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ze: 5666
Comment:
|
Size: 7687
Comment:
|
Deletions are marked like this. | Additions are marked like this. |
Line 9: | Line 9: |
= 1부: 무엇이 문제인가? = == 1. 문제 == * 무엇이 문제인가? * 누구의 문제인가? * 당신 문제의 핵심은 무엇인가? |
|
Line 16: | Line 24: |
1부: 무엇이 문제인가? | == 2. 정리함 씨, 탄원서를 준비하다 == |
Line 18: | Line 26: |
1. 문제 | * "무엇이 잘못인가?"를 어떻게 결정할 것인가? * 무엇이 잘못인가? * 그것에 대해 무엇을 해야 하는가? |
Line 20: | Line 30: |
무엇이 문제인가? | 지금까지 어느 누구도 다른 쪽의 문제 정의에 동의하려고 하지 않았다. 혹은 들으려고도 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제 진전의 징후를 발견할 수 있다. 우리는 한 쪽이 다른 쪽과 마찬가지로 아픔을 느끼기 시작하면, 결국 문제의 해결안을 찾게 된다는 것을 알고 있다. |
Line 22: | Line 32: |
누구의 문제인가? | 미국 인디언들은 이런 문제 해결 기법을 '모카신 바꿔 신고 걷기'라고 이름 붙혔다. 이것은 생가죽 모카신이 젖어 있는 경우에 더욱 효과를 발휘했는데, 두 사람이 상대방의 모카신을 신고 천천히 마르는 것을 함께 느끼며 '충분한 공감대'가 형성될 때까지 걷는 것이다. |
Line 24: | Line 34: |
당신 문제의 핵심은 무엇인가? | 이 시점에서 문제가 '어떻게' 해결될지는 예측할 수 없다. |
Line 26: | Line 36: |
2. 정리함 씨, 탄원서를 준비하다 | |
Line 28: | Line 37: |
"무엇이 잘못인가?"를 어떻게 결정할 것인가? | == 3. 당신의 문제는 무엇인가? == |
Line 30: | Line 39: |
무엇이 잘못인가? | * 문제란 바라는 것과 인식하는 것 간의 차이다. * 허상의 문제들이 진짜 문제다. |
Line 32: | Line 42: |
그것에 대해 무엇을 해야 하는가? | 유머 감각이 없는 사람의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하지 마라. |
Line 34: | Line 44: |
3. 당신의 문제는 무엇인가? | |
Line 36: | Line 45: |
문제란 바라는 것과 인식하는 것 간의 차이다. | = 2부: 그것은 어떤 문제인가? = |
Line 38: | Line 47: |
허상의 문제들이 진짜 문제다. | == 4. 영리함 씨, 최상의 입찰 조건을 찾아내다. == |
Line 40: | Line 49: |
2부: 그것은 어떤 문제인가? | * 문제 정의를 위해 문제를 제시한 쪽의 방법을 선택하지 마라. * 만약 문제를 너무 쉽게 해결한다면, 문제를 제시한 사람들은 결코 당신이 진짜 문제를 해결했다고 믿지 않을 것이다. |
Line 42: | Line 52: |
4. 영리함 씨, 최상의 입찰 조건을 찾아내다. | == 5. 영리함 씨, 할 말을 잃다. == |
Line 44: | Line 54: |
문제 정의를 위해 문제를 제시한 쪽의 방법을 선택하지 마라. | * 문제 정의를 위한 방법을 선택할 때 실수를 해서는 안된다. * 특히 그것이 당신 자신만의 해결 방법일 경우에는 더욱. |
Line 46: | Line 57: |
만약 문제를 너무 쉽게 해결한다면, 문제를 제시한 사람들은 결코 당신이 진짜 문제를 해결했다고 믿지 않을 것이다. | |
Line 48: | Line 58: |
5. 영리함 씨, 할 말을 잃다. | == 6. 영리함 씨, 입찰 문제로 돌아오다 == |
Line 50: | Line 60: |
문제 정의를 위한 방법을 선택할 때 실수를 해서는 안된다. | * 문제가 해결된 뒤에라도, 정확한 정의를 내렸다고 결코 확신하지는 마라. * 성급하게 결론에 도달하지 마라. 그러나 처음 느낌을 무시해서도 안 된다. |
Line 52: | Line 63: |
특히 그것이 당신 자신만의 해결 방법일 경우에는 더욱. | 여기서 영리함 씨를 비롯한 여러 사람들이 범한 오류는 어떤 문제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면 그에 대한 답 또한 심오할 것이라는 생각이다. |
