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자일 컨버세이션: 조직과 문화를 바꾸는 다섯 가지 대화

DouglasSquirrel, JeffreyFredrick, Agile Conversations: Transform Your Conversations, Transform Your Culture

1장. 소프트웨어 공장 탈출하기

마이클 게일은 그의 책 “The Digital Helix”에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중 84%가 실패한다고 말했다. 나머지 16%가 성공하는 이유를 이해하는 과정에서 마이클은 ‘성공하려면 사람들이 상호 작용하는 방식, 즉 협력하고 협업하는 방식의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고 ‘사람들의 행동과 문화, 결정 방식을 바꾸는 데 시간을 투자하지 않은 한 모든 것은 실패한다’라는 사실을 찾아냈다.

이런 근본적 전환을 이룬 방식들은 인간이라면 누구나 지닌 능력, 즉 대화로 자연스럽게 귀결됐다.

우리는 여전히 소프트웨어 공장을 지지했던 대량 제조 패러다임 단계에 있다. 문서에만 기반하는 이 모델은 대화가 없는 의사 전달의 시도일 뿐이다. 소프트웨어 공장 모델이 실패하면서 애자일이나 린, 데브옵스와 같은 새로운 사상이 탄생할 자리를 마련했다. 그러나 선한 의도에서 비롯된 새로운 모델의 도입 과정 역시 프로세스나 방법론에만 집중하면서 실패하고 말았다. 또한 작은 규모의 소프트웨어 공장에서 발생했던 동일한 실패를 만들어 냈다. 존 커틀러는 이 실패를 가리켜 '피처 공장'이라 불렀다.

소프트웨어 공장에서 일하기

테일러는 노동자에서 노동자로 업무를 전달하는 방식의 편차가 낭비의 중심이라고 여겼다. 테일러는 모든 노동자가 올바른 방식을 동일하게 학습함으로써 업무 전달 방식의 편차를 없애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방식이라 생각했다.

테일러가 주창했던 철학인 '과학적 관리'에서는 관리자들의 역할을 최선의 업무 수행 방법으로 고안하고 이해해서 강력한 표준화를 하는 것으로 정의했다.

테일러가 주장한 세계관은 매우 이산적이고 비인간적인 업무 현장 문화를 낳았다. 공장은 하나의 거대한 기계로 간주된다.


See Also: AgileDevelopment

CategoryBook CategoryAg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