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s between revisions 47 and 52 (spanning 5 versions)
Revision 47 as of 2021-09-14 15:11:57
Size: 46516
Editor: 정수
Comment:
Revision 52 as of 2021-09-14 15:16:06
Size: 51672
Editor: 정수
Comment:
Deletions are marked like this. Additions are marked like this.
Line 15: Line 15:
{{{#!wiki multi-columns
Line 49: Line 50:
예일대 경영대학원 설립에 기여한 크리스 아지리스ChrisArgyris는 사악한 세계를 친절한 양 다룰 때 어떤 위험이 있는지를 파악했다. 그는 최고의 경영대학원을 나와서 막강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컨설턴트들을 15년 동안 연구했다. 그들은 경영대학원에서 으레 제시하는, 범위가 명확히 정해져 있고 평가를 빠르게 내릴 수 있는 문제들에는 정말로 탁월한 실력을 보였다. 그러나 그런 문제들은 아지리스가 단일 순환 학습SingleLoopLearning이라 부른 것, 마음속에 맨 처음 떠오르는 익숙한 해결책이 잘 들어맞는 유형의 것이다. 그런 해결책이 잘못될 때마다 컨설턴트는 대개 방어적인 태도를 취했다. 아지리스는 〈그들의 일이 본질적으로 남들에게 다른 방식으로 일을 하라고 가르치는 것〉이라는 점을 생각하면, 그들이 그렇게 〈나약한 성격〉을 드러낸다는 사실이 정말로 놀랍다고 했다.
Line 50: Line 52:
협소한 영역에서 쏟아부은 조기 전문 훈련의 양이 혁신적인 성과를 낼 열쇠라면, 서번트는 어떤 분야를 파고들든 간에 대가의 수준에 이를 것이고, 신동은 어른이 되어서도 반드시 유명세를 떨칠 것이다. 그런데 영재 아동에 관한 손꼽히는 권위자인 심리학자 엘런 위너Ellen Winner의 말을 빌리자면, 지금까지 그 어떤 서번트도 자기 분야를 혁신시킨 〈원대한 창조자 Big-C creator〉가 되지 못했다.

과학자와 일반 대중이 예술에 취미를 가질 확률은 거의 비슷하지만, 가장 영예로운 국립과학원 회원으로 선출된 과학자일수록 자기 직업 이외의 취미 활동을 할 가능성이 훨씬 더 많다. 노벨상을 받은 이들은 더욱더 그렇다. 다른 과학자들에 비해 노벨상 수상자들은 아마추어 배우, 댄서, 마술사 등 다양한 공연자로 활약할 확률이 적어도 스물두 배 더 높다.38 전국적으로 알려진 과학자들은 다른 과학자들보다 음악가, 조각가, 화가, 판화가, 목공예가, 기계공, 전자제품 개조 활동가, 유리 공예가, 시인, 소설이나 비소설 작가로 활동할 가능성이 훨씬 높다. 그리고 여기서도 노벨상 수상자는 훨씬 더 그렇다. 또 가장 성공한 전문가는 더 폭넓은 세계에 속해 있다. 스페인의 노벨상 수상자이자 현대 신경과학의 아버지인 산티아고 라몬 이 카할 Santiago Ramón y Cajal은 이렇게 말했다. 〈멀리서 보면 그들이 에너지를 산만하게 낭비하는 양 보이겠지만, 사실 그들은 연결하고 강화하고 있다.〉 동료들로부터 진정한 전문가라고 여겨지는 과학자들과 공학자들을 여러 해에 걸쳐 연구한 끝에 나온 주된 결론은 자기 분야 너머에 미적 관심거리를 지니지 않은 이들은 자기 분야에 창의적인 기여를 하지 못한다는 것이었다.40 심리학자이자 창의성 연구로 유명한 딘 키스 사이먼턴Dean Keith Simonton은 창의적인 성취자들이 〈협소한 주제에 강박적으로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관심의 폭이 넓다고 간파했다. 〈자기 분야만 파고들 때에는 나올 수 없는 깨달음을 이 폭넓은 관심사를 통해 얻는 일이 자주 있다.〉

여러 해가 흐르면서 코널리는 왜 어떤 전문가들은 자신의 협소한 전문 분야를 벗어나면 허우적거리는 반면, 어떤 전문가들은 놀라울 만치 능숙하게 자신의 분야를 확장하는지 궁금증이 일었다. 세계적인 수준의 오케스트라에서 연주를 하다가 달리기 선수로 옮겨 간 사람도 있었다. 회사를 운영한 지 30년이 되었을 때, 그는 학교로 돌아가서 심리학자이자 체스 국제 마스터인 페르낭 고베 밑에서 바로 그 의문을 연구해 박사 학위를 받았다. 코널리는 나중에 전문 분야를 옮겨서도 성공한 이들이 경력을 쌓기 시작한 초기에 더 폭넓은 훈련을 했고, 자신의 전문성을 추구하는 동안에도 다양한 〈경력 흐름career stream〉44들을 늘 열린 자세로 대하고 있었다는 중요한 발견을 했다. 그는 그들이 1차선 일방통행로가 아니라 〈8차선 고속도로를 달렸다〉고 썼다.

그들은 레인지를 지녔다. 적응에 성공한 이들은 한 분야를 추구해 얻은 지식을 창의적으로 다른 분야에 적용하고, 인지 고착화를 피하는 데 뛰어났다. 그들은 호가스가 〈회로 차단기circuit breaker〉라고 부른 것을 실행했다. 더 이상 작동하지 않을 수도 있는 기존의 해결책에 의지하려는 경향을 외부의 경험과 유추를 끌어다가 막았다. 그들의 실력은 동일한 낡은 패턴을 〈회피〉하는 일에서 비롯되었다. 도전 과제가 명확히 정의되어 있지 않고 엄정한 규칙도 거의 없는 사악한 세계에서는 레인지가 삶의 개선 도구가 될 수 있다.

DavidEpstein이 지은 책.

'늦깎이 천재들의 비밀'이라는 제목으로 번역서가 출간되었다.

서문. 로저 페더러 vs. 타이거 우즈

1장. 조기 교육이라는 종교

Range (last edited 2024-07-25 00:55:34 by 정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