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추법 (Abductive reasoning)
연역법(deductive reasoning), 귀납법(inductive reasoning)에 대비해서 살펴보면 이해가 쉽다.
사례, 법칙, 결과라는 세 요소가 있을 때,
연역법 (법칙과 사례에서 결과를 도출)
- 법칙: 공중에서 사과를 놓으면 떨어진다
- 사례: 공중에서 사과를 놓았다
- 그러므로, 결과: 사과는 떨어질 것이다.
귀납법 (사례와 결과를 보고 법칙을 도출)
- 사례: 공중에서 사과를 놓았다. 여러번
- 결과: 사과가 떨어진다.
- 그러므로, 법칙: 공중에서 사과를 놓으면 떨어지는거구나.
가추법 (법칙과 결과를 보고 사례를 도출)
- 결과: 사과가 떨어졌다.
- 법칙: 공중에서 사과를 놓으면 떨어진다. (공중에서 사과를 놓았으니 떨어진게 아닐까?)
- 그러므로, 사례: 공중에서 사과를 놓았겠구나. (공중에서 사과를 놓은건지 확인해본다)
가추법에서는, 법칙을 서포트하는 사례들이 많이 나오면, 법칙이 더 맞는 것으로 확신할 수 있다. 추리에서 많이 사용하는 기법. 데이터 분석에서도 마찬가지로 많이 쓰인다.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디버깅 할 때도.
- 결과: 실행하는데 여기서 에러가 났다.
법칙: 혹시 null check를 안한게 아닐까? -> null check를 안하면 에러가 난다. (null check를 안했기 때문에 에러가 났을 것이다.)
- 사례: null check를 안했다. (진짜 null check를 안했네.)
셜록 홈스, 기호학자를 만난다: 논리와 추리의 기호학에서 나온 사례를 들어보자면,
연역법:
- 법칙: 이 주머니에서 나온 콩은 모두 하얗다.
- 사례: 이 콩들은 이 주머니에서 나왔다.
- 그러므로, 결과: 이 콩들은 하얗다.
귀납법:
- 법칙: 이 콩들은 이 주머니에서 나왔다.
- 결과: 이 콩들은 하얗다.
- 그러므로, 법칙: 이 주머니에서 나온 콩들은 모두 하얗다.
가추법:
- 결과: 이 콩들은 하얗다.
- 법칙: 이 주머니에서 나온 콩은 모두 하얗다.
- 그러므로, 사례: 이 콩들은 이 주머니에서 나왔다.
김주환 교수 강의, 능동적 추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