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ze: 11523
Comment:
|
Size: 12030
Comment:
|
Deletions are marked like this. | Additions are marked like this. |
Line 1: | Line 1: |
위대한 이인자들 (데이빗 히넌ㆍ워렌 베니스 지음 , 최경규 옮김) - Your Highlight on page 46 | Location 697-702 | Added on Thursday, April 2, 2020 9:30:12 AM |
#acl +All:read Co-Leaders: The Power of Great Partnerships DavidHeenan, WarenBennis == 위대한 협력자 정신 == === '협력자 정신'이란 무엇인가? === === 위대한 협력자에 이르는 길 === 뛰어난 부관들의 사례를 연구하면서 우리는 협력자 정신은 지위가 아니라 '역할'일 뿐임을 깨닫게 되었다. 사람들에게 주연이 아닌 조연을 하게 하는 특정한 인성 타입은 없다 (대부분의 최고경영자들과 리더들은 이 두 역할을 병행했다). 위대한 협력자들은 그들만의 독특한 개성을 가지고 있다. 다음은 조사 과정에서 나타난 매우 다양한 특징을 적은 것이다. 승진가도형:: 끝까지 올라갈 수 있는 사람이다. 대통령이 되고 싶어하는 앨버트 고어 같은 사람들에게 협력자 역할은 일종의 통과의례다. 사실 이인자가 되는 것은 시간이 지나면 최고가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최근의 한 조사에 따르면, '포춘'에서 선정한 5백대 기업의 총수 중 86퍼센트가 이인자들이었다. :: 상위계층으로 승진 가능한 부관들은 중역 무엇이 위대한 협력자들에게 동기를 부여할까? 왜 그들은 스타만을 떠받드는 오늘날 기꺼이 자아를 종속시키는 엄청난 희생을 하는 것일까? * 개혁가 ~-Crusaders-~: 마셜 장군처럼 고매한 대의를 수행하는 사람 * 동맹자 ~-Confederates-~: 로버트 러츠나 스탠퍼드 대학의 농구코치 에이미 터커처럼 특히 우수한 기업이나 조직에 있는 협력자 * 동료 ~-Consorts-~: 메릴 린치의 원스롭 스미스처럼 특별한 사람의 동료 === 위대한 협력자의 특성: 용기, 창의성, 건강한 자아 === 협력자는 특히 ‘건강한 자아’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기는 것’을 중요하게 여기는 사회에서 2등 혹은 3등이 되기 위해서는 특별한 자신감이 필요하다. 위대한 협력자가 어떤 공헌을 하든 최고의 자리에 있는 사람에게 영예가 돌아가는 것이 조직의 생리다. 최고의 부관이라도 리더의 그늘에 가려져 있는 것이 보통이다. 윌리엄 거스릿지는 딘 스미스가 세운 879승이라는 신기록에 대해 큰 공로를 인정받았지만, 기록에 남은 이름은 딘 스미스였지 30년 동안 부 감독으로 지낸 거스릿지가 아니었다. 그러나 자신을 낮출 줄 아는 거스릿지는 인터뷰에서 “평생 최고의 감독 곁에서 그를 도와 일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 성공보다 더 소중한 것을 추구하는 이인자들 === === 평등주의를 바탕으로 한 리더십 === == 진정한 리더십은 일인자가 아닐 때 발휘된다: 로버트 러츠 == === 창조적 야심가 러츠 === === 이단자 러츠를 감동시킨 이튼 === |
Line 5: | Line 41: |
