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s between revisions 1 and 2
Revision 1 as of 2021-03-14 09:21:33
Size: 5666
Editor: 정수
Comment:
Revision 2 as of 2021-03-14 09:23:00
Size: 5757
Editor: 정수
Comment:
Deletions are marked like this. Additions are marked like this.
Line 16: Line 16:
1부: 무엇이 문제인가? = 1부: 무엇이 문제인가? =
Line 18: Line 18:
1. 문제 == 1. 문제 ==
Line 20: Line 20:
무엇이 문제인가?

누구의 문제인가?

당신 문제의 핵심은 무엇인가?
 * 무엇이 문제인가?
 * 누구의 문제인가?
 * 당신 문제의 핵심은 무엇인가?
Line 28: Line 26:
"무엇이 잘못인가?"를 어떻게 결정할 것인가?

무엇이 잘못인가?

그것에 대해 무엇을 해야 하는가?
 * "무엇이 잘못인가?"를 어떻게 결정할 것인가?
 * 무엇이 잘못인가?
 * 그것에 대해 무엇을 해야 하는가?
Line 36: Line 31:
문제란 바라는 것과 인식하는 것 간의 차이다.

허상의 문제들이 진짜 문제다.
 * 문제란 바라는 것과 인식하는 것 간의 차이다.
 * 허상의 문제들이 진짜 문제다.
Line 44: Line 38:
문제 정의를 위해 문제를 제시한 쪽의 방법을 선택하지 마라.

만약 문제를 너무 쉽게 해결한다면, 문제를 제시한 사람들은 결코 당신이 진짜 문제를 해결했다고 믿지 않을 것이다.
 * 문제 정의를 위해 문제를 제시한 쪽의 방법을 선택하지 마라.
 * 만약 문제를 너무 쉽게 해결한다면, 문제를 제시한 사람들은 결코 당신이 진짜 문제를 해결했다고 믿지 않을 것이다.
Line 50: Line 43:
문제 정의를 위한 방법을 선택할 때 실수를 해서는 안된다.

특히 그것이 당신 자신만의 해결 방법일 경우에는 더욱.
 * 문제 정의를 위한 방법을 선택할 때 실수를 해서는 안된다.
 * 특히 그것이 당신 자신만의 해결 방법일 경우에는 더욱.
Line 56: Line 48:
문제가 해결된 뒤에라도, 정확한 정의를 내렸다고 결코 확신하지는 마라.

성급하게 결론에 도달하지 마라. 그러나 처음 느낌을 무시해서도 안 된다.
 * 문제가 해결된 뒤에라도, 정확한 정의를 내렸다고 결코 확신하지는 마라.
 * 성급하게 결론에 도달하지 마라. 그러나 처음 느낌을 무시해서도 안 된다.
Line 64: Line 55:
각각의 해결안은 다음 문제의 근원이다.

어떤 문제들에 접근할 때 가장 어려운 부분은 일단 문제의 존재를 인식하는 것이다.

문제를 이해할 때, 잘못될 수 있는 경우를 적어도 세 개 이상 생각해 내지 못한다면 당신은 문제를 이해하지 못한 것이다.
 * 각각의 해결안은 다음 문제의 근원이다.
 * 어떤 문제들에 접근할 때 가장 어려운 부분은 일단 문제의 존재를 인식하는 것이다.
 * 문제를 이해할 때, 잘못될 수 있는 경우를 적어도 세 개 이상 생각해 내지 못한다면 당신은 문제를 이해하지 못한 것이다.
Line 72: Line 61:
성급하게 결론에 도달하지 마라. 그러나 처음 느낌을 무시해서도 안 된다.

여러분이 내린 정의에 대해 외국인이나 장님 혹은 어린이를 통해서 검증하라. 혹은 여러분 자신이 외국인, 장님 혹은 어린이가 되어 보아라.

각각의 새로운 관점은 새로운 부적합을 야기한다.
 * 성급하게 결론에 도달하지 마라. 그러나 처음 느낌을 무시해서도 안 된다.
 * 여러분이 내린 정의에 대해 외국인이나 장님 혹은 어린이를 통해서 검증하라. 혹은 여러분 자신이 외국인, 장님 혹은 어린이가 되어 보아라.
 * 각각의 새로운 관점은 새로운 부적합을 야기한다.
Line 80: Line 67:
또 다른 해결안을 얻기 위해 어떻게 문제를 바꾸어 기술할 것인가?

나는 무엇을 해결하고 있는가?
 * 또 다른 해결안을 얻기 위해 어떻게 문제를 바꾸어 기술할 것인가?
 * 나는 무엇을 해결하고 있는가?
Line 86: Line 72:
문제를 단어들로 기술했다면, 기술한 내용이 모든 사람의 머리 속에 들어갈 수 있도록 그 단어들을 이용하여 놀이를 해본다.  * 문제를 단어들로 기술했다면, 기술한 내용이 모든 사람의 머리 속에 들어갈 수 있도록 그 단어들을 이용하여 놀이를 해본다.
Line 92: Line 78:
누구의 문제인가?

