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ize: 1824 
  
  Comment:  
 | 
    ← Revision 33 as of 2024-11-08 00:56:47  ⇥ 
  Size: 3004 
  
  Comment:  
 | 
| Deletions are marked like this. | Additions are marked like this. | 
| Line 17: | Line 17: | 
| == 2024.11.08 == 키보드 다리 받침이 나사가 풀려서 높이 조정이 틀어진다. Rev2부터는 O-ring을 줘서, 그걸로 고정할 수 있다. 근데 O-ring을 어떻게 쓰는건지는 잘 모르겠다. O-ring과 나사를 같이 쓰는건가 아니면 나사 대신 쓰는건가? 그러면 나사는 언제 쓰는거지? O-ring은 더 튼튼하게 묶어주는 용도인가? 아니면 간편하게 하려고 하는건가? 우선 O-ring 규격부터 파악하자. * OD 5.5mm ID 3.5mm * 6EA * OD 6.5mm ID 3.5mm * 6EA  | 
|
| Line 25: | Line 37: | 
| * 왼쪽 썸클러스터 6번이 RGUI | * 왼쪽 썸클러스터 6번이 LGUI | 
| Line 37: | Line 49: | 
| * 왼쪽 썸클러스터 5번이 |  * 왼쪽 썸클러스터 5번이 option * 왼쪽 썸클러스터 6번이 control  | 
| Line 43: | Line 56: | 
| 음. 맥북 내장 키보드를 쓸 때 이맥스에서 어떻게 쓰고 있냐면, | 음. 맥북 내장 키보드를 쓸 때 이맥스에서 어떻게 썼었냐면, | 
| Line 60: | Line 73: | 
키보드별 macOS에서 인식하는 키 ||키 ||내장키보드||Glove80 || ||Command||엄지손가락||썸클러스터 4번|| ||Option ||잘 안씀 ||썸클러스터 5번|| ||Control||새끼손가락||썸클러스터 6번|| Emacs에서 손가락과 키보드별 macOS에서 인식하는 키 ||키 ||내장키보드 ||Glove80 || ||Alt ||엄지손가락 (cmd) ||썸클러스터 5번 (opt) || ||Control||새끼손가락 (ctrl)||썸클러스터 4번 (cmd) || ||Option ||안씀 (opt) ||썸클러스터 6번 (ctrl)||  | 
Glove80을 내 손에 맞게 맞추자.
키가 영 손에 안익는다. 오쏘리니어라는 점이 큰 것 같은데,
- 기본 키 이외에 부가키들이 손에 잘 안익는다. 키가 너무 많다. 기본 키를 둘러싼 키들.
 - plank 같은 60배열 키보드라고 생각하고 배열을 재설정하는게 오히려 헷깔리지 않을 것 같다.
 - 썸클러스터는 의외로 모두 쓰기가 어렵다. 주로 쓰는 키를 세개 정도만 셋팅하고, 레이어 키를 잘 활용하면 좋을 것 같다.
 - ESC는 1 옆이나 F1 자리로.
 - `는 1 옆으로.
 - backspace는 F10 자리로.
 - shift는 Z 옆으로.
 - / 옆에는 enter를.
 - Home 키나 End 키 자리에는 레이어 키를.
 
2024.11.08
키보드 다리 받침이 나사가 풀려서 높이 조정이 틀어진다. Rev2부터는 O-ring을 줘서, 그걸로 고정할 수 있다.
근데 O-ring을 어떻게 쓰는건지는 잘 모르겠다. O-ring과 나사를 같이 쓰는건가 아니면 나사 대신 쓰는건가? 그러면 나사는 언제 쓰는거지? O-ring은 더 튼튼하게 묶어주는 용도인가? 아니면 간편하게 하려고 하는건가?
우선 O-ring 규격부터 파악하자.
- OD 5.5mm ID 3.5mm * 6EA
 - OD 6.5mm ID 3.5mm * 6EA
 
2023.07.06
회사에서는 macOS를 사용하는데, control, alt, meta, command 키가 헷깔린다.
원래 수정된 glove80 자체의 키맵핑은, 썸클러스터가
- 왼쪽 썸클러스터 4번이 control
 - 왼쪽 썸클러스터 5번이 alt
 - 왼쪽 썸클러스터 6번이 LGUI
 
그런데 macOS에서 어떻게 바꿨냐면,
- Caps Lock -- Caps Lock
 - Control (^) -- Command
 - Option -- Option
 - Command -- Control
 
그래서, macOS에서는,
- 왼쪽 썸클러스터 4번이 command
 - 왼쪽 썸클러스터 5번이 option
 - 왼쪽 썸클러스터 6번이 control
 
 
 
음. 맥북 내장 키보드를 쓸 때 이맥스에서 어떻게 썼었냐면,
- Command(엄지) -- Alt
 - 한/영(새끼) -- Control
 - Option(안씀) -- Meta
 
Emacs의 key mapping을 이렇게 해두었다.
- command -- control
 - option -- meta
 - control -- alt
 
그런데, Glove80을 쓸 때는,
- L_Control -- Control
 - Option -- Alt
 - GUI(command) -- Meta
 
키보드별 macOS에서 인식하는 키
키  | 
  내장키보드  | 
  Glove80  | 
Command  | 
  엄지손가락  | 
  썸클러스터 4번  | 
Option  | 
  잘 안씀  | 
  썸클러스터 5번  | 
Control  | 
  새끼손가락  | 
  썸클러스터 6번  | 
Emacs에서 손가락과 키보드별 macOS에서 인식하는 키
키  | 
  내장키보드  | 
  Glove80  | 
Alt  | 
  엄지손가락 (cmd)  | 
  썸클러스터 5번 (opt)  | 
Control  | 
  새끼손가락 (ctrl)  | 
  썸클러스터 4번 (cmd)  | 
Option  | 
  안씀 (opt)  | 
  썸클러스터 6번 (ctrl)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