=== 리더의 손을 들어준 이인자 === === 부드러우면서도 단호한 리더십 === 이튼의 특별한 점은 혼자 권력을 휘두르기보다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려는 신념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러츠와의 파트너십을 위해 권한을 진정한 협력자 정신으로 재정의하고 두 사람이 서로 교차적인 임무를 맡기를 원했다. 러츠는 「USA 투데이」의 인터뷰에서 “이튼이 좀 더 사물에 대해 구상적이고 회장으로서의 관점을 가지고 있었지만, 때때로 내가 회장이 해야 할 일을 하기도 했고 이튼이 내 일을 하기도 했다. 나는 가끔 회의에 생기를 불어넣기 위해 이튼을 놓고 농담하기도 했고, 그 또한 나를 농담거리로 삼기도 했다. 회의 분위기가 엄격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 드림팀의 눈부신 활약 === === 이인자로서 누리는 행복 === == 리더의 꿈을 실현시킨 이인자들: 스티브 발머와 크레이그 배럿 == === 빌 게이츠와 스티브 발머의 긴밀한 파트너십 === === IBM 공략에 나선 게이츠와 발머 === === '작은 빌 게이츠들'이 이끄는 기업 === === 인텔의 구원투수 배럿 === === 최고를 향한 여정 === === 공동 리더십 문화를 갖춘 인텔 === === 진보를 추구하는 공동 리더들 === == 리더를 앞서게 하는 것은 이인자의 재능이다: 윈스롭 스미스 == === 물밀듯이 밀려드는 대중 자본주의의 물결 === === 월 스트리트를 믿지 못한 사람들 === === 고객 최우선 정신 === === 리더를 보필하는 충성스러운 이인자 === === 순조로운 지휘권 이양 === === 수백만 시민에게 희망을 준 주식 투자의 기회 === == 오직 인민에게 봉사한 중국의 등불: 저우언라이 == === 중국 혁명의 탄생 === === 미련없이 주인공 자리를 내준 조연 === === 농민 마오쩌둥과 지식인 저우언라이의 공조체제 === === 공격할 순간을 조용히 기다리는 코브라 === === 무대 위에서 살아남는 법 ===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마오쩌둥이 저우언라이에게서 위협을 느끼지 않았다는 점일 것이다. 마오쩌둥의 가장 중요한 동반자였음에 틀림없지만 저우언라이는 대체로 그늘에 가려져 있으면서 혁명을 가능케 한 가장 믿음직한 협력자였다. 그는 허우타이(houtai, 後臺, 중국어로 ‘무대 뒤에 있는 사람’을 의미함)였고, 대중이 잘 느끼지 못하는 가운데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흥미롭게도 그는 자신의 경력에서 일 순위를 거부한 유일한 공산주의자였다. 저우언라이는 겸손했고 신뢰할 수 있었다. 그는 중국공산당 내에서 개인적인 파당을 형성하지 않았고, 마오쩌둥과 반대되는 파벌을 만들지도 않았다. 또 때때로 사람들로부터 요청받았지만 주석직을 추구하지도 않았다. 마오쩌둥에 반대하는 내분을 일으켜 중국에 이득이 될 리 없다고 여긴 그는 변덕스럽지만 카리스마가 있는 지도자를 포용하는 것이 중국을 위한 길이라고 생각했다. 루츠는 저우언라이가 “아첨을 믿지 않으면서도 한편으로 배신을 우려하는 마오쩌둥의 성격에 맞출 줄 알았다. 그는 마오쩌둥의 이러한 불안을 누그러뜨릴 수 있었다”고 썼다. 따라서 그는 이따금 발생하는 내부의 권력 다툼에 휘말린 적이 없었다. 이솝은 의심 많은 친구가 적보다 더 나쁘다고 말했다. 오랜 세월 저우언라이는 마오쩌둥에 대해 우정과 충성심을 유지했다. 믿음직스러운 이인자는 중국의 지도자를 온갖 수단을 다해 보호했다. 함께 광대한 지방을 여행할 때면 종종 뜨거운 햇살을 가리도록 마오쩌둥에게 모자를 건넸으며 손수 마오쩌둥의 숙소와 음식, 스케줄을 챙겼고, 음식과 음료를 미리 맛보기도 했다. 이러한 양보와 희생에 대해 몇몇 당원들은 조롱하듯 저우언라이를 마오쩌둥의 가정부라고 불렀다. 그러나 그는 비굴하지 않았다. 그의 강점은 “다른 지도자와 일할 때 항상 중립을 지켰다는 것이다. 그는 마오쩌둥의 사람이 아니다”라고 저우언라이의 전기작가는 썼다. 저우언라이는 마오쩌둥과의 연합 관계에서 아첨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다른 사람들에게 마오쩌둥을 정확히 보도록 촉구했다. 마오쩌둥은 위대하지만 결코 ‘타고난 지도자나 신적 존재 혹은 필적할 수 없는 인물’로 여겨서는 안 된다고 북경의 한 청년단체에서 말한 적도 있었다. 두 사람 사이에 전혀 틈이 없었다고는 할 수 없다. 