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s between revisions 10 and 11
Revision 10 as of 2020-04-23 02:32:41
Size: 7104
Editor: 정수
Comment:
Revision 11 as of 2020-04-23 02:36:43
Size: 7763
Editor: 정수
Comment:
Deletions are marked like this. Additions are marked like this.
Line 13: Line 13:
||2. 과제(exercise) 훈련|| || ||
||3. 일대일 회고(debrief) 준비|| || ||
||4. 일대일 회고(debrief)|| || ||
||2. 과제(exercise) 훈련||OAR을 사용하여 교육생의 퍼포먼스에 대해 기록한다<<BR>>교육생이 어느 부분에서 도움이 필요한지 판단한다<<BR>>훈련 전략을 선택하고 구현(implement)한다||훈련 과제를 수행한다||
||3. 일대일 회고(debrief) 준비||TDW를 사용하여 교육생이 스스로를 평가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BR>>OAR에 대해 추가적인 코멘트를 더한다<<BR>>회고 전략을 선택한다||TDW를 작성한다<<BR>>핵심 문제 영역(key problem area)을 파악한다||
||4. 일대일 회고(debrief)||TDW를 리뷰한다<<BR>>회고 전략을 수행(implement)한다<<BR>>TDW와 OAR에 대해 논의한다<<BR>>훈련생이 TDW의 "개선을 위한 전략"을 완수하도록 돕는다||||

Collaborative Development Of Expertise

OJT 상황에서, 숙련된 사람에게서 훈련생에게 지식과 스킬의 전이를 돕기 위해 만들어진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훈련자와 교육생을 학습 과정의 동반자라는 관점으로 바라본다. 시나리오 기반의 훈련 맥락에서, 그리고 훈련자-교육생의 2자 관계에서 6가지 단계를 완수하는 점에서도 그 관점이 활용된다.

CDE 프로세스의 6가지 단계 각각에서 훈련자와 교육생이 해야 할 일들

CDE Steup

훈련자의 책임

교육생의 책임

1. 사전 브리핑

훈련 목표를 파악한다.

훈련자와 함께 훈련 목표를 파악한다.

2. 과제(exercise) 훈련

OAR을 사용하여 교육생의 퍼포먼스에 대해 기록한다
교육생이 어느 부분에서 도움이 필요한지 판단한다
훈련 전략을 선택하고 구현(implement)한다

훈련 과제를 수행한다

3. 일대일 회고(debrief) 준비

TDW를 사용하여 교육생이 스스로를 평가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OAR에 대해 추가적인 코멘트를 더한다
회고 전략을 선택한다

TDW를 작성한다
핵심 문제 영역(key problem area)을 파악한다

4. 일대일 회고(debrief)

TDW를 리뷰한다
회고 전략을 수행(implement)한다
TDW와 OAR에 대해 논의한다
훈련생이 TDW의 "개선을 위한 전략"을 완수하도록 돕는다

5. 팀 회고

6. 일대일 Follow Through

김창준 2010/8/23 정리

일반적 전략

  • Probe: 구체적 이야기를 파고 들어라. 특히 직관이 필요하고 전문성에 도전을 받았던 사례를 찾아라.
    • ~하셨던 적이 있으셨나요? 그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 ~ 관하여 특별히 도전적이었지만 자신의 전문성을 총 동원하여 해결했던 적이 있으셨다면 말씀해 주세요.
    •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주실 수 있을까요?
    • 남들이 해결 못하던 것을 자신의 직관으로 해결했던 적이 있으셨나요?
  • Help: 자신이 도움이 필요한 부분을 구체적으로 이야기하라.
    • X 부분은 이해를 하겠는데 Y는 이해가 안되네요. 설명해 주실 수 있을까요?
    • X와 Y의 핵심적 차이는 뭔가요?
    • 전체 그림이 잘 와닿지 않는 것 같아요. 도와주실 수 있을까요?
  • New perspective: 전문가가 도전적인 사건에 대해 곰곰이 상기하도록 하고, 새로운 시각에서 그 사건을 보도록 하라. 전문가가 미묘한 신호(cue)와 패턴을 잘 회고하도록 유도하라.
    • (질문을 했을 때 전문가가 "오호, 그거 흥미로운 질문이군요"하면서 곰곰이 생각한다는 반응을 보이면 제대로 질문한 것이다)
    • (전문가가 답을 하면서, 혹은 하고 나서, 스스로 "아, 제가 그렇게 했었군요, 저도 잘 몰랐는데 참 재미있군요"라는 반응을 보이면 제대로 질문한 것이다)

