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s between revisions 1 and 6 (spanning 5 versions)
Revision 1 as of 2013-01-22 01:22:05
Size: 3197
Editor: 정수
Comment:
Revision 6 as of 2023-07-11 13:15:55
Size: 3861
Editor: 정수
Comment:
Deletions are marked like this. Additions are marked like this.
Line 1: Line 1:
= Switch = Switch
Line 3: Line 3:
== 프롤로그 == = 프롤로그 =
Line 11: Line 11:
2. 게으름으로 보이는 것은 종종 탈진의 문제이다. 2. 게으름으로 보이는 것은 종종 [[의지력]] 탈진의 문제이다.
Line 13: Line 13:
 * 자제력은 소모성 자원이다.  * 자제력([[의지력]])은 소모성 자원이다.
Line 27: Line 27:
 1. '''코끼리에게 동기를 부여하라''': 게으름으로 보이는 것은 종종 탈진의 문제다. 기수는 완력으로 장시간 자신의 길을 갈 수 없다. 따라서 사람들의 감성적 측면을 개입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그들의 코끼리를 경로에 올려 협력하게 만드는 것 말이다.
 1. '''경로를 구체화하라''': 사람의 문제로 보이는 것은 종종 상황의 문제다. 우리는 그 상황을 (주변 환경까지 포함해서) '경로'라 칭한다. 경로를 구체화하면 기수와 코끼리에게 무슨 일이 일어나든 변화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1. '''코끼리에게 동기를 부여하라''': 게으름으로 보이는 것은 종종 [[의지력]] 탈진의 문제다. 기수는 완력으로 장시간 자신의 길을 갈 수 없다. 따라서 사람들의 감성적 측면을 개입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그들의 코끼리를 경로에 올려 협력하게 만드는 것 말이다.
 1. '''경로를 구체화하라''': 사람의 문제로 보이는 것은 종종 상황의 문제다. 우리는 그 상황을 (주변 환경까지 포함해서) '경로(path)'라 칭한다. 경로를 구체화하면 기수와 코끼리에게 무슨 일이 일어나든 변화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Line 34: Line 34:
== 1. 기수에게 방향을 제시하라 == = 1. Direct the Rider - 기수에게 방향을 제시하라 =
Line 36: Line 36:
1) '밝은 점' 찾기
 *
밝은점(bright spot) 해결책은 NIH 증후군 문제를 해결해준다 - 저항이 적다.
 *고통이 없으면 얻는 것도 없다는 것이 일반적인 통념이다.
 *작은 조정이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지금 당장 효과를 발휘하는 것은 무엇일까?
 *효과를 발휘하는 것은 무엇이며, 어떻게 하면 그것을 더욱 활용할 수 있는가?
 *"무엇이 잘못되었으며, 그것을 어떻게 바로잡아야 하는가?"처럼, 문제를 모색하는 사고방식은 기수의 단점들 가운데 하나다.
 *인간의 행동 및 인지에는 일반적인 경향이 있는데, "나쁜 것이 좋은 것보다 강력하다"는 것이다. 이것을 '문제 중시 성향'이라고 부르자.
 *고고학적 문제 중시 성향, 문제 해결 방식에서 벗어나 밝은 점에 집중하라. 자동적으로 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문제가 가득한 실패 속에도 성공은 존재한다.
 *과민한 기수에게는 성공조차 문제로 보일 수 있다.
== 1장. '밝은 점' 찾기  ==

 *
밝은점(bright spot) 해결책은 NIH 증후군 문제를 해결해준다 - 저항이 적다.
 * 고통이 없으면 얻는 것도 없다는 것이 일반적인 통념이다.
 * 작은 조정이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 지금 당장 효과를 발휘하는 것은 무엇일까?
 * 효과를 발휘하는 것은 무엇이며, 어떻게 하면 그것을 더욱 활용할 수 있는가?
 * "무엇이 잘못되었으며, 그것을 어떻게 바로잡아야 하는가?"처럼, 문제를 모색하는 사고방식은 기수의 단점들 가운데 하나다.
 * 인간의 행동 및 인지에는 일반적인 경향이 있는데, "나쁜 것이 좋은 것보다 강력하다"는 것이다. 이것을 '문제 중시 성향'이라고 부르자.
 * 고고학적 문제 중시 성향, 문제 해결 방식에서 벗어나 '''밝은 점'''에 집중하라. 자동적으로 되지는 않는다.
 * 그러나 문제가 가득한 실패 속에도 성공은 존재한다.
 * 과민한 기수에게는 성공조차 문제로 보일 수 있다.

