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ze: 7773
Comment:
|
Size: 7776
Comment:
|
Deletions are marked like this. | Additions are marked like this. |
Line 28: | Line 28: |
== Leading From The Emerging Future | == Leading From The Emerging Future == |
Presence
미래, 살아있는 시스템 서평
줄여 말하면, 매우 읽기에 불편한 책입니다. 장황하고 촛점이 없습니다. 비유하자면, 휘파람 부는 법에 대한 매뉴얼과 같습니다. 분명 나는 느끼고 실행도 가능한데, 말로 풀어 설명하면 할수록 이상해지고 더 헛갈립니다. 책 한권을 써도 읽도 따라해서 성공하기 힘들지요. 그럴 이유가 있습니다. 이 책은 서양에서 인정하기 힘든 동양적 정서를 다루기 때문입니다. 자연과의 교감, 기(qi)와 도(tao) 등을 이용한 세상 보기에 대한 책입니다. 물론 촛점없는 번역도 한 몫은 합니다만.
책의 기본적인 인식은 선형적이고 단방향의 서구적 방법론의 한계에서 출발합니다. 사물을 즉자적으로 분석하고 그에 대한 빠른 해법 (quick solution)을 찾는데서 피상적인 발전은 있으나 심오한 발전은 없다는 인식입니다. 이를 일컬어 반응적 학습(reactive learning)이라고 합니다.
저자들은 이를 타파하기 위한 U 이론 (theory U)를 주장합니다. 발견에서 행동으로 직선형 움직임이 아니라, 심화하고 실재(presence)하는 과정을 거친 U형 경로를 따라 실행하는 것입니다. 이는 근원적인 움직임으로 세상을 변환시킨다는 주장입니다. U자의 깊이가 깊을수록 그 심오함과 영향력이 더해집니다.
아마 제 짧은 설명 만으로는 이해가 되지 않을겁니다. 책을 한권 다 읽어도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니까요. 기본적으로 서구의 과학적 방법론은 action "on the world"입니다. 세상과 분리된 자아로서 나는 객관적이고 조작적으로 세상을 대합니다. 하지만, 진정한 변화는 living "in the world"라는 겁니다. 세상과 내가 결코 둘이 아니고 따라서 세상을 변화시키면 나도 따라 변하고, 내가 변하면 세상도 변한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는 겁니다. 뭐 물리학적에서는 이미 '불확정성의 원리'를 통해 관찰하는 행위 자체가 물리량을 변화시키므로 관찰과 실재를 동시에 만족시키기 어렵다는 점을 20세기 와서야 알아냈지요. 다시 U형 이론으로 돌아가면, 쉽게 말해 선승과 도사 정도 되어 자연과 합일하고 몰아(沒我)의 경지가 되면 또렷하고 깊은 U형을 이룬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미래학이 주장하듯, 이 책도 진정한 미래는 내가 세상과 어울려 바꿔나가는 것이고, 예측보다는 미래 창조에 방점을 찍고 있습니다. 반면, 책의 한계 또한 명확합니다. U자형 실행을 위한 suspension-redirecting-letting go의 경로는 결국 돈오점수의 고통스러운 결과입니다. 만인이 성공하기가 어렵고, 미래 창조의 첫단계인 내 주변의 변화 역시 대부분 더디거나 실패할 가능성이 많습니다. 그래서 일생일대의 개인적 소명을 이룰 때나 하나의 가능성있는 가이드일 뿐, 일반화 가능한 프레임웍은 절대로 아닙니다.
다소 장황하게 말했지만, 동양과 서양에 대해 많이 공부해 온 저나, 우리나라 사람에게 책의 핵심 메시지는 직관적이고 경험적으로 닿는 내용입니다. 그리 어렵게 설명할 필요도 없지요. 오히려 간단히 할 말을 길게 말해 더 혼란스럽습니다. 매우 모호하고 자기완결적이지 못하며, 확신 부족으로 인해 이야기 흐름을 좇기가 어렵습니다. 하긴 동양 고전을 서구 지식인이 힘들게 이해하고 과학적 사고방식에 접목해 본 결과를 서구의 논증적인 프레임으로 포장하려니 본인들도 힘겨웠을듯 합니다.
