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s between revisions 1 and 5 (spanning 4 versions)
Revision 1 as of 2022-10-30 23:05:12
Size: 87
Editor: 정수
Comment:
Revision 5 as of 2022-10-30 23:17:45
Size: 3728
Editor: 정수
Comment:
Deletions are marked like this. Additions are marked like this.
Line 5: Line 5:
== 패턴 랭귀지 ==

제 1권 "[[책/TheTimelessWayOfBuilding|시간을 초월한 건설의 길]]"과 제 2권 "패턴 랭귀지"는 본래 하나의 연구 성과를 양분한 것이다.

 * 제 1권에서는, 랭귀지의 사용에 관한 이론과 지침을 규정한데 반해
 * 제 2권에서는 건축과 계획에 관한 랭귀지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또한

 * 제 1권에서는 패턴들을 이용하여 건축물이나 도시를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는 반면,
 * 제 2권에서는 도시, 근린, 주택, 정원, 실내 공간에 관한 상세한 패턴들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따라서 "패턴 랭귀지"는 "시간을 초월한 건설의 길"에 관한 자료집이라고 할 수 있으며, "시간을 초월한 건설의 길"은 "패턴 랭귀지"의 활용과 근원에 관한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시간을 초월한 건설의 길"에서는 도시와 건축물을 만드는 작업의 기본적인 특성에 대해서 말하였다.

 * 즉, 사회구성원 모두가 참여해야 하고,
 * 사회 구성원 모두가 건축물을 만드는 공통의 패턴 랭귀지를 공유해야 하며,
 * 또한 이 공통의 패턴 랭귀지가 스스로 살아 있어야만, 도시와 건축물은 생명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책에서 우리는 "시간을 초월한 건설의 길"에서 필요로 하는 하나의 패턴 랭귀지를 제시하였다.

이 랭귀지의 요소들은 패턴이라고 불리는 독립체이다. 각 패턴에서는 일상 환경에서 언제나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해 설명하고,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해결책의 핵심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편의성과 명료성을 위해 각각의 패턴들은 동일한 형식으로 쓰였다.

 * 먼저, 각 패턴의 전형적인 예를 보여주는 그림이 제시된다.
 * 그 후에는 패턴들과의 관계, 즉, 더 큰 패턴들을 완성하는데 각 패턴들이 어떻게 기여하는지에 관한 해설을 포함한 소개글이 위치한다.
 * 다음으로 표시된 세 개의 다이아몬드는 각 패턴에 관계한 문제점의 시작을 알리며,
 * 그 밑에는 볼드체의 머리말이 위치한다. 머리말은 문제점의 본질을 한 두개의 간단한 문장으로 설명하고 있다.
 * 머리말 다음으로는 가장 길게 본문이 위치하며, 패턴의 경험적 배경, 유효성의 증거, 건축물에서 나타날 수 있는 패턴의 다양한 적용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 그리고 이후의 볼드체는 패턴의 가장 중요한 심장부로서,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필요한 모든 물리적, 사회적 관계를 기술하고 있는 해결책이라고 할 수 있다. 이 해결책은 지시문의 형태를 취하고 있는데, 이는 패턴을 만드는 데 필요한 사항이 무엇인기를 정확히 알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 다음으로, 해결책을 도식으로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 있고, 해결책의 주된 요소들이 간략하게 정리되어 있다.
 * 다이어그램 밑으로는 다시 세 개의 다이아몬드 표시가 본문이 끝났음을 알리며, 마지막으로 위치한 단락은 패턴을 더 작은 패턴과 연결하며 끝을 맺고 있다.

이러한 서술 형식의 이면에는 두 가지의 중요한 목적이 있다.

 * 첫째, 각 패턴이 다른 패턴들과 연결되어 있음을 나타내기 위함이다. 때문에, 253개 패턴들의 집합이 무수한 조합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완전체임과 동시에 하나의

ChristopherAlexander 가 쓴 책.

이 책의 사용법

패턴 랭귀지

제 1권 "시간을 초월한 건설의 길"과 제 2권 "패턴 랭귀지"는 본래 하나의 연구 성과를 양분한 것이다.

  • 제 1권에서는, 랭귀지의 사용에 관한 이론과 지침을 규정한데 반해
  • 제 2권에서는 건축과 계획에 관한 랭귀지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또한

  • 제 1권에서는 패턴들을 이용하여 건축물이나 도시를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는 반면,
  • 제 2권에서는 도시, 근린, 주택, 정원, 실내 공간에 관한 상세한 패턴들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따라서 "패턴 랭귀지"는 "시간을 초월한 건설의 길"에 관한 자료집이라고 할 수 있으며, "시간을 초월한 건설의 길"은 "패턴 랭귀지"의 활용과 근원에 관한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시간을 초월한 건설의 길"에서는 도시와 건축물을 만드는 작업의 기본적인 특성에 대해서 말하였다.

  • 즉, 사회구성원 모두가 참여해야 하고,
  • 사회 구성원 모두가 건축물을 만드는 공통의 패턴 랭귀지를 공유해야 하며,
  • 또한 이 공통의 패턴 랭귀지가 스스로 살아 있어야만, 도시와 건축물은 생명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책에서 우리는 "시간을 초월한 건설의 길"에서 필요로 하는 하나의 패턴 랭귀지를 제시하였다.

이 랭귀지의 요소들은 패턴이라고 불리는 독립체이다. 각 패턴에서는 일상 환경에서 언제나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해 설명하고,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해결책의 핵심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편의성과 명료성을 위해 각각의 패턴들은 동일한 형식으로 쓰였다.

  • 먼저, 각 패턴의 전형적인 예를 보여주는 그림이 제시된다.
  • 그 후에는 패턴들과의 관계, 즉, 더 큰 패턴들을 완성하는데 각 패턴들이 어떻게 기여하는지에 관한 해설을 포함한 소개글이 위치한다.
  • 다음으로 표시된 세 개의 다이아몬드는 각 패턴에 관계한 문제점의 시작을 알리며,
  • 그 밑에는 볼드체의 머리말이 위치한다. 머리말은 문제점의 본질을 한 두개의 간단한 문장으로 설명하고 있다.
  • 머리말 다음으로는 가장 길게 본문이 위치하며, 패턴의 경험적 배경, 유효성의 증거, 건축물에서 나타날 수 있는 패턴의 다양한 적용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 그리고 이후의 볼드체는 패턴의 가장 중요한 심장부로서,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필요한 모든 물리적, 사회적 관계를 기술하고 있는 해결책이라고 할 수 있다. 이 해결책은 지시문의 형태를 취하고 있는데, 이는 패턴을 만드는 데 필요한 사항이 무엇인기를 정확히 알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 다음으로, 해결책을 도식으로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 있고, 해결책의 주된 요소들이 간략하게 정리되어 있다.
  • 다이어그램 밑으로는 다시 세 개의 다이아몬드 표시가 본문이 끝났음을 알리며, 마지막으로 위치한 단락은 패턴을 더 작은 패턴과 연결하며 끝을 맺고 있다.

이러한 서술 형식의 이면에는 두 가지의 중요한 목적이 있다.

  • 첫째, 각 패턴이 다른 패턴들과 연결되어 있음을 나타내기 위함이다. 때문에, 253개 패턴들의 집합이 무수한 조합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완전체임과 동시에 하나의


CategoryBook

책/APatternLanguage (last edited 2022-11-01 00:24:52 by 정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