Line 54: | Line 65: |
6. 영리함 씨, 입찰 문제로 돌아오다 | 문제들을 다루는 데에서 정말로 중요한 것은 어떤 질문도 결코 답이 없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결론에 대해 끊임없이 의문을 제시할 수 있다면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 문제에 대한 궁극적인 정의, 즉 진정한 답을 찾았다고 자신을 기만하지 않는 한 궁극적인 답을 얻었다고 생각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리고 그렇게 생각하는 것은 항상 잘못된 것이다. 왜냐하면 '최종적인 해결안'이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
Line 56: | Line 67: |
문제가 해결된 뒤에라도, 정확한 정의를 내렸다고 결코 확신하지는 마라. | 정확히 정의 내렸다고 결코 확신하지 마라. 그러나 그것을 얻기 위한 노력은 계속해야 한다. |
Line 58: | Line 69: |
성급하게 결론에 도달하지 마라. 그러나 처음 느낌을 무시해서도 안 된다. | |
Line 60: | Line 70: |
3부: 정말로 무엇이 문제인가? | = 3부: 정말로 무엇이 문제인가? = |
Line 62: | Line 72: |
7. 끝없는 사슬 | == 7. 끝없는 사슬 == |
Line 64: | Line 74: |
각각의 해결안은 다음 문제의 근원이다. | * 각각의 해결안은 다음 문제의 근원이다. * 어떤 문제들에 접근할 때 가장 어려운 부분은 일단 문제의 존재를 인식하는 것이다. * 문제를 이해할 때, 잘못될 수 있는 경우를 적어도 세 개 이상 생각해 내지 못한다면 당신은 문제를 이해하지 못한 것이다. |
Line 66: | Line 78: |
어떤 문제들에 접근할 때 가장 어려운 부분은 일단 문제의 존재를 인식하는 것이다. | == 8. 부적합을 발견하지 못하다 == |
Line 68: | Line 80: |
문제를 이해할 때, 잘못될 수 있는 경우를 적어도 세 개 이상 생각해 내지 못한다면 당신은 문제를 이해하지 못한 것이다. | * 성급하게 결론에 도달하지 마라. 그러나 처음 느낌을 무시해서도 안 된다. * 여러분이 내린 정의에 대해 외국인이나 장님 혹은 어린이를 통해서 검증하라. 혹은 여러분 자신이 외국인, 장님 혹은 어린이가 되어 보아라. * 각각의 새로운 관점은 새로운 부적합을 야기한다. |
Line 70: | Line 84: |
8. 부적합을 발견하지 못하다 | == 9. 문제의 본질 파악하기 == |
Line 72: | Line 86: |
성급하게 결론에 도달하지 마라. 그러나 처음 느낌을 무시해서도 안 된다. | * 또 다른 해결안을 얻기 위해 어떻게 문제를 바꾸어 기술할 것인가? * 나는 무엇을 해결하고 있는가? |
Line 74: | Line 89: |
여러분이 내린 정의에 대해 외국인이나 장님 혹은 어린이를 통해서 검증하라. 혹은 여러분 자신이 외국인, 장님 혹은 어린이가 되어 보아라. | == 10. 의미 표현에 주의하라 == |
Line 76: | Line 91: |
각각의 새로운 관점은 새로운 부적합을 야기한다. | * 문제를 단어들로 기술했다면, 기술한 내용이 모든 사람의 머리 속에 들어갈 수 있도록 그 단어들을 이용하여 놀이를 해본다. |
Line 78: | Line 93: |
9. 문제의 본질 파악하기 | = 4부: 누구의 문제인가? = |
Line 80: | Line 95: |
또 다른 해결안을 얻기 위해 어떻게 문제를 바꾸어 기술할 것인가? | == 11. 연기가 앞을 가리다 == |
Line 82: | Line 97: |
나는 무엇을 해결하고 있는가? | * 누구의 문제인가? * 그들 스스로 문제를 완벽하게 풀 수 있을 때에는 그들의 문제 해결에 끼어들지 않는다. * 만약 그것이 그들의 문제라면 그들의 문제가 되도록 하라. |
Line 84: | Line 101: |
10. 의미 표현에 주의하라 | == 12. 주차장이 부족한 캠퍼스 == |
Line 86: | Line 103: |
문제를 단어들로 기술했다면, 기술한 내용이 모든 사람의 머리 속에 들어갈 수 있도록 그 단어들을 이용하여 놀이를 해본다. | * 누구의 문제인가? * 만약 어떤 사람이 문제에 대해서 무언가를 할 수 있는 위치에 있으나, 문제를 느끼지 못할 때에는 그가 행동할 수 있도록 무언가 조치를 취한다. * 잠시라도 좋으니 변화를 위해 당신 자신에게 책임을 물어라. |
