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s between revisions 6 and 7
Revision 6 as of 2021-04-01 10:47:48
Size: 890
Editor: 정수
Comment:
Revision 7 as of 2021-04-01 10:48:29
Size: 1160
Editor: 정수
Comment:
Deletions are marked like this. Additions are marked like this.
Line 30: Line 30:

중간에 행동을 넣게 되면, 가지가 길어진다. 길어지는게 좋은건 아니다. 컴팩트하게 단계가 적어지는게 좋다. 상태로만 중간단계를 잡아가면, 가지가 간결해지면서도 의미/맥락이 쉽게 들어올 수 있다.

실습 리뷰

논리적 근거가 부족한/없는 주장(막연한 기대)은 논리비약(우격다짐)이다.

논리비약이라는 것은, '인과관계가 약하다'라는 것.

논리비약을 없애는 연습.

가지

  1. 시작점 정하고
  2. 끝점 정하고
  3. 중간단계 넣고

시작점 잡는건 잘들 하는데, 끝점을 뭘로 정할거냐는 생각해볼 여지가 있다.

  • '이렇게 되면 얼마나 좋을까~'라는 목표를 삼으면 긍정적 가지
  • '이런 비극이 있나~'라는 목표를 삼으면 부정적 가지

중간단계는 뭐냐. 논리의 비약을 없애는 징검다리이다. 이 과정이 논리의 훈련.

징검다리는, '상태'로 표현하는 것이 좋다. 액션보다는 상태로 잡아라.

왜 상태가 좋은가?

  • 기대결과
    • 행동
    • 상태
    • 이유 (가정/설명)

중간에 행동을 넣게 되면, 가지가 길어진다. 길어지는게 좋은건 아니다. 컴팩트하게 단계가 적어지는게 좋다. 상태로만 중간단계를 잡아가면, 가지가 간결해지면서도 의미/맥락이 쉽게 들어올 수 있다.

TheoryOfConstraints/TOCfE Seoul 6강 (last edited 2025-07-09 22:18:59 by 정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