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s between revisions 3 and 5 (spanning 2 versions)
Revision 3 as of 2020-12-26 16:21:28
Size: 1088
Editor: 정수
Comment:
Revision 5 as of 2020-12-26 16:29:08
Size: 2385
Editor: 정수
Comment:
Deletions are marked like this. Additions are marked like this.
Line 10: Line 10:

첫 이야기의 CEO는 누구보다 자리에 적합해 보였다. 그런데 왜 참담하게 실패했을까? 누가 봐도 자격이 부족했던 알고르타는 어떻게 화려하게 성공할 수 있었을까? 답은 잠재력에 있다. 잠재력은 점점 더 복잡해지는 역할과 환경에 맞춰 적응하고 성장할 수 있는 능력이다. 알고르타에게는 잠재력이 있었고, 처음에 소개한 CEO에게는 없었다.

30년 이상 임원들을 평가하고 추적하며 그들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연구한 결과, 주니어급 관리자부터 최고경영진, 이사회에 이르기까지 모든 직급에서 성공을 예측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잠재력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또 잠재력 있는 인재를 알아보고, 기업이 그들의 능력을 개발하고 활용하도록 돕는 방법을 알게 되었다. 이 글에서는 내가 얻은 교훈을 공유하려고 한다. 비즈니스가 급변하고 복잡해지면서 최고 인재를 확보하려는 글로벌 경쟁도 격화되고 있다. 이제 조직과 리더들은 새로운 시대에 맞게 인재 발굴 방식을 바꿔야 한다. 체력, 지능, 경력, 역량이 아니라 잠재력에 바탕을 둔 인재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HBR's 10 Must Reads on Reinventing HR (2019)

1. 21st-century Talent Spotting

클라우디오 페르난데즈 아라오즈, 21세기형 인재 발굴론

  • 문제 지난 몇 십 년 동안, 기업은 인재 채용과 개발에 ‘역량’을 강조해왔다. 업무를 역량으로 분해하고 해당 역량을 갖춘 후보자로 자리를 채웠다. 하지만 21세기 비즈니스는 기존 모델이 감당하기에 너무 변동성이 크고 복잡하며 최고 인재를 확보하려는 경쟁이 치열하다.

  • 해결 오늘날 인사 담당자는 기존 모델 대신, 끊임없이 변화하는 비즈니스 환경에 적응하고 새로운 역할에 맞게 성장할 수 있는 능력, 즉 잠재력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 방법 관리자는 현 직원과 직원 후보자를 5가지 주요 지표(올바른 동기, 호기심, 통찰력, 공감 능력, 결단력)로 평가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그리고 최고의 인재들을 잘 유지하고 도전적인 과제를 주면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첫 이야기의 CEO는 누구보다 자리에 적합해 보였다. 그런데 왜 참담하게 실패했을까? 누가 봐도 자격이 부족했던 알고르타는 어떻게 화려하게 성공할 수 있었을까? 답은 잠재력에 있다. 잠재력은 점점 더 복잡해지는 역할과 환경에 맞춰 적응하고 성장할 수 있는 능력이다. 알고르타에게는 잠재력이 있었고, 처음에 소개한 CEO에게는 없었다.

30년 이상 임원들을 평가하고 추적하며 그들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연구한 결과, 주니어급 관리자부터 최고경영진, 이사회에 이르기까지 모든 직급에서 성공을 예측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잠재력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또 잠재력 있는 인재를 알아보고, 기업이 그들의 능력을 개발하고 활용하도록 돕는 방법을 알게 되었다. 이 글에서는 내가 얻은 교훈을 공유하려고 한다. 비즈니스가 급변하고 복잡해지면서 최고 인재를 확보하려는 글로벌 경쟁도 격화되고 있다. 이제 조직과 리더들은 새로운 시대에 맞게 인재 발굴 방식을 바꿔야 한다. 체력, 지능, 경력, 역량이 아니라 잠재력에 바탕을 둔 인재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책/HBR Must Read on Reinventing HR (last edited 2021-01-07 04:29:39 by 정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