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s between revisions 13 and 15 (spanning 2 versions)
Revision 13 as of 2013-07-29 15:37:22
Size: 1517
Editor: 정수
Comment:
Revision 15 as of 2013-10-07 13:58:59
Size: 1653
Editor: 정수
Comment:
Deletions are marked like this. Additions are marked like this.
Line 13: Line 13:

연구자로 GaryKlein이 있다.
Line 27: Line 29:
 * 전형적인 것(typicality)을 볼 수 있는 능력
 * 차이점을 구분할 수 있는 능력
 * The ability to see antecedents and conseauences.
 * 전문가는 전형적인 것(typicality)을 볼 수 있는 능력이 있다.
 * 전문가는 차이점을 구분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 전문가는 일의 전후 상황과 이후에 전개될 결과를 볼 수 있는 능력이 있다.

전문성

전문성이란 무엇인가?

전문성은 어떻게 계발할 수 있는가?

전문성을 어떻게 가르칠 수 있는가?

전문가에게서 CollaborativeDevelopmentOfExpertiseAppliedCognitiveTaskAnalysis 등을 사용하여 전문성의 요소를 끄집어낼 수 있고, 그것을 자신이 DeliberatePerformance 등을 통해 훈련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DreyfusModel은 전문성의 단계를 설명한다.

ReflectivePractice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연구자로 GaryKlein이 있다.


klein-applied cognitive task analysis methodology.pdf

전문성의 특징으로 보는 전문성/전문가의 특징은,

  • 전문성은 분야에 특화되어 있다
  • 전문가는 패턴을 인식한다
  • 전문가는 더 빠르고 실수를 적게 한다
  • 전문가는 자신의 분야에서 대단한 기억력을 가진다
  • 전문가는 문제를 더 깊은 차원에서 바라보고 인식한다
  • 전문가는 문제를 이해하는데 더 많은 시간을 사용한다
  • 전문가는 강력한 자기-관찰(self-monitoring) 스킬을 가지고 있다
  • 전문가는 정제된 인식 능력을 가지고 있다
  • 전문가는 전형적인 것(typicality)을 볼 수 있는 능력이 있다.
  • 전문가는 차이점을 구분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 전문가는 일의 전후 상황과 이후에 전개될 결과를 볼 수 있는 능력이 있다.

이러한 특징을 바탕으로, 전문가에게 AppliedCognitiveTaskAnalysis를 실시하여 전문성을 끄집어낼 수 있다.


CategoryExpertise

전문성 (last edited 2019-07-30 14:20:20 by 정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