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l +All:read 토론의 형식 중 하나. 사전 준비물 * 토론의 주제를 하나 정한다. * 참여자들이 4~6명 수준의 소그룹을 이루어 둘러앉을 수 있을 만큼의 공간과 테이블을 준비한다. 사람들이 일어서서 돌아다녀야 해서, 활동이 가능한/여유있는 공간이 좋다. (20명이면 테이블 4개 정도 마련하면 5명씩 앉을 수 있음.) * 테이블 위에는 하나의 큰 종이를 두어 공동 기록을 할 수 있게 한다. 가급적 테이블 참석자 모두가 손에 닿고 기록할 수 있는 정도의 테이블 크기와 종이 크기인 것이 좋다. (테이블이 너무 크거나, 종이가 너무 작지 않게) 현장에서는, 진행자 1명이 필요하다. 1. 사람들이 입장하면, 테이블에 자연스럽게 앉도록 안내한다. 2. 오늘의 토론 주제를 안내한다. 3. 앉은 테이블에서 1명을 테이블 호스트로 정하게 한다. 가위바위보로 해도 좋고. 나중에 테이블에 기록된 것을 전체에게 공유/발표하는 역할을 한다. 4. 각자 테이블 안에서 오늘의 토론 주제를 가지고 N분간 토론하게 한다. (N=20~30분. 소그룹이 크면 좀 길 필요가 있고.) 5. 시간이 다 되었으면 토론을 멈추게 한다. 6. 테이블 호스트는 그 테이블에 남고, 나머지 사람들은 일어서서 다른 테이블로 섞어서 이동하게 한다. 가급적 같은 테이블에 있었던 사람과는 만나지 않도록. 7. 새로 만난 테이블 사람들과 역시 N분간 토론하게 한다. 8. 이렇게 '토론 - 테이블 섞기'를 3~4차례 한다. 20분씩 4차례면 80분이 소요됨. 9. 토론을 마치고, 각 테이블 호스트가 나와서 자기 테이블에서 나왔던 이야기들을 발표한다. 이런 식으로 진행된다. 팁 * 규칙 설명을 사전에 너무 상세하게 할 필요는 없다. '일단 앉고, 테이블 호스트 정하고, N분간 토론한다. 시작' 같은 느낌으로? 마치, 보드게임의 규칙을 미리 설명하기보다는 '규칙 어렵지 않으니, 일단 시작하고 한판만 하면 금방 알거다' 하듯이. * (이게 잘 작동할지) 너무 걱정하지 말고 사람들을 믿어라. 사람들은 말하고 싶어서 갈증을 느끼고 있다. 진행자가 사람들을 잘 못믿고 불안하면, 자꾸 진행멘트가 길어진다. 오히려 그게 더 사람들을 지루하게 만들 수 있다. * 마지막 라운드는, '이번 라운드에서는, 토론보다는, 지금까지 나왔던 얘기들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액션 아이템을 도출해주세요' 같은 식으로 진행해도 좋다. * 테이블을 바꾸면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게 되는데, 그때 각자가 '제 테이블에서 나왔던 이야기는요...' 하면서 얘기를 하면 공유에 시간이 많이 걸릴 수 있다. 정작 그 테이블에서 새로운 논의를 할 시간이 부족할 수 있다. '가급적 과거 내용 공유는 간단히, 모두 합해서 2~3분 이내에 끊도록 하고, 새 논의 하는데 집중해달라' 정도의 언급을 라운드 바뀔 때마다 한번쯤 안내를 해주고, 테이블 호스트가 퍼실리테이트를 하도록 언질을 주자. * 사람들이, '한창 얘기에 물이 올랐는데 얘기를 끊고 테이블을 바꾸게 하니 흐름이 끊기는 느낌이 든다'라는 의견을 주기도 하는데, 그게 도움이 될 수도/될 때도 있다. 특히 테이블 안에 big mouth가 있어서 대화를 독점한다던지 할 때는, 이렇게 프로토콜에 의해 끊어주는 것이 도움이 되기도 한다. 어느 정도 아쉬움이 남는 것은 어쩔 수 없기도 하니 너무 신경을 많이 안써도... * 테이블 호스트가 발표할 때는, 앞 사람의 내용과 중복되는 것은 건너뛰어도 좋다. 효과 * 문제의식이나 해결책에 대한 공감대가, 테이블이 섞이면서 전체 그룹에 확산되는 효과가 있다. 때문에 이런 과정을 통해서 도출된 액션 아이템은 저항이 적은 경향이 있다. * 어느 한두 테이블에 big mouth가 있더라도, 나머지 테이블은 건설적인 토론을 진행할 수 있다.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