번역은 좋게 봐주기 힘듭니다. 크게 오역은 없는데, 나눔작업의 탓인지 열정없이 밋밋합니다. 전에 손자를 선 쥬 장군으로 직역한 황당한 책에 이어, 노자를 라오 추(Lao Tzu)로 번역하는 섭섭함을 남기는 수준이네요.
총평하면, 대개의 사람에게 굳이 일독은 권하고 싶지 않습니다. 하지만, 중년의 언저리 즈음, 그간 떠돌던 삶의 정리와 제2 인생의 터닝 포인트를 생각하는 사람들에게는 일고의 가치가 있습니다. 동양의 득도와 경력 간의 조화를 생각하게 해보는 책이기 때문입니다. 저도 몇 년안에 다시 읽게 될지도..
Leading From The Emerging Future
서평에서 발췌
아인슈타인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우리는 어떤 문제를 야기한 예전의 사고방식으로는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결국 운용체계의 변화를 위해서는 그 기저에 깔려있는 사고방식부터 개선해야 한다. 본질을 바꿔야 하는 것이다. 연구진들은 본질에 대한 통찰과 변화를 역설한다. 그들이 주장하는 바에 따르면, ‘U프로세스’가 사회구조를 변화시켜줄, 종국에는 사회의 모순들을 해결해 줄 해결책이다. U프로세스는 오늘날의 사회가 빙산과 같은 모양을 띤다는 전제 하에, ‘U’자 형태를 그리며 빙산을 고찰하고 시험하며 새로움을 구현하는 방법을 말한다.
필자는 독자에게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진다.
- 혼란의 시대에, 다가오는 미래를 염두에 두고 앞으로 나아가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 우리가 앞으로 나아가는 여정의 가이드가 되어줄 혁신적인 경제적 틀은 무엇인가?
- 우리가 전체를 변화시킬 주체가 되는 데 도움이 될 만한 전략은 어떤 것이 있을까?
그리고 그에 대한 해답은 다음과 같다.
- 배움에는 과거로부터의 배움과 미래로부터의 배움이 있다. 두 가지는 근본적으로 다르며 미래로부터의 배움을 위해서는 인지의 경계를 허물고, 관계의 경계를 허물며, 소자아의 경계를 허무는 깊은 깨달음이 필요하다. 다시말해, ‘생각열기, 가슴열기, 의지열기’의 단계가 요구된다. 관찰하고 또 관찰하라, 중단하고 숙고하라, 즉각 행동하라.
- 경제발전의 매트릭스는 경제 구조의 발전이 인간의식의 진화를 뒤따라 간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사실 매트릭스와 인간의식은 상호 의존적 관계에 있다. 따라서 경제구조의 전환을 위해선 자아중심의 인식에서 전체 중심의 인식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 다중적 전략이 필요하다. 모든 계층의 활동 주체들이 관심의 초점을 본연의 자아에 두어야 한다. 빙산을 ’뒤집는 과정’이 필요하다. 마음을 열고, 위로부터의 소통이 아닌 생성적 대화를 통해 교류하고, 위계적 공간이 아닌 창조의 장으로의 전환만이 빙산 전체를 변화시킬 것이다.
MIT의 연구진들은 미래에 대한 확신과 희망에 차있다. 그들이 발견해낸 알고리즘을 따른다면 사회가 긍정적으로 변화할 것이라는 믿음에 대해서는 어떤 불안감도 나타나지 않는다. 현재 진행중인 작은 움직임들과 다양한 세계의 대책기구들이 그들의 믿음을 증명해주는 듯 하다. 그러나 지나치게 이상적이라는 느낌을 준다.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는 듯 하지만 다소 추상적이고 포괄적인 내용의 나열뿐이다. 그들은 자신들의 연구 성과에 대한 자신감이 자칫 자만심으로 다가올 수 있다는 점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