Line 88: | Line 107: |
4부: 누구의 문제인가? | == 13. 터널 끝에서 전조등 끄기 == |
Line 90: | Line 109: |
11. 연기가 앞을 가리다 | * 누구의 문제인가? * 만약 사람들이 전조등을 켜고 있다면 작은 팁이 완벽한 안내 문구보다 훨씬 효과가 좋을 것이다. |
Line 92: | Line 112: |
누구의 문제인가? | = 5부: 문제는 어디에서 비롯되는가? = |
Line 94: | Line 114: |
그들 스스로 문제를 완벽하게 풀 수 있을 때에는 그들의 문제 해결에 끼어들지 않는다. | == 14. 재닛 자워스키, 손을 부르르 떨다 == |
Line 96: | Line 116: |
만약 그것이 그들의 문제라면 그들의 문제가 되도록 하라. | * 문제는 어디에서 비롯되는가? |
Line 98: | Line 118: |
12. 주차장이 부족한 캠퍼스 | == 15. 마트쮜신 씨가 태도를 바꾸다 == |
Line 100: | Line 120: |
누구의 문제인가? | * 무례함은 어디에서 비롯되는가? |
Line 102: | Line 122: |
만약 어떤 사람이 문제에 대해서 무언가를 할 수 있는 위치에 있으나, 문제를 느끼지 못할 때에는 그가 행동할 수 있도록 무언가 조치를 취한다. | == 16. 일을 만드는 사람과 공을 가져가는 사람 == |
Line 104: | Line 124: |
잠시라도 좋으니 변화를 위해 당신 자신에게 책임을 물어라. | * 문제는 어디에서 비롯되는가? * 이 세상에는 두 종류의 사람이 있다. |
Line 106: | Line 127: |
13. 터널 끝에서 전조등 끄기 | == 17. 시험과 기타 퍼즐들 == |
Line 108: | Line 129: |
누구의 문제인가? | * 문제는 어디에서 비롯되는가? * 누가 이 문제를 만들었는가? * 그의 출제 의도는 무엇인가? |
Line 110: | Line 133: |
만약 사람들이 전조등을 켜고 있다면 작은 팁이 완벽한 안내 문구보다 훨씬 효과가 좋을 것이다. | = 6부: 정말로 그것을 해결하고 싶은가? = |
Line 112: | Line 135: |
5부: 문제는 어디에서 비롯되는가? | == 18. 지칠줄모름 씨, 장난감 공장의 문제를 어설프게 해결하다 == |
Line 114: | Line 137: |
14. 재닛 자워스키, 손을 부르르 떨다 | * 그것이 무엇이건 사람들은 요구하는 것을 실제로 갖기 전까지는 자신들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지 못한다. |
Line 116: | Line 139: |
문제는 어디에서 비롯되는가? | == 19. 참을성 양, 계략을 쓰다 == |
Line 118: | Line 141: |
15. 마트쮜신 씨가 태도를 바꾸다 | * 최종 분석에 따르면 정말로 자신의 문제를 풀고 싶은 사람은 그렇게 많지 않다. |
Line 120: | Line 143: |
무례함은 어디에서 비롯되는가? | == 20. 우선순위 결정 == |
Line 122: | Line 145: |
16. 일을 만드는 사람과 공을 가져가는 사람 문제는 어디에서 비롯되는가? 이 세상에는 두 종류의 사람이 있다. 17. 시험과 기타 퍼즐들 문제는 어디에서 비롯되는가? 누가 이 문제를 만들었는가? 그의 출제 의도는 무엇인가? 6부: 정말로 그것을 해결하고 싶은가? 18. 지칠줄모름 씨, 장난감 공장의 문제를 어설프게 해결하다 그것이 무엇이건 사람들은 요구하는 것을 실제로 갖기 전까지는 자신들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지 못한다. 19. 참을성 양, 계략을 쓰다 최종 분석에 따르면 정말로 자신의 문제를 풀고 싶은 사람은 그렇게 많지 않다. 20. 우선순위 결정 내가 정말로 해결책을 원하는가? 우리 자신이 해결안을 원하는지 판단하는 시간은 결코 충분하지 않지만, 그것을 무시할 시간은 항상 있다. 물고기는 물을 보지 못한다. |
* 내가 정말로 해결책을 원하는가? * 우리 자신이 해결안을 원하는지 판단하는 시간은 결코 충분하지 않지만, 그것을 무시할 시간은 항상 있다. * 물고기는 물을 보지 못한다. |
GeraldWeinberg의 책.
