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 폴라니의 대표작. 사회적 경제에 대해 설명한 책.
책 자체는 너무 길고 종이책만 있어서 읽을 엄두가 나지 않는다.
칼폴라니 사회경제연구소에서 발행한 팟캐스트 중 홍기빈 선생이 거대한 전환을 설명하는 시리즈가 있다. 그걸 참고로 요약을 해보자면.
칼 폴라니는 1886년생이다. 오스트리아 빈에서 태어났으며 1964년에 캐나다에서 사망했다. 한국의 대표적 1886년생으로는 몽양 여운형 선생이 있다. 당시 유럽은 모더니즘의 극치를 이루었다. 합리성이 지배하던 사회였고, 문화의 정점을 이루고 있다는 자부심이 있었다. 그러나 이 세대는 평생에 걸쳐 4-5년 간격으로 엄청난 사건들을 겪는다. 자기가 알던 세계가 완전히 무너지는 경험을 한다.
- 1914년 제 1차 세계대전
- 1929년 세계 대공황
- 1933년 나치 집권, 파시즘이 온 유럽 강타
- 1939년 제 2차 세계대전
이 과정에서 칼 폴라니는 나치를 피해 헝가리 부다페스트로 망명을 한다.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다시 영국으로 망명한다. 이러한 사건들을 겪으면서 칼 폴라니를 비롯해 당대의 학자들의 화두는, '어떻게 이 지경이 되었을까?'였다.
칼 폴라니는 '자기조정시장이라는 허구를 인간세계에 구현하려고 하였기 때문'이라고 결론지었다.
계몽주의, 산업혁명을 거치면서 왕정이 무너지고 장원 시스템, 기독교 제국 등의 질서가 무너져가면서, 새로운 세상을 설명하기 위한 새로운 질서, 새로운 핵심 개념이 필요했다. 여러 주장들이 있었는데, 그 중 하나는 '인간의 합리성'이라는 것이었다. 그것을 확장하는 과정에서, '인간은 합리적인 존재이며, 자기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이기적인 존재이다. (호모 이코노미쿠스)'라는 개념이 형성된다.
그리고 영국을 중심으로 아담 스미스 같은 시장주의 학자들은, '인간에게는 교환/교역의 본성이 있다. 따라서 자유무역은 인간 본성의 자연스러운 발로이다'라고 주장했다.
이러한 시장경제를 인간사회에 적용한 결과가 바로 저러한 비극적인 사건들이라는 것이 칼 폴라니의 주장이다.
칼 폴라니는 아담 스미스가 주장한 바 '자기조정시장'이라는 것은 허상이라고 보았다. 단, 칼 폴라니가 시장을 배척의 대상으로 본 것은 아니다. '시장이 모든 것'이 되어서는 안된다고 주장한 것이다.
시장주의 학자들은 그 시장이라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것이어서 원시 인간 문명에서부터 시장이 존재했으며, 발달시켜 나가야 하는 대상이라고 주장했다.
칼 폴라니는 아래와 같은 주제에 답하고자 했다.
시장이 원시 인간 사회에서부터 시작된 것이 아니다. -> 그러면 실제로 인간 사회의 역사에서 존재했던 경제체제는 무엇인가?
언제부터인가 자기조정시장이라는 시장만능주의가 횡행하고 있다. -> 그러면 이 자기조정시장이라는 시장만능주의는 어디에서 온 것인가?
- 이 자기조정시장이라는 개념이 가지고 있는 맹점은 무엇인가?
- 이 자기조정시장이 인간세계에 억지로 구현된 결과가 어떤 것인가?
그래서 거대한 전환도 이러한 구성을 따르고 있다.
단, 실제 거대한 전환의 구성은 '자기조정 시장이 인간세계에 구현된 끔찍한 결과'를 가장 처음에 내세운다. 1~3장의 내용이 그것이다. 이것은 오히려 21세기의 독자들에게는 책을 놓게 만드는 부작용으로 작용하고 있지만, 이 책이 출판될 당시를 생각해보면, 그들에게는 아주 따끈따끈하고 생생한 자신들의 시대의 정황이었을 것이고, 고개를 끄덕이며 책 속으로 빨려들어가게 하는 도입부였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현대의 독자들은 4장부터 읽어가는 것이 흥미를 가지고 읽기 좋다.
폴라니는 인간 사회의 역사를 검토하며, 고대 세계에서부터 실제로 인간사회에 존재했던 경제체제는 시장이 아니라는 것을 이야기한다. (이것은 당시 독일의 신진 학자들을 중심으로 발달했던 역사학파 경제학의 도움으로 가능했다. 이들은 영국 제국주의를 옹호하는 시장 자본주의 이론에 의구심을 느끼고, 실제 인간 역사에서 발견되는 경제체제를 사료에 기반해서 실증적으로 연구한 집단이었다.)
시장이 고대부터 자연스럽게 존재하던 인간사회의 경제체제가 아니라면, 어떤 것이 존재했다는 것인가?
폴라니는 세 가지 경제체제를 꼽는다.
- 상호성 (선물)
- 재분배 (조공 등)
- 가정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