== 2장. 행동 메시지의 기적 ==

== 3장. 매력적인 목적지를 그려라 ==

= 2부. Motivate the Elephant - 코끼리에게 동기를 부여하라 =

== 4장. 상대의 감정을 움직이는 몇 가지 방법 ==

== 5장. 작은 성공이 큰 성공을 만든다 ==

== 6장. 타인의 성장을 도와라 ==

= 3부. Shape the Path - 지도를 구체화하라 =

== 7장. 환경 설계의 위력 ==

== 8장. 똑똑한 습관을 기르는 법 ==

== 9장. 멀리 가려면 함께 가라 ==

= 에필로그 - 스위치를 지속하라 =

Switch

프롤로그

1. 종종 사람의 문제처럼 보이는 것이 실상은 상황의 문제이다.

  • 팝콘을 덜 먹게 만들고 싶으면 더 작은 그릇에 먹으면 된다.
  • 변화 문제를, 용기의 크기를 줄이는 쉬운 방법으로 해결할 수도, 사람들에게 사고방식을 바꾸도록 납득시키는 어려운 방법으로 해결할 스도 있다.

2. 게으름으로 보이는 것은 종종 의지력 탈진의 문제이다.

  • 자제력(의지력)은 소모성 자원이다.

  • 자제력을 소모할 때 사람들은 창의적으로 사고하고 집중하고 충동을 억제하고 좌절과 실패 앞에서 인내를 잃지 않는데 필요한, 그래서 큰 변화를 이루는데 절실한 정신 근육을 함께 소진한다.
  • 사람들은 스스로를 지치게 만들기 때문에 변화를 가하는게 힘들다.

3. 저항으로 보이는 것은 종종 명확성 결핍의 문제이다.

  • 목표 행동이 명확하지 않을 때, 기수가 시간만 죽이며 분석하고 고심하며 나아가지 못하게 된다.
  • 사람들을 변화하게 만들려면 명확한 방향을 제시하라. 그래야 기수가 시간을 질질 끌 여지를 없앤다.

변화를 이끌어내는 3요소

  1. 기수에게 방향을 지시하라: 저항으로 보이는 것은 종종 명확성 결핍의 문제다. 그러므로 명확한 방향을 제시하라.

  2. 코끼리에게 동기를 부여하라: 게으름으로 보이는 것은 종종 의지력 탈진의 문제다. 기수는 완력으로 장시간 자신의 길을 갈 수 없다. 따라서 사람들의 감성적 측면을 개입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그들의 코끼리를 경로에 올려 협력하게 만드는 것 말이다.

  3. 경로를 구체화하라: 사람의 문제로 보이는 것은 종종 상황의 문제다. 우리는 그 상황을 (주변 환경까지 포함해서) '경로(path)'라 칭한다. 경로를 구체화하면 기수와 코끼리에게 무슨 일이 일어나든 변화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1부. Direct the Rider - 기수에게 방향을 제시하라

1장. '밝은 점' 찾기

  • 밝은점(bright spot) 해결책은 NIH 증후군 문제를 해결해준다 - 저항이 적다.
  • 고통이 없으면 얻는 것도 없다는 것이 일반적인 통념이다.
  • 작은 조정이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 지금 당장 효과를 발휘하는 것은 무엇일까?
  • 효과를 발휘하는 것은 무엇이며, 어떻게 하면 그것을 더욱 활용할 수 있는가?
  • "무엇이 잘못되었으며, 그것을 어떻게 바로잡아야 하는가?"처럼, 문제를 모색하는 사고방식은 기수의 단점들 가운데 하나다.
  • 인간의 행동 및 인지에는 일반적인 경향이 있는데, "나쁜 것이 좋은 것보다 강력하다"는 것이다. 이것을 '문제 중시 성향'이라고 부르자.
  • 고고학적 문제 중시 성향, 문제 해결 방식에서 벗어나 밝은 점에 집중하라. 자동적으로 되지는 않는다.

  • 그러나 문제가 가득한 실패 속에도 성공은 존재한다.
  • 과민한 기수에게는 성공조차 문제로 보일 수 있다.

2장. 행동 메시지의 기적

3장. 매력적인 목적지를 그려라

2부. Motivate the Elephant - 코끼리에게 동기를 부여하라

4장. 상대의 감정을 움직이는 몇 가지 방법

5장. 작은 성공이 큰 성공을 만든다

6장. 타인의 성장을 도와라

3부. Shape the Path - 지도를 구체화하라

7장. 환경 설계의 위력

8장. 똑똑한 습관을 기르는 법

9장. 멀리 가려면 함께 가라

에필로그 - 스위치를 지속하라

Switch (last edited 2024-08-15 06:51:42 by 정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