마오쩌둥과 저우언라이 사이엔 종종 긴장감이 흘렀고 반목하는 경우도 있었다. 또 많은 주제에 대해 심각하게 대립하곤 했다. 저우언라이는 곧잘 반박을 했다. 예를 들어 1958년 그는 마오쩌둥에게 평등주의적 국영농장과 소수 노동집약적인 기업을 경제 근대화의 견인차로 삼자고 외치던 대격변의 정책인 대약진 운동을 철회하도록 촉구했다. 또 그는 중국을 적어도 한 세대 뒤로 후퇴시켰다는 평가를 받는 프롤레타리안 문화 대혁명을 공개적으로 비판했다. 그는 특히 광적으로 마오쩌둥에게 충성을 바치는 홍위병의 권력이 커지고 있는 것을 언짢아했다. 그는 광기의 시대였던 1966~69년에 누구보다도 질서와 합리성을 주장한 사람이었다. 대부분의 중국인에게 마오쩌둥은 인간이라기보다 신격화되었다. 그러나 저우언라이는 존경스럽지만 어려울 때 기댈 수 있는 인간적인 지도자였다. “중국인들은 그에게서 이상적인 ‘통치자’의 모습을 발견했다” 고 한쑤윈은 썼다. “ 그는 혁명적이었지만 유교적인 틀에서 일반 민중들의 아버지와 어머니상을 합쳐놓은 듯한 인물이었다. ” == 자기희생과 봉사에 입각한 이인자의 리더십: 조지 마셜 == === 참모 운영의 마법사 === === 육군 참조총장으로서의 새로운 시작 === === 공동 목표를 향한 강한 신념 === 두 사람이 이렇듯 달랐음에도 불구하고 루스벨트와 마셜은 자신들의 공조체제를 진정으로 탁월하게 만든 몇 가지 주요 특징을 갖고 있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공동목표에 대한 그들의 신념이었는데, 그 신념은 함께 일하면서 겪게 되는 어떠한 불편도 기꺼이 받아들일 만큼 강했다. 두 사람은 효율적인 공동 지도자가 되기 위해 친한 친구가 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또 다른 공통적인 장점은 두 사람 다 재능을 알아보는 데 뛰어났다는 것이다. 내각은 매우 존경받았고, 루스벨트는 마셜과 대통령의 군 대변인 윌리엄 리하이 제독을 포함해 최상의 국방팀을 구성했다. 일단 팀이 결성된 후 대통령은 각자의 전문성에 따라 일하도록 했다. === 유럽 재건을 위한 마셜 플랜 === == '사라진 꿈'을 붙잡은 위대한 부통령: 앨버트 고어 == === 권력 없는 특혜를 누리는 이인자의 괴로움 === === 정부 개혁에서 영향력을 행사한 첫 번째 부통령 === === '퀘일의 역설'에서 벗어나기 === == 주목받지 못해도 너무나 중요한 사람: 윌리엄 거스릿지 == === 코치가 꿈이었던 소년 === === '한 목소리 내기' 전략 === === 작은 일을 잘 다스리면 큰 문제는 일어나지 않는 법이다 === === 야심 대신 택한 행복한 삶 === === 나이 든 신임감독의 성공 === == 협력함으로써 비로소 발휘되는 무한한 힘: 에이미 터커 == === 새로운 스타로의 발돋움 === === 승리하는 팀 만들기 === === 마침내 승자가 된 터커 === === 훌륭한 팀, 존경하는 파트너와 함께하는 행복 === |
|
Line 7: | Line 115: |
- Your Highlight on page 50 | Location 761-767 | Added on Thursday, April 2, 2020 9:33:43 AM | - Your Highlight on page 26 | Location 396-401 | Added on Monday, March 23, 2020 8:04:40 PM |
Line 9: | Line 117: |
이튼의 특별한 점은 혼자 권력을 휘두르기보다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려는 신념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러츠와의 파트너십을 위해 권한을 진정한 협력자 정신으로 재정의하고 두 사람이 서로 교차적인 임무를 맡기를 원했다. 러츠는 「USA 투데이」의 인터뷰에서 “이튼이 좀 더 사물에 대해 구상적이고 회장으로서의 관점을 가지고 있었지만, 때때로 내가 회장이 해야 할 일을 하기도 했고 이튼이 내 일을 하기도 했다. 나는 가끔 회의에 생기를 불어넣기 위해 이튼을 놓고 농담하기도 했고, 그 또한 나를 농담거리로 삼기도 했다. 회의 분위기가 엄격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 |
