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s between revisions 3 and 4
Revision 3 as of 2023-08-10 07:18:39
Size: 3190
Editor: 정수
Comment:
Revision 4 as of 2024-01-14 13:32:49
Size: 3192
Editor: 정수
Comment:
Deletions are marked like this. Additions are marked like this.
Line 46: Line 46:
 * work w/ stakeholders : 프로젝트의 성공과 실패에 영향을 주거나 받는 사람들을 파악하고 이 사람들과 계속 협업  * work with stakeholders : 프로젝트의 성공과 실패에 영향을 주거나 받는 사람들을 파악하고 이 사람들과 계속 협업

EOA (Essence of Agile). 김창준님이 정리한 agile의 핵심.

success factor

avoid big loss

  • redundancy
  • detect early
  • asymmetry

learn as you go

  • feedback & adapt

  • receiving new info
  • many projects, sequential

achieve critical early with less effort

  • piecemeal & center first

  • work w/ stakeholders

be flexible

  • high ground for change
  • real option
  • slack


EOA v1.0으로 업데이트 했습니다.

avoid big loss 큰 손실 피하기

  • redundancy : 구멍이 있을 경우 안전망을 여러겹으로 해서 잡도록
  • detect early : 조기 발견
  • asymmetry : 손해의 크기는 상한이 있고, 이득의 크기는 상한이 없다.

learn as you go 진행하면서 똑똑해지기

  • feedback & adapt : 진행 과정 중 지속적으로 "좋은" 피드백을 받고 이를 통해 가는 방향/방식을 조정

  • receiving new info : 닫힌 시스템으로 있지 말고 계속 "새로운 정보"를 찾으려고 의식적으로 노력. 우리가 지금 배워야 하는 것은 뭘까?
  • many projects, sequential : 하나의 프로젝트를 마치 여러개의 프로젝트인 것처럼 변형해서 접근하고, 하나 완료하고 다음 하나 하는 식으로 해서 그 여러개의 프로젝트가 축적이 되게.
  • Gradient : 0에서 1로 바로 가려고 하지 마라. 경험이 연속적으로 되어야 한다. 한번도 팔아보지 않았던 물건을 시장에 팔려고 한다면 정식으로 파는 것과 팔지 않는 것 중간 즈음의 경험을 해보는 것이 Gradient.

achieve critical early with less effort 초기부터 맥자리를 때린다

  • piecemeal & center first : 점진적으로 접근해서 초기부터 비용을 줄이되(early, less effort), 핵심부터 시작(achieve critical).

  • work with stakeholders : 프로젝트의 성공과 실패에 영향을 주거나 받는 사람들을 파악하고 이 사람들과 계속 협업

be flexible 언제든 방향 틀기 좋게

  • high ground for change : 나중에 어떤 변화가 와도 유리하게끔 할 것.
  • real option : 약속(commitment)은 미룰 수 있는 지점까지 미룬다. 나중에 이래도 되고 저래도 되게 하는 옵션을 살려둔다. 방향을 틀 수 있는 여지를 남긴다.
  • diversify : Law of Requisite Variety. stimulus state 갯수에 response state 갯수가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response generating mechanism이 복잡할 필요는 없다. ex) gaze heuristic은 간단하다. 떨어지는 물체의 시야각이 일정하게 내 속도 방향을 조정하면 된다. 하지만 이 전략 하나로 바람, 내 상태, 공 속도 등 모두를 고려해서 더 다양한 반응을 만들어 내게 된다.
  • slack : see scarcity and slack book

meta-level strategy

  • Generative sequence : 위에 center first를 확장. 지속적으로 다음 center를 찾아 나가기. 실수를 줄이고(avoid big loss) 학습을 올리며(learn as you go) 계속 최소 노력으로 "가장 중요한 것을 찾으며(achieve critical early) 언제든 현상황을 받아들일 수 있다(be flexible)


CategoryAgile

EssenceOfAgile (last edited 2025-04-11 13:55:17 by 정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