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s between revisions 3 and 4
Revision 3 as of 2025-07-24 13:45:40
Size: 2467
Editor: 정수
Comment:
Revision 4 as of 2025-07-24 14:03:04
Size: 5875
Editor: 정수
Comment:
Deletions are marked like this. Additions are marked like this.
Line 7: Line 7:
'''Quick Start:''' `moin get AiGarden > CLAUDE.md` - 어떤 환경에서든 이 명령으로 협업 맥락 복원
Line 8: Line 10:

== AI-Human Collaboration Protocol ==

이 정원에서는 AI와 인간이 함께 지식을 저작한다. 각자의 강점을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협업한다.

'''AI의 역할:'''
 * 구조화와 초안 작성
 * 다양한 옵션과 대안 제시
 * 일관성 있는 형식 유지
 * 빠른 반복과 개선

'''인간의 역할:'''
 * 방향성과 우선순위 결정
 * 창의적 통찰과 직관 제공
 * 최종 품질 검증
 * 맥락과 의미 부여

'''협업 원칙:'''
 * '''Small Steps''' - 작은 변화를 만들고 즉시 검증
 * '''Transparent Reasoning''' - AI는 추론 과정을 명확히 설명
 * '''Human Final Say''' - 중요한 결정은 인간이 최종 판단
 * '''Iterative Refinement''' - 대화를 통한 점진적 개선
Line 11: Line 35:
이 정원은 Christopher Alexander의 "살아있는 구조" 철학과 점진적 대화의 지혜를 따른다. 의미 있는 소프트웨어와 글쓰기는 기존 패턴을 존중하면서 작은 변화를 통해 응답적이고 주의 깊은 과정으로 나타난다. Christopher Alexander의 "살아있는 구조" 철학과 점진적 대화의 지혜를 따른다. 의미 있는 소프트웨어와 글쓰기는 기존 패턴을 존중하면서 작은 변화를 통해 응답적이고 주의 깊은 과정으로 나타난다.
Line 19: Line 43:
자세한 내용: [[AiGarden/Philosophy]] == MoinMoin Wiki Authoring ==
Line 21: Line 45:
== Active Projects == '''Essential Commands:'''
{{{
moin auth # 초기 설정
moin get PageName # 페이지 다운로드
cat file.txt | moin put PageName # 업로드 (권장)
moin list | grep Pattern # 패턴 페이지 검색
}}}
Line 23: Line 53:
=== ToJuniors Pattern Language ===
[[AiGarden/ToJuniorsPatternLanguage]] - 주니어 개발자들을 위한 프로그래밍 지혜를 패턴 언어로 변환하는 프로젝트.
'''Workflow:'''
1. Research existing content (`moin search`, `moin list`)
2. Draft locally with MoinMoin markup
3. Review and refine locally
4. Upload with `cat file.txt | moin put PageName`
5. Verify on wiki server
Line 26: Line 60:
'''Status:''' 진행 중 - 첫 번째 패턴 [[TinyExperiment]] 완성
'''Approach:''' Christopher Alexander의 패턴 언어, 이솝우화 스타일 스토리텔링
'''Target:''' 27개 핵심 격언을 반격자 구조의 패턴 네트워크로 구축
'''Critical Syntax Rules:'''
 * 불릿 포인트: `*`만 사용, `-` 금지, 반드시 앞에 공백
 * 헤딩에 wikilink 넣지 말기
 * 코드 블록: `{{{ }}}` 사용
 * 내부 링크: `[[PageName]]`
Line 30: Line 66:
=== Future Projects ===
 * 새로운 프로젝트들이 이곳에 추가될 예정
자세한 문법: [[AiGarden/WikiAuthoring]]
Line 33: Line 68:
== Garden Tools == == Writing Craft ==
Line 35: Line 70:
=== Wiki Authoring ===
[[AiGarden/WikiAuthoring]] - MoinMoin wiki 콘텐츠 생성과 관리를 위한 가이드라인과 도구들.
'''Story-First Approach''' - 이솝우화처럼 기억에 남는 이야기 구조 사용. 불릿 포인트보다는 자연스러운 문단 활용. 은유와 구체적 캐릭터를 통해 추상적 개념 설명.
Line 38: Line 72:
=== AI Collaboration ===
[[AiGarden/AICollaboration]] - 상황별 AI 협업 스타일과 효과적인 소통 방법들.
'''Educational Focus''' - 초보자들이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풍부한 설명, 예시, 은유, 우화 포함. 단순한 규칙이 아닌 왜 그런지에 대한 통찰 제공.
Line 41: Line 74:
=== Writing Craft ===
[[AiGarden/WritingCraft]] - 스토리 중심 접근법과 교육용 콘텐츠 작성 기법들.
'''Pattern Language Structure''' - 각 요소가 다른 요소들과 의미있게 연결되는 반격자 구조 생성. 선택적 관계를 통해 의미 창출.