Line 11: | Line 118: |
위대한 이인자들 (데이빗 히넌ㆍ워렌 베니스 지음 , 최경규 옮김) - Your Highlight on page 123 | Location 1873-1877 | Added on Friday, April 3, 2020 9:53:45 AM |
|
Line 14: | Line 119: |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마오쩌둥이 저우언라이에게서 위협을 느끼지 않았다는 점일 것이다. 마오쩌둥의 가장 중요한 동반자였음에 틀림없지만 저우언라이는 대체로 그늘에 가려져 있으면서 혁명을 가능케 한 가장 믿음직한 협력자였다. 그는 허우타이(houtai, 後臺, 중국어로 ‘무대 뒤에 있는 사람’을 의미함)였고, 대중이 잘 느끼지 못하는 가운데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흥미롭게도 그는 자신의 경력에서 일 순위를 거부한 유일한 공산주의자였다. ========== 위대한 이인자들 (데이빗 히넌ㆍ워렌 베니스 지음 , 최경규 옮김) - Your Highlight on page 123 | Location 1873-1883 | Added on Friday, April 3, 2020 9:53:59 AM |
|
Line 19: | Line 120: |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마오쩌둥이 저우언라이에게서 위협을 느끼지 않았다는 점일 것이다. 마오쩌둥의 가장 중요한 동반자였음에 틀림없지만 저우언라이는 대체로 그늘에 가려져 있으면서 혁명을 가능케 한 가장 믿음직한 협력자였다. 그는 허우타이(houtai, 後臺, 중국어로 ‘무대 뒤에 있는 사람’을 의미함)였고, 대중이 잘 느끼지 못하는 가운데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흥미롭게도 그는 자신의 경력에서 일 순위를 거부한 유일한 공산주의자였다. 저우언라이는 겸손했고 신뢰할 수 있었다. 그는 중국공산당 내에서 개인적인 파당을 형성하지 않았고, 마오쩌둥과 반대되는 파벌을 만들지도 않았다. 또 때때로 사람들로부터 요청받았지만 주석직을 추구하지도 않았다. 마오쩌둥에 반대하는 내분을 일으켜 중국에 이득이 될 리 없다고 여긴 그는 변덕스럽지만 카리스마가 있는 지도자를 포용하는 것이 중국을 위한 길이라고 생각했다. 루츠는 저우언라이가 “아첨을 믿지 않으면서도 한편으로 배신을 우려하는 마오쩌둥의 성격에 맞출 줄 알았다. 그는 마오쩌둥의 이러한 불안을 누그러뜨릴 수 있었다”고 썼다. 따라서 ========== 위대한 이인자들 (데이빗 히넌ㆍ워렌 베니스 지음 , 최경규 옮김) - Your Highlight on page 123 | Location 1873-1883 | Added on Friday, April 3, 2020 9:54:06 AM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마오쩌둥이 저우언라이에게서 위협을 느끼지 않았다는 점일 것이다. 마오쩌둥의 가장 중요한 동반자였음에 틀림없지만 저우언라이는 대체로 그늘에 가려져 있으면서 혁명을 가능케 한 가장 믿음직한 협력자였다. 그는 허우타이(houtai, 後臺, 중국어로 ‘무대 뒤에 있는 사람’을 의미함)였고, 대중이 잘 느끼지 못하는 가운데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흥미롭게도 그는 자신의 경력에서 일 순위를 거부한 유일한 공산주의자였다. 저우언라이는 겸손했고 신뢰할 수 있었다. 그는 중국공산당 내에서 개인적인 파당을 형성하지 않았고, 마오쩌둥과 반대되는 파벌을 만들지도 않았다. 또 때때로 사람들로부터 요청받았지만 주석직을 추구하지도 않았다. 