내핍이 결실을 가져다줄 것이라고 믿었다. 그리고 새로운 프로젝트들은 그때 가서 생각하면 되었다. 물론 그때는 예전과는 다르게 정말 신중하게 일을 처리할 참이고 무슨 일이든 간에 꼼꼼하게 따져본 뒤에야 수락하리라. 물론 쉽지는 않겠지만 그렇게 하겠다고 센딜은 다짐한다.

...

예상했던 대로 그 장은 '놓쳐버리기에는 너무나 아까울 정도로 좋았고' 우리는 그 작업을 하겠다고 수락했다. 그리고 그 수락은 일찍이 예상했던 것처럼 실수였다. 우리는 그 원고를 급하게 써야만 했을 뿐만 아니라 마감기한도 어겼다.

숀과 센딜 두 사람에게는 한 가지 공통점이 있었다. 두 사람 다 결핍 효과 (effect of scarcity)를 느끼고 있다는 점이다. 우리는 이 책에서 결핍(scarcity)을 어떤 것이든 간에 본인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보다 적게 가지는 것이라는 뜻으로 사용한다.

센딜은 곤경에 처해서 어쩔 줄 몰랐다. 해야 할 일을 모두 다 하기에는 시간이 턱없이 부족하다고 느꼈다. 한편 숀은 지불해야 할 청구서는 많았지만 그 많은 돈을 모두 내기에는 가진 돈이 형편없이 적어서 쪼들린다고 느꼈다. 이런 공통점으로 두 사람의 행동을 설명할 수 있을까? 과연 결핍이 두 사람으로 하여금 비슷한 행동을 하도록 이끌었다고 볼 수 있을까?

비만 문제 역시 결핍에서 비롯된다. 다이어트를 하려면 본인이 익숙하던 식사량보다 적은 양을 섭취해야 한다. 즉 칼로리라는 예산을 긴축적으로 운영해야 한다.

결핍은 사람의 마음을 사로잡는다

결핍은 우리의 정신을 사로잡는다. 배고픈 사람들이 오로지 음식만 생각했던 것처럼 우리는 어떤 종류의 결핍을 경험하든 간에 그때마다 그 결핍에 매몰되고 만다. 아울러 정신은 충족되지 않은 필요성을 자동적으로 또 강력하게 지향한다. 배고픈 사람에게 그 필요성은 허기를 달래줄 음식이고, 바쁜 사람에게 그 필요성은 빨리 끝낼 필요가 있는 어떤 프로젝트이다. 그리고 돈에 쪼들리는 사람에게 그 필요성은 이번 달치 방세일 수 있고, 외로운 사람에게 그 필요성은 마음을 함께 나눌 동반자이다. 결핍은 어떤 것을 매우 적게 소유할 때의 불쾌함만 초래하는 것이 아니라 그 이상을 초래한다. 결핍은 사람의 사고방식을 바꾸어놓는다. 결핍은 사람의 정신에 스스로를 무겁게 짐 지운다.

결핍학의 편익은 무엇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