상황 인식

  • Cues: 전문가가 상황을 파악할 때 무엇에 주목했는가? 어떤 종류의 패턴을 알아챘는가?
    • X가 일어나고 있을 때, 무엇에 가장 주목하셨나요?
    • X가 일어나고 있을 때, 상황에서 어떤 패턴을 보셨나요?
    • X 같은 것이 일어날 때 어떤 패턴들이 있었나요? 그리고 그걸 뭘 보고 분간을 하셨나요?
  • Feedback: 적극적으로 피드백을 요청하라.
    • 이 결정을 내리는 데 제가 고려해야 할 또 다른 것이 있었을까요?
    • 제가 X를 다른 식으로 했어야 하나요?
    • X를 하는 최선의 방법은 무엇이었나요?
    • (실제로 자신이 한 방식을 보여주고) 저는 이런 식으로 했어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저는 이런 이런 식으로 상황을 이해했고, 그래서 요렇게 저렇게 했어요. 이런 이런 방법을 할 수도 있다고 생각했지만 X라는 이유로 이런 결정을 내렸고요. 어떻게 생각하세요?
    • (실제로 자신이 한 방식을 보여주고) 제가 어떻게 하는지 보여주실 수 있나요?
  • Expectations: 전문가가 기대하는 것을 직접적으로 물어라.
    • 이번 교육 세션의 목표는 무엇인가요?
    • 제가 이 연습을 하면서 무엇에 집중해야 하나요?
  • Predictions: 전문가가 무엇을 예상하는지, 어떻게 그런 예상을 하는지 등을 배워라.
    • 제가 만약 X를 한다면 무슨 일이 벌어질 것 같으세요? 왜 그럴까요?
    • X가 벌어졌을 때, Y가 일어날 거라는 걸 제가 어떻게 알아야 했나요?

추가 정보

  • What-If: 만약에 ~라면 식의 질문을 통해 한가지 주제에 대한 변주를 탐색하라.
    • 그럼 그 때 만약 X가 Y가 아니라 Z였다면 어떻게 하셨을까요? 왜 그렇게 하셨겠어요?
    • 그 때 X라는 제약이 없었다면 어떻게 하셨겠어요? 왜 그런 선택을 하셨겠어요?
    • 그 때 X라는 제약이 추가되었다면 어떻게 하셨겠어요? 왜 그런 선택을 하셨겠어요?
  • Wrong: 잘못될 수 있는 것에 대해 미리 물어라.
    • 제가 어떤 것을 염려해야 하나요?
  • Other examples: 또 다른 예가 있는지 물어라.
    • X가 벌어지는 또 다른 경우도 있나요?
    • X가 Y인 경우는 없다고 하셨는데, 혹시 X가 Y였던 경험이 한 번도 없으셨나요?
  • Resources off-line: 전문가와 헤어지고 나서 참고할만한 자료를 묻는다.
    • 저는 X를 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어요. 제가 무엇을 읽으면, 혹은 무엇을 하면 좋을까요? 추천해주세요.
    • X에 대해서 또 누구랑 이야기를 해보면 좋을까요?
  • Novice: 초보자라면 어떤 식으로 할 것 같은지를 묻는다.
    • 그 정보를 제가 해석하면서 어떤 실수를 저질렀을 것 같으신가요?
    • 제가 여기에서 뭘 시도했을 것 같으신가요?
    • 제가 혼동스러워할만한 패턴이 뭐 가 보이세요?
    • 초보자들이 통상 어떤 실수들을 저지르던가요? 패턴이 있나요?

피해야할 행동 (나쁜 냄새)

  • General : 일반적인 조언이나 이론을 묻는 것을 피하라.
    • X를 잘하려면?
    • 전문가: (별다른 맥락이나 제약조건에 대한 언급 없이) X하세요.
    • X란 무엇인가요? X를 정의해 주세요.
    • 전문가: X란 Y입니다.
  • Readily available: 내가 이미 쉽게 구할 수 있는 정보에 대한 질문은 피하라.
    • (자신이 생각하기에도 책이나 인터넷 찾아보면 쉽게 구할 수 있을 것 같은 정보에 대한 질문을 한다)
  • Bored: 질문하는 사람이나 전문가나 둘 중 하나라도 지루하게 느껴지면 뭔가 나쁜 냄새
    • (질문하는 사람이 질문해 놓고 답을 들으면서 점점 지루하게 느껴진다)
    • (전문가가 답을 하면서 스스로 지루해 한다)


CDE(Collaborative Development of Expertise)

협력적(Collaborative) 이란 말의 의미는 무엇일까? 선생과 학생의 관계에서 협력적이란? 학습자가 주인의식을 가져야 한다.

https://sites.google.com/site/agilecoachsqaured/ac2-4/workshopday1/workshopday1-seongcheol

https://sites.google.com/site/agilecoachsqaured/ac2-3/workshopday2/design/cde

논문

McDonald 2002 Pliske Stanard Crandall CDE Collaborative Development of Expertise OJT LowTech PAID (1).pdf

Stanard 2002 Pliske Crandall CDE Collaborative Development of Expertise OJT PAID.pdf


CategoryExpertise

CollaborativeDevelopmentOfExpertise (last edited 2020-04-23 02:49:19 by 정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