마오쩌둥에 반대하는 내분을 일으켜 중국에 이득이 될 리 없다고 여긴 그는 변덕스럽지만 카리스마가 있는 지도자를 포용하는 것이 중국을 위한 길이라고 생각했다. 루츠는 저우언라이가 “아첨을 믿지 않으면서도 한편으로 배신을 우려하는 마오쩌둥의 성격에 맞출 줄 알았다. 그는 마오쩌둥의 이러한 불안을 누그러뜨릴 수 있었다”고 썼다. 따라서 그는 이따금 발생하는 내부의 권력 다툼에 휘말린 적이 없었다. ========== 위대한 이인자들 (데이빗 히넌ㆍ워렌 베니스 지음 , 최경규 옮김) - Your Highlight on page 124 | Location 1892-1901 | Added on Friday, April 3, 2020 9:54:50 AM 이솝은 의심 많은 친구가 적보다 더 나쁘다고 말했다. 오랜 세월 저우언라이는 마오쩌둥에 대해 우정과 충성심을 유지했다. 믿음직스러운 이인자는 중국의 지도자를 온갖 수단을 다해 보호했다. 함께 광대한 지방을 여행할 때면 종종 뜨거운 햇살을 가리도록 마오쩌둥에게 모자를 건넸으며 손수 마오쩌둥의 숙소와 음식, 스케줄을 챙겼고, 음식과 음료를 미리 맛보기도 했다. 이러한 양보와 희생에 대해 몇몇 당원들은 조롱하듯 저우언라이를 마오쩌둥의 가정부라고 불렀다. 그러나 그는 비굴하지 않았다. 그의 강점은 “다른 지도자와 일할 때 항상 중립을 지켰다는 것이다. 그는 마오쩌둥의 사람이 아니다”라고 저우언라이의 전기작가는 썼다. 저우언라이는 마오쩌둥과의 연합 관계에서 아첨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다른 사람들에게 마오쩌둥을 정확히 보도록 촉구했다. 마오쩌둥은 위대하지만 결코 ‘타고난 지도자나 신적 존재 혹은 필적할 수 없는 인물’로 여겨서는 안 된다고 북경의 한 청년단체에서 말한 적도 있었다. 두 ========== 위대한 이인자들 (데이빗 히넌ㆍ워렌 베니스 지음 , 최경규 옮김) - Your Highlight on page 124 | Location 1892-1901 | Added on Friday, April 3, 2020 9:54:54 AM 이솝은 의심 많은 친구가 적보다 더 나쁘다고 말했다. 오랜 세월 저우언라이는 마오쩌둥에 대해 우정과 충성심을 유지했다. 믿음직스러운 이인자는 중국의 지도자를 온갖 수단을 다해 보호했다. 함께 광대한 지방을 여행할 때면 종종 뜨거운 햇살을 가리도록 마오쩌둥에게 모자를 건넸으며 손수 마오쩌둥의 숙소와 음식, 스케줄을 챙겼고, 음식과 음료를 미리 맛보기도 했다. 이러한 양보와 희생에 대해 몇몇 당원들은 조롱하듯 저우언라이를 마오쩌둥의 가정부라고 불렀다. 그러나 그는 비굴하지 않았다. 그의 강점은 “다른 지도자와 일할 때 항상 중립을 지켰다는 것이다. 그는 마오쩌둥의 사람이 아니다”라고 저우언라이의 전기작가는 썼다. 저우언라이는 마오쩌둥과의 연합 관계에서 아첨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다른 사람들에게 마오쩌둥을 정확히 보도록 촉구했다. 마오쩌둥은 위대하지만 결코 ‘타고난 지도자나 신적 존재 혹은 필적할 수 없는 인물’로 여겨서는 안 된다고 북경의 한 청년단체에서 말한 적도 있었다. ========== 위대한 이인자들 (데이빗 히넌ㆍ워렌 베니스 지음 , 최경규 옮김) - Your Highlight on page 124 | Location 1901-1907 | Added on Friday, April 3, 2020 9:55:14 AM 두 사람 사이에 전혀 틈이 없었다고는 할 수 없다. 마오쩌둥과 저우언라이 사이엔 종종 긴장감이 흘렀고 반목하는 경우도 있었다. 또 많은 주제에 대해 심각하게 대립하곤 했다. 저우언라이는 곧잘 반박을 했다. 예를 들어 1958년 그는 마오쩌둥에게 평등주의적 국영농장과 소수 노동집약적인 기업을 경제 근대화의 견인차로 삼자고 외치던 대격변의 정책인 대약진 운동을 철회하도록 촉구했다. 또 그는 중국을 적어도 한 세대 뒤로 후퇴시켰다는 평가를 받는 프롤레타리안 문화 대혁명을 공개적으로 비판했다. 그는 특히 광적으로 마오쩌둥에게 충성을 바치는 홍위병의 권력이 커지고 있는 것을 언짢아했다. 