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ristopherAlexander 가 쓴 책.

이 책의 사용법

패턴 랭귀지

제 1권 "시간을 초월한 건설의 길"과 제 2권 "패턴 랭귀지"는 본래 하나의 연구 성과를 양분한 것이다.

또한

따라서 "패턴 랭귀지"는 "시간을 초월한 건설의 길"에 관한 자료집이라고 할 수 있으며, "시간을 초월한 건설의 길"은 "패턴 랭귀지"의 활용과 근원에 관한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시간을 초월한 건설의 길"에서는 도시와 건축물을 만드는 작업의 기본적인 특성에 대해서 말하였다.

이 책에서 우리는 "시간을 초월한 건설의 길"에서 필요로 하는 하나의 패턴 랭귀지를 제시하였다.

이 랭귀지의 요소들은 패턴이라고 불리는 독립체이다. 각 패턴에서는 일상 환경에서 언제나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해 설명하고,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해결책의 핵심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편의성과 명료성을 위해 각각의 패턴들은 동일한 형식으로 쓰였다.

이러한 서술 형식의 이면에는 두 가지의 중요한 목적이 있다.

다음으로는 패턴들 사이의 본질적인 관계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하자.

패턴들은 지역, 도시와 같은 매우 큰 규모부터 시작하여 근린, 건물 클러스터, 건물, 방, 알코브와 같은 작은 패턴으로 이어지며, 마지막으로 시공상의 세부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끝을 맺는다.

이 직렬적인 시퀀스는 랭귀지가 기능을 발휘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며, 이에 대해서는 다음 장에서 더욱 자세하게 다루기로 한다. 이 시퀀스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시퀀스가 패턴들 간의 연결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이다. 각 패턴은 랭귀지에서 상위의 큰 패턴들과 하위의 작은 패턴들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하나의 패턴은 상위 패턴의 완성에 도움을 주며, 하위 패턴에 의해 완결된다.

어떠한 패턴도 고립된 독립체가 아니며, 각 패턴은 오직 다른 패턴들의 지지에 의해 세상에 존재할 수 있다. 즉, 상위의 패턴에 외연지어져 있으며, 같은 크기의 패턴들에는 둘러싸여 있고, 하위의 패턴들을 내포하고 있는 관계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계는 하나의 기본적인 세계관과 같다. 즉, 무엇인가를 만들 때 우리는 그 무언가를 따로 고립시켜 만들어서는 안되며, 동시에 주변의 세계 또한 그 무언가에 맞게 고쳐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주위의 세계는 일관성과 통일성을 갖게 될 것이고, 그 무언가는 거미줄 같이 연결된 자연 속에서 제자리를 차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제 개별적인 패턴들에 존재하는 문제점과 해결책 간의 본질적인 관계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각 해결책은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필요한 본질적인 관계를 제시하는 방향으로 설명되어 있어서 매우 일반적이며 추상적이다. 이는 각자가 자신을 위해, 자신이 선호하는 방법으로, 자신의 지역 상황에 맞는, 자기 자신만의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렇기 때문에, 각 문제의 해결책을 제시함이 있어서 독자에게 강요하지 않도록 노력하였고, 오직 문제점의 해결에 있어서 빼놓을 수 없는 본질적인 부분만을 수록하였다. 이러한 의미에서 각 해결책은 모든 장소에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공통적이고 변치 않는 특성만을 포함하고 있다.

문제점에 대해서 우리가 제시한 해결책은 중요도가 서로 다르다. 이를 분명히 하기 위해 각 패턴의 제목 옆에 별표 두 개(**), 한개(*)를 표시하였고, 때로는 별표를 표시하지 않았다.

여러분은 패턴들이 살아있고 진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사실, 각 패턴을 수많은 과학적 가설과 같은 하나의 가설로 생각해도 좋다.


Category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