그들 스스로 문제를 완벽하게 풀 수 있을 때에는 그들의 문제 해결에 끼어들지 않는다.

만약 그것이 그들의 문제라면 그들의 문제가 되도록 하라.
 * 누구의 문제인가?
 * 그들 스스로 문제를 완벽하게 풀 수 있을 때에는 그들의 문제 해결에 끼어들지 않는다.
 * 만약 그것이 그들의 문제라면 그들의 문제가 되도록 하라.
Line 100: Line 84:
누구의 문제인가?

만약 어떤 사람이 문제에 대해서 무언가를 할 수 있는 위치에 있으나, 문제를 느끼지 못할 때에는 그가 행동할 수 있도록 무언가 조치를 취한다.

잠시라도 좋으니 변화를 위해 당신 자신에게 책임을 물어라.
 * 누구의 문제인가?
 * 만약 어떤 사람이 문제에 대해서 무언가를 할 수 있는 위치에 있으나, 문제를 느끼지 못할 때에는 그가 행동할 수 있도록 무언가 조치를 취한다.
 * 잠시라도 좋으니 변화를 위해 당신 자신에게 책임을 물어라.
Line 108: Line 90:
누구의 문제인가?

만약 사람들이 전조등을 켜고 있다면 작은 팁이 완벽한 안내 문구보다 훨씬 효과가 좋을 것이다.
 * 누구의 문제인가?
 * 만약 사람들이 전조등을 켜고 있다면 작은 팁이 완벽한 안내 문구보다 훨씬 효과가 좋을 것이다.
Line 116: Line 97:
문제는 어디에서 비롯되는가?  * 문제는 어디에서 비롯되는가?
Line 120: Line 101:
무례함은 어디에서 비롯되는가?  * 무례함은 어디에서 비롯되는가?
Line 124: Line 105:
문제는 어디에서 비롯되는가?

이 세상에는 두 종류의 사람이 있다.
 * 문제는 어디에서 비롯되는가?
 * 이 세상에는 두 종류의 사람이 있다.
Line 130: Line 110:
문제는 어디에서 비롯되는가?

누가 이 문제를 만들었는가?

그의 출제 의도는 무엇인가?
 * 문제는 어디에서 비롯되는가?
 * 누가 이 문제를 만들었는가?
 * 그의 출제 의도는 무엇인가?
Line 140: Line 118:
그것이 무엇이건 사람들은 요구하는 것을 실제로 갖기 전까지는 자신들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지 못한다.  * 그것이 무엇이건 사람들은 요구하는 것을 실제로 갖기 전까지는 자신들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지 못한다.
Line 144: Line 122:
최종 분석에 따르면 정말로 자신의 문제를 풀고 싶은 사람은 그렇게 많지 않다.  * 최종 분석에 따르면 정말로 자신의 문제를 풀고 싶은 사람은 그렇게 많지 않다.
Line 148: Line 126:
내가 정말로 해결책을 원하는가?

우리 자신이 해결안을 원하는지 판단하는 시간은 결코 충분하지 않지만, 그것을 무시할 시간은 항상 있다.

물고기는 물을 보지 못한다.
 * 내가 정말로 해결책을 원하는가?
 * 우리 자신이 해결안을 원하는지 판단하는 시간은 결코 충분하지 않지만, 그것을 무시할 시간은 항상 있다.
 * 물고기는 물을 보지 못한다.

GeraldWeinberg의 책.

문제 해결에 관한 책.

  1. 무엇이 문제인가? (당신 문제의 핵심은 무엇인가?)
  2. 누구의 문제인가?

풋내기 문제 해결사들은 거의 대부분 해결해야 할 문제를 정의하는데 시간을 보내기보다는 성급하게 해결안을 찾아내는 데에 매달린다. ... 그렇게 하면 여러 가지 해결안이 나오게 되지만 이것들은 실제 현안과 동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자연스러운 일상의 문제를 단 한 가지로 완벽하고 명백하게 정의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 문제에 대한 어떤 공통된 이해 없이 나온 해결안은 여지없이 '엉뚱한' 문제에 대한 해결안이 되고 만다.

남의 문제를 해결해주는 문제 해결사가 되고자 할 때 취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은 문제를 '단수에서 복수로 보는 사고의 전환'을 시도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문제 해결사 Problem Solver가 아니라 문제들 해결사 Problems Solver, Solver of Problems로 여러분 자신을 변화시키라는 것이다.

1부: 무엇이 문제인가?

1. 문제

  • 무엇이 문제인가?
  • 누구의 문제인가?
  • 당신 문제의 핵심은 무엇인가?

2. 정리함 씨, 탄원서를 준비하다

  • "무엇이 잘못인가?"를 어떻게 결정할 것인가?
  • 무엇이 잘못인가?
  • 그것에 대해 무엇을 해야 하는가?