그는 광기의 시대였던 1966~69년에 누구보다도 질서와 합리성을 주장한 사람이었다. ========== 위대한 이인자들 (데이빗 히넌ㆍ워렌 베니스 지음 , 최경규 옮김) - Your Highlight on page 126 | Location 1925-1928 | Added on Friday, April 3, 2020 9:56:09 AM 대부분의 중국인에게 마오쩌둥은 인간이라기보다 신격화되었다. 그러나 저우언라이는 존경스럽지만 어려울 때 기댈 수 있는 인간적인 지도자였다. “중국인들은 그에게서 이상적인 ‘통치자’의 모습을 발견했다” 고 한쑤윈은 썼다. “ 그는 혁명적이었지만 유교적인 틀에서 일반 민중들의 아버지와 어머니상을 합쳐놓은 듯한 인물이었다. ” ========== 위대한 이인자들 (데이빗 히넌ㆍ워렌 베니스 지음 , 최경규 옮김) - Your Highlight on page 146 | Location 2234-2240 | Added on Friday, April 3, 2020 11:40:16 PM 두 사람이 이렇듯 달랐음에도 불구하고 루스벨트와 마셜은 자신들의 공조체제를 진정으로 탁월하게 만든 몇 가지 주요 특징을 갖고 있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공동목표에 대한 그들의 신념이었는데, 그 신념은 함께 일하면서 겪게 되는 어떠한 불편도 기꺼이 받아들일 만큼 강했다. 두 사람은 효율적인 공동 지도자가 되기 위해 친한 친구가 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또 다른 공통적인 장점은 두 사람 다 재능을 알아보는 데 뛰어났다는 것이다. 내각은 매우 존경받았고, 루스벨트는 마셜과 대통령의 군 대변인 윌리엄 리하이 제독을 포함해 최상의 국방팀을 구성했다. 일단 팀이 결성된 후 대통령은 각자의 전문성에 따라 일하도록 했다. ========== |
Co-Leaders: The Power of Great Partnerships
위대한 협력자 정신
'협력자 정신'이란 무엇인가?
위대한 협력자에 이르는 길
뛰어난 부관들의 사례를 연구하면서 우리는 협력자 정신은 지위가 아니라 '역할'일 뿐임을 깨닫게 되었다. 사람들에게 주연이 아닌 조연을 하게 하는 특정한 인성 타입은 없다 (대부분의 최고경영자들과 리더들은 이 두 역할을 병행했다).
위대한 협력자들은 그들만의 독특한 개성을 가지고 있다. 다음은 조사 과정에서 나타난 매우 다양한 특징을 적은 것이다.
- 승진가도형
- 끝까지 올라갈 수 있는 사람이다. 대통령이 되고 싶어하는 앨버트 고어 같은 사람들에게 협력자 역할은 일종의 통과의례다. 사실 이인자가 되는 것은 시간이 지나면 최고가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최근의 한 조사에 따르면, '포춘'에서 선정한 5백대 기업의 총수 중 86퍼센트가 이인자들이었다.
- 상위계층으로 승진 가능한 부관들은 중역
무엇이 위대한 협력자들에게 동기를 부여할까? 왜 그들은 스타만을 떠받드는 오늘날 기꺼이 자아를 종속시키는 엄청난 희생을 하는 것일까?
개혁가 Crusaders: 마셜 장군처럼 고매한 대의를 수행하는 사람
동맹자 Confederates: 로버트 러츠나 스탠퍼드 대학의 농구코치 에이미 터커처럼 특히 우수한 기업이나 조직에 있는 협력자
동료 Consorts: 메릴 린치의 원스롭 스미스처럼 특별한 사람의 동료
위대한 협력자의 특성: 용기, 창의성, 건강한 자아
협력자는 특히 ‘건강한 자아’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기는 것’을 중요하게 여기는 사회에서 2등 혹은 3등이 되기 위해서는 특별한 자신감이 필요하다. 위대한 협력자가 어떤 공헌을 하든 최고의 자리에 있는 사람에게 영예가 돌아가는 것이 조직의 생리다. 최고의 부관이라도 리더의 그늘에 가려져 있는 것이 보통이다. 윌리엄 거스릿지는 딘 스미스가 세운 879승이라는 신기록에 대해 큰 공로를 인정받았지만, 기록에 남은 이름은 딘 스미스였지 30년 동안 부 감독으로 지낸 거스릿지가 아니었다. 그러나 자신을 낮출 줄 아는 거스릿지는 인터뷰에서 “평생 최고의 감독 곁에서 그를 도와 일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성공보다 더 소중한 것을 추구하는 이인자들