문제 해결에 관한 책.
- 무엇이 문제인가? (당신 문제의 핵심은 무엇인가?)
- 누구의 문제인가?
1부: 무엇이 문제인가?
1. 문제
- 무엇이 문제인가?
- 누구의 문제인가?
- 당신 문제의 핵심은 무엇인가?
풋내기 문제 해결사들은 거의 대부분 해결해야 할 문제를 정의하는데 시간을 보내기보다는 성급하게 해결안을 찾아내는 데에 매달린다. ... 그렇게 하면 여러 가지 해결안이 나오게 되지만 이것들은 실제 현안과 동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자연스러운 일상의 문제를 단 한 가지로 완벽하고 명백하게 정의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 문제에 대한 어떤 공통된 이해 없이 나온 해결안은 여지없이 '엉뚱한' 문제에 대한 해결안이 되고 만다.
남의 문제를 해결해주는 문제 해결사가 되고자 할 때 취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은 문제를 '단수에서 복수로 보는 사고의 전환'을 시도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문제 해결사 Problem Solver가 아니라 문제들 해결사 Problems Solver, Solver of Problems로 여러분 자신을 변화시키라는 것이다.
2. 정리함 씨, 탄원서를 준비하다
- "무엇이 잘못인가?"를 어떻게 결정할 것인가?
- 무엇이 잘못인가?
- 그것에 대해 무엇을 해야 하는가?
지금까지 어느 누구도 다른 쪽의 문제 정의에 동의하려고 하지 않았다. 혹은 들으려고도 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제 진전의 징후를 발견할 수 있다. 우리는 한 쪽이 다른 쪽과 마찬가지로 아픔을 느끼기 시작하면, 결국 문제의 해결안을 찾게 된다는 것을 알고 있다.
미국 인디언들은 이런 문제 해결 기법을 '모카신 바꿔 신고 걷기'라고 이름 붙혔다. 이것은 생가죽 모카신이 젖어 있는 경우에 더욱 효과를 발휘했는데, 두 사람이 상대방의 모카신을 신고 천천히 마르는 것을 함께 느끼며 '충분한 공감대'가 형성될 때까지 걷는 것이다.
이 시점에서 문제가 '어떻게' 해결될지는 예측할 수 없다.
3. 당신의 문제는 무엇인가?
- 문제란 바라는 것과 인식하는 것 간의 차이다.
- 허상의 문제들이 진짜 문제다.
유머 감각이 없는 사람의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하지 마라.
2부: 그것은 어떤 문제인가?
4. 영리함 씨, 최상의 입찰 조건을 찾아내다.
- 문제 정의를 위해 문제를 제시한 쪽의 방법을 선택하지 마라.
- 만약 문제를 너무 쉽게 해결한다면, 문제를 제시한 사람들은 결코 당신이 진짜 문제를 해결했다고 믿지 않을 것이다.
5. 영리함 씨, 할 말을 잃다.
- 문제 정의를 위한 방법을 선택할 때 실수를 해서는 안된다.
- 특히 그것이 당신 자신만의 해결 방법일 경우에는 더욱.
6. 영리함 씨, 입찰 문제로 돌아오다
- 문제가 해결된 뒤에라도, 정확한 정의를 내렸다고 결코 확신하지는 마라.
- 성급하게 결론에 도달하지 마라. 그러나 처음 느낌을 무시해서도 안 된다.