3. 당신의 문제는 무엇인가?

  • 문제란 바라는 것과 인식하는 것 간의 차이다.
  • 허상의 문제들이 진짜 문제다.

2부: 그것은 어떤 문제인가?

4. 영리함 씨, 최상의 입찰 조건을 찾아내다.

  • 문제 정의를 위해 문제를 제시한 쪽의 방법을 선택하지 마라.
  • 만약 문제를 너무 쉽게 해결한다면, 문제를 제시한 사람들은 결코 당신이 진짜 문제를 해결했다고 믿지 않을 것이다.

5. 영리함 씨, 할 말을 잃다.

  • 문제 정의를 위한 방법을 선택할 때 실수를 해서는 안된다.
  • 특히 그것이 당신 자신만의 해결 방법일 경우에는 더욱.

6. 영리함 씨, 입찰 문제로 돌아오다

  • 문제가 해결된 뒤에라도, 정확한 정의를 내렸다고 결코 확신하지는 마라.
  • 성급하게 결론에 도달하지 마라. 그러나 처음 느낌을 무시해서도 안 된다.

3부: 정말로 무엇이 문제인가?

7. 끝없는 사슬

  • 각각의 해결안은 다음 문제의 근원이다.
  • 어떤 문제들에 접근할 때 가장 어려운 부분은 일단 문제의 존재를 인식하는 것이다.
  • 문제를 이해할 때, 잘못될 수 있는 경우를 적어도 세 개 이상 생각해 내지 못한다면 당신은 문제를 이해하지 못한 것이다.

8. 부적합을 발견하지 못하다

  • 성급하게 결론에 도달하지 마라. 그러나 처음 느낌을 무시해서도 안 된다.
  • 여러분이 내린 정의에 대해 외국인이나 장님 혹은 어린이를 통해서 검증하라. 혹은 여러분 자신이 외국인, 장님 혹은 어린이가 되어 보아라.
  • 각각의 새로운 관점은 새로운 부적합을 야기한다.

9. 문제의 본질 파악하기

  • 또 다른 해결안을 얻기 위해 어떻게 문제를 바꾸어 기술할 것인가?
  • 나는 무엇을 해결하고 있는가?

10. 의미 표현에 주의하라

  • 문제를 단어들로 기술했다면, 기술한 내용이 모든 사람의 머리 속에 들어갈 수 있도록 그 단어들을 이용하여 놀이를 해본다.

4부: 누구의 문제인가?

11. 연기가 앞을 가리다

  • 누구의 문제인가?
  • 그들 스스로 문제를 완벽하게 풀 수 있을 때에는 그들의 문제 해결에 끼어들지 않는다.
  • 만약 그것이 그들의 문제라면 그들의 문제가 되도록 하라.

12. 주차장이 부족한 캠퍼스

  • 누구의 문제인가?
  • 만약 어떤 사람이 문제에 대해서 무언가를 할 수 있는 위치에 있으나, 문제를 느끼지 못할 때에는 그가 행동할 수 있도록 무언가 조치를 취한다.
  • 잠시라도 좋으니 변화를 위해 당신 자신에게 책임을 물어라.

13. 터널 끝에서 전조등 끄기

  • 누구의 문제인가?
  • 만약 사람들이 전조등을 켜고 있다면 작은 팁이 완벽한 안내 문구보다 훨씬 효과가 좋을 것이다.

5부: 문제는 어디에서 비롯되는가?

14. 재닛 자워스키, 손을 부르르 떨다

  • 문제는 어디에서 비롯되는가?

15. 마트쮜신 씨가 태도를 바꾸다

  • 무례함은 어디에서 비롯되는가?

16. 일을 만드는 사람과 공을 가져가는 사람

  • 문제는 어디에서 비롯되는가?
  • 이 세상에는 두 종류의 사람이 있다.

17. 시험과 기타 퍼즐들

  • 문제는 어디에서 비롯되는가?
  • 누가 이 문제를 만들었는가?
  • 그의 출제 의도는 무엇인가?

6부: 정말로 그것을 해결하고 싶은가?

18. 지칠줄모름 씨, 장난감 공장의 문제를 어설프게 해결하다

  • 그것이 무엇이건 사람들은 요구하는 것을 실제로 갖기 전까지는 자신들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지 못한다.

19. 참을성 양, 계략을 쓰다

  • 최종 분석에 따르면 정말로 자신의 문제를 풀고 싶은 사람은 그렇게 많지 않다.

20. 우선순위 결정

  • 내가 정말로 해결책을 원하는가?
  • 우리 자신이 해결안을 원하는지 판단하는 시간은 결코 충분하지 않지만, 그것을 무시할 시간은 항상 있다.
  • 물고기는 물을 보지 못한다.

책/AreYourLightsOn (last edited 2024-09-27 00:43:53 by 정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