평등주의를 바탕으로 한 리더십
진정한 리더십은 일인자가 아닐 때 발휘된다: 로버트 러츠
창조적 야심가 러츠
이단자 러츠를 감동시킨 이튼
이튼을 역할 모델로 해서 러츠는 슈퍼맨 콤플렉스를 극복할 수 있었고, 좀 더 신뢰할 수 있고 분권화된 철학을 갖게 되었다. 고용인들을 불신해서 일할 때 제대로 능력을 발휘하지 못하게 하는 것보다는 모든 사람을 믿다가 한두 번 데이는 편이 낫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던 것이다. “능력 있는 사람들이 회사의 이익을 위해 일하고 올바른 결정을 내리는 것을 신뢰할 수 있다. 그들이 올바른 일을 하는지 계속 감독할 필요가 없다. 신뢰는 신뢰를 낳고, 나아가 더 우수한 성과를 낳는다. ”
리더의 손을 들어준 이인자
부드러우면서도 단호한 리더십
이튼의 특별한 점은 혼자 권력을 휘두르기보다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려는 신념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러츠와의 파트너십을 위해 권한을 진정한 협력자 정신으로 재정의하고 두 사람이 서로 교차적인 임무를 맡기를 원했다. 러츠는 「USA 투데이」의 인터뷰에서 “이튼이 좀 더 사물에 대해 구상적이고 회장으로서의 관점을 가지고 있었지만, 때때로 내가 회장이 해야 할 일을 하기도 했고 이튼이 내 일을 하기도 했다. 나는 가끔 회의에 생기를 불어넣기 위해 이튼을 놓고 농담하기도 했고, 그 또한 나를 농담거리로 삼기도 했다. 회의 분위기가 엄격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드림팀의 눈부신 활약
이인자로서 누리는 행복
리더의 꿈을 실현시킨 이인자들: 스티브 발머와 크레이그 배럿
빌 게이츠와 스티브 발머의 긴밀한 파트너십
IBM 공략에 나선 게이츠와 발머
'작은 빌 게이츠들'이 이끄는 기업
인텔의 구원투수 배럿
최고를 향한 여정
공동 리더십 문화를 갖춘 인텔
진보를 추구하는 공동 리더들
리더를 앞서게 하는 것은 이인자의 재능이다: 윈스롭 스미스
물밀듯이 밀려드는 대중 자본주의의 물결
월 스트리트를 믿지 못한 사람들
고객 최우선 정신
리더를 보필하는 충성스러운 이인자
순조로운 지휘권 이양
수백만 시민에게 희망을 준 주식 투자의 기회
오직 인민에게 봉사한 중국의 등불: 저우언라이
중국 혁명의 탄생
미련없이 주인공 자리를 내준 조연
농민 마오쩌둥과 지식인 저우언라이의 공조체제
공격할 순간을 조용히 기다리는 코브라
무대 위에서 살아남는 법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마오쩌둥이 저우언라이에게서 위협을 느끼지 않았다는 점일 것이다. 마오쩌둥의 가장 중요한 동반자였음에 틀림없지만 저우언라이는 대체로 그늘에 가려져 있으면서 혁명을 가능케 한 가장 믿음직한 협력자였다. 그는 허우타이(houtai, 後臺, 중국어로 ‘무대 뒤에 있는 사람’을 의미함)였고, 대중이 잘 느끼지 못하는 가운데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흥미롭게도 그는 자신의 경력에서 일 순위를 거부한 유일한 공산주의자였다. 저우언라이는 겸손했고 신뢰할 수 있었다. 그는 중국공산당 내에서 개인적인 파당을 형성하지 않았고, 마오쩌둥과 반대되는 파벌을 만들지도 않았다. 또 때때로 사람들로부터 요청받았지만 주석직을 추구하지도 않았다. 마오쩌둥에 반대하는 내분을 일으켜 중국에 이득이 될 리 없다고 여긴 그는 변덕스럽지만 카리스마가 있는 지도자를 포용하는 것이 중국을 위한 길이라고 생각했다. 루츠는 저우언라이가 “아첨을 믿지 않으면서도 한편으로 배신을 우려하는 마오쩌둥의 성격에 맞출 줄 알았다. 그는 마오쩌둥의 이러한 불안을 누그러뜨릴 수 있었다”고 썼다. 따라서 그는 이따금 발생하는 내부의 권력 다툼에 휘말린 적이 없었다.