여기서 영리함 씨를 비롯한 여러 사람들이 범한 오류는 어떤 문제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면 그에 대한 답 또한 심오할 것이라는 생각이다.
문제들을 다루는 데에서 정말로 중요한 것은 어떤 질문도 결코 답이 없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결론에 대해 끊임없이 의문을 제시할 수 있다면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 문제에 대한 궁극적인 정의, 즉 진정한 답을 찾았다고 자신을 기만하지 않는 한 궁극적인 답을 얻었다고 생각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리고 그렇게 생각하는 것은 항상 잘못된 것이다. 왜냐하면 '최종적인 해결안'이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정확히 정의 내렸다고 결코 확신하지 마라. 그러나 그것을 얻기 위한 노력은 계속해야 한다.
3부: 정말로 무엇이 문제인가?
7. 끝없는 사슬
- 각각의 해결안은 다음 문제의 근원이다.
- 어떤 문제들에 접근할 때 가장 어려운 부분은 일단 문제의 존재를 인식하는 것이다.
- 문제를 이해할 때, 잘못될 수 있는 경우를 적어도 세 개 이상 생각해 내지 못한다면 당신은 문제를 이해하지 못한 것이다.
8. 부적합을 발견하지 못하다
- 성급하게 결론에 도달하지 마라. 그러나 처음 느낌을 무시해서도 안 된다.
- 여러분이 내린 정의에 대해 외국인이나 장님 혹은 어린이를 통해서 검증하라. 혹은 여러분 자신이 외국인, 장님 혹은 어린이가 되어 보아라.
- 각각의 새로운 관점은 새로운 부적합을 야기한다.
9. 문제의 본질 파악하기
- 또 다른 해결안을 얻기 위해 어떻게 문제를 바꾸어 기술할 것인가?
- 나는 무엇을 해결하고 있는가?
10. 의미 표현에 주의하라
- 문제를 단어들로 기술했다면, 기술한 내용이 모든 사람의 머리 속에 들어갈 수 있도록 그 단어들을 이용하여 놀이를 해본다.
4부: 누구의 문제인가?
11. 연기가 앞을 가리다
- 누구의 문제인가?
- 그들 스스로 문제를 완벽하게 풀 수 있을 때에는 그들의 문제 해결에 끼어들지 않는다.
- 만약 그것이 그들의 문제라면 그들의 문제가 되도록 하라.
12. 주차장이 부족한 캠퍼스
- 누구의 문제인가?
- 만약 어떤 사람이 문제에 대해서 무언가를 할 수 있는 위치에 있으나, 문제를 느끼지 못할 때에는 그가 행동할 수 있도록 무언가 조치를 취한다.
- 잠시라도 좋으니 변화를 위해 당신 자신에게 책임을 물어라.
13. 터널 끝에서 전조등 끄기
- 누구의 문제인가?
- 만약 사람들이 전조등을 켜고 있다면 작은 팁이 완벽한 안내 문구보다 훨씬 효과가 좋을 것이다.
5부: 문제는 어디에서 비롯되는가?
14. 재닛 자워스키, 손을 부르르 떨다
- 문제는 어디에서 비롯되는가?
15. 마트쮜신 씨가 태도를 바꾸다
- 무례함은 어디에서 비롯되는가?
16. 일을 만드는 사람과 공을 가져가는 사람
- 문제는 어디에서 비롯되는가?
- 이 세상에는 두 종류의 사람이 있다.
17. 시험과 기타 퍼즐들
- 문제는 어디에서 비롯되는가?
- 누가 이 문제를 만들었는가?
- 그의 출제 의도는 무엇인가?
6부: 정말로 그것을 해결하고 싶은가?
18. 지칠줄모름 씨, 장난감 공장의 문제를 어설프게 해결하다
- 그것이 무엇이건 사람들은 요구하는 것을 실제로 갖기 전까지는 자신들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지 못한다.
19. 참을성 양, 계략을 쓰다
- 최종 분석에 따르면 정말로 자신의 문제를 풀고 싶은 사람은 그렇게 많지 않다.
20. 우선순위 결정
- 내가 정말로 해결책을 원하는가?
- 우리 자신이 해결안을 원하는지 판단하는 시간은 결코 충분하지 않지만, 그것을 무시할 시간은 항상 있다.
- 물고기는 물을 보지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