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s between revisions 10 and 11
Revision 10 as of 2021-03-04 12:37:44
Size: 2401
Editor: 정수
Comment:
Revision 11 as of 2025-07-09 22:18:42
Size: 2419
Editor: 정수
Comment:
Deletions are marked like this. Additions are marked like this.
Line 1: Line 1:
#acl +All:read

실습 리뷰

목표 설정

목표에는 목적, 목표, 성과가 있다.

오늘은 특히 동기, motivation이 목적에 해당. why에 해당. 이걸 목표 설정에서도 생각해보는게 어떨까 싶다.

야심찬 목표. 야심차다는게 뭔가? 그냥 목표와, 야심찬 목표는 어떻게 다른가?

야심차다는 것은 도전적인 자세를 갖는다는 것. 도전적이라는건, 성공 확률이 50% 정도 되는 것으로 볼 수 있겠다.

목적에 부합되고, 의미있는 일에 몰입한다. 이런건 motivation, why에 부합하는 면이 있다. '왜 내가 이런 목표를 세웠지?'라는 부분을 생각하면서 목표를 설정하는 것. 그게 야심찬 목표에 해당하지 않을까. '이걸 해서 뭘 어쩌자고 이걸 하나?'

(왜 야심찬 목표 '나무'라고 부르는가? 왜 '나무'인가? 그냥 목록이 아니라. => 실행순서를 정하면서 다이어그램 형태가 된다.)

장애

왜 하필 장애를 찾으면서 목표 달성을 생각하는가?

수험생들이 오답 체크하는 것과 마찬가지. 오답을 체크하면서, 그것이 틀리지 않도록 연습하면 성적이 올라간다.

장애를 먼저 찾아서 장애를 극복하는걸 생각하고 장애를 극복하면, 성공 확률이 높아진다.

다른 곳에서는, 목표 달성을 할 때, 장애를 찾지 않고 곧바로 중간 목표로 들어간다. 그게 TOCfE가 다른 점, 특징. 오답 체크의 효과가 있다.

현실적으로, 장애를 찾는 간단한 방법?

지난번 '문제발굴'에서 했던 부분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 나의 물리적인 장애, 정신적인 장애.
  • 환경이나 제도, 주변 인물 등.

을 고려하면서, 생각을 발산해본다. 특정 분야에 국한하지 않고. 또한, 너무 쉽게 생각할 수 있는 것들은 굳이 장애라고 볼 수 없을 수도...

목표나무 2

야심찬 목표를 정하고, 장애를 찾고, 중간 목표를 찾는게 지난 시간까지.

  1. 야심찬 목표를 명확히 정의한다.

  2. 목표 달성을 방해하는 장애를 파악한다.

  3. 장애를 극복할 중간목표를 찾는다.

  4. 중간목표들의 실행순서를 정한다.

  5. 중간목표 달성의 구체적인 활동계획을 세운다.

목장간순동

TheoryOfConstraints/TOCfE Seoul 4강 (last edited 2025-07-09 22:18:42 by 정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