이솝은 의심 많은 친구가 적보다 더 나쁘다고 말했다. 오랜 세월 저우언라이는 마오쩌둥에 대해 우정과 충성심을 유지했다. 믿음직스러운 이인자는 중국의 지도자를 온갖 수단을 다해 보호했다. 함께 광대한 지방을 여행할 때면 종종 뜨거운 햇살을 가리도록 마오쩌둥에게 모자를 건넸으며 손수 마오쩌둥의 숙소와 음식, 스케줄을 챙겼고, 음식과 음료를 미리 맛보기도 했다. 이러한 양보와 희생에 대해 몇몇 당원들은 조롱하듯 저우언라이를 마오쩌둥의 가정부라고 불렀다. 그러나 그는 비굴하지 않았다. 그의 강점은 “다른 지도자와 일할 때 항상 중립을 지켰다는 것이다. 그는 마오쩌둥의 사람이 아니다”라고 저우언라이의 전기작가는 썼다. 저우언라이는 마오쩌둥과의 연합 관계에서 아첨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다른 사람들에게 마오쩌둥을 정확히 보도록 촉구했다. 마오쩌둥은 위대하지만 결코 ‘타고난 지도자나 신적 존재 혹은 필적할 수 없는 인물’로 여겨서는 안 된다고 북경의 한 청년단체에서 말한 적도 있었다.
두 사람 사이에 전혀 틈이 없었다고는 할 수 없다. 마오쩌둥과 저우언라이 사이엔 종종 긴장감이 흘렀고 반목하는 경우도 있었다. 또 많은 주제에 대해 심각하게 대립하곤 했다. 저우언라이는 곧잘 반박을 했다. 예를 들어 1958년 그는 마오쩌둥에게 평등주의적 국영농장과 소수 노동집약적인 기업을 경제 근대화의 견인차로 삼자고 외치던 대격변의 정책인 대약진 운동을 철회하도록 촉구했다. 또 그는 중국을 적어도 한 세대 뒤로 후퇴시켰다는 평가를 받는 프롤레타리안 문화 대혁명을 공개적으로 비판했다. 그는 특히 광적으로 마오쩌둥에게 충성을 바치는 홍위병의 권력이 커지고 있는 것을 언짢아했다. 그는 광기의 시대였던 1966~69년에 누구보다도 질서와 합리성을 주장한 사람이었다.
대부분의 중국인에게 마오쩌둥은 인간이라기보다 신격화되었다. 그러나 저우언라이는 존경스럽지만 어려울 때 기댈 수 있는 인간적인 지도자였다. “중국인들은 그에게서 이상적인 ‘통치자’의 모습을 발견했다” 고 한쑤윈은 썼다. “ 그는 혁명적이었지만 유교적인 틀에서 일반 민중들의 아버지와 어머니상을 합쳐놓은 듯한 인물이었다. ”
자기희생과 봉사에 입각한 이인자의 리더십: 조지 마셜
참모 운영의 마법사
육군 참조총장으로서의 새로운 시작
공동 목표를 향한 강한 신념
두 사람이 이렇듯 달랐음에도 불구하고 루스벨트와 마셜은 자신들의 공조체제를 진정으로 탁월하게 만든 몇 가지 주요 특징을 갖고 있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공동목표에 대한 그들의 신념이었는데, 그 신념은 함께 일하면서 겪게 되는 어떠한 불편도 기꺼이 받아들일 만큼 강했다. 두 사람은 효율적인 공동 지도자가 되기 위해 친한 친구가 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또 다른 공통적인 장점은 두 사람 다 재능을 알아보는 데 뛰어났다는 것이다. 내각은 매우 존경받았고, 루스벨트는 마셜과 대통령의 군 대변인 윌리엄 리하이 제독을 포함해 최상의 국방팀을 구성했다. 일단 팀이 결성된 후 대통령은 각자의 전문성에 따라 일하도록 했다.
유럽 재건을 위한 마셜 플랜
'사라진 꿈'을 붙잡은 위대한 부통령: 앨버트 고어
권력 없는 특혜를 누리는 이인자의 괴로움
정부 개혁에서 영향력을 행사한 첫 번째 부통령
'퀘일의 역설'에서 벗어나기
주목받지 못해도 너무나 중요한 사람: 윌리엄 거스릿지
코치가 꿈이었던 소년
'한 목소리 내기' 전략
작은 일을 잘 다스리면 큰 문제는 일어나지 않는 법이다
야심 대신 택한 행복한 삶
나이 든 신임감독의 성공
협력함으로써 비로소 발휘되는 무한한 힘: 에이미 터커
새로운 스타로의 발돋움
승리하는 팀 만들기
마침내 승자가 된 터커
훌륭한 팀, 존경하는 파트너와 함께하는 행복
========== 위대한 이인자들 (데이빗 히넌ㆍ워렌 베니스 지음 , 최경규 옮김) - Your Highlight on page 26 | Location 396-401 | Added on Monday, March 23, 2020 8:04:40 P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