== AI Collaboration Styles ==

상황에 따라 적절한 협업 스타일 선택:

'''Concise Mode''' - 직접적 답변, 최소한의 설명. 핵심 통찰에만 집중.

'''Insight Mode''' - 핵심 원칙 + 하나의 주요 통찰. 왜 중요한지에 집중, 큰 그림에 연결.

'''Practical Mode''' - 할 일 + 즉시 다음 단계. 이론 건너뛰고 행동에 집중.

'''Dense Mode''' - 최대 정보, 최소 단어. 높은 맥락 가정.

'''Dialogue Mode''' - 명확화 질문, 2-3개 옵션 제시, 상호작용적 개선.

전체적으로는 간결하되, 맥락에 따라 통찰, 실용, 깊은 개념, 확장 개념을 적절히 혼합. 상황에 맞는 조합을 신중히 선택.

== Context Management ==

'''Stable Core''' - AiGarden 페이지는 변하지 않는 원칙과 가이드라인만 포함. 여러 환경에서 `moin get AiGarden > CLAUDE.md`로 복사해도 동기화 부담 최소화.

'''Varying Content''' - 자주 변하는 내용들은 별도 페이지로 분리:
 * 프로젝트 현황과 계획
 * 진행 상황과 결정사항
 * 학습한 교훈들과 시행착오

'''Session Bootstrap''' - 새로운 환경에서:
1. moin cli 설치 및 인증
2. `moin get AiGarden > CLAUDE.md`
3. 현재 활성 프로젝트들 확인
4. 이전 협업 방식으로 즉시 재개

== Active Work Areas ==

현재 진행 중인 작업들 (상세 내용은 각 페이지 참조):

'''Main Projects:'''
 * [[AiGarden/ToJuniorsPatternLanguage]] - 주니어 개발자 격언을 패턴 언어로 변환

'''Support Pages:'''
 * [[AiGarden/WikiAuthoring]] - 상세한 MoinMoin 문법과 도구들
 * [[AiGarden/LessonsLearned]] - 협업 과정에서 학습한 교훈들

'''Recent Achievements:'''
 * [[TinyExperiment]] - 완성된 첫 번째 패턴 (이솝우화 스타일)

== Quality Assurance ==

'''Continuous Validation''' - 작은 변화마다 즉시 검증. 문법 확인, 링크 테스트, 의미 검토.

'''Mutual Review''' - AI와 인간이 서로의 작업을 검토. AI는 일관성과 구조를, 인간은 의미와 방향성을.

'''Iterative Improvement''' - 완벽을 추구하지 말고 점진적 개선. 각 방문마다 무언가를 개선.
Line 46: Line 131:
'''Context Management''' - 작업 맥락을 wiki에서 관리하여 장소에 관계없이 접근 가능하도록 한다. '''Living Documentation''' - 정원은 지속적인 관심과 가꿈이 필요. 새로운 아이디어를 심고, 기존 글을 다듬고, 연결을 강화.
Line 48: Line 133:
'''Continuous Cultivation''' - 정원은 지속적인 관심과 가꿈이 필요하다. 새로운 아이디어를 심고, 기존 글을 다듬고, 연결을 강화하라. '''Cultivation Rhythm''' - 각 방문마다 무언가를 개선. 작은 변화도 시간이 지나면 정원 전체를 변화시킨다.
Line 50: Line 135:
각 방문마다 무언가를 개선하라. 작은 변화도 시간이 지나면 정원 전체를 변화시킨다.

== Recent Harvests ==

 * [[TinyExperiment]] - 작은 실험을 통한 점진적 학습과 개발 (2024-01)
'''Knowledge Harvesting''' - 완성된 작업물들을 수확하고, 새로운 씨앗을 심는 순환 과정.

AiGarden

AI와 함께 아이디어를 키우는 정원. 생각의 씨앗을 심고, 글로 가꾸고, 지식으로 수확하는 곳.

Quick Start: moin get AiGarden > CLAUDE.md - 어떤 환경에서든 이 명령으로 협업 맥락 복원

AI-Human Collaboration Protocol

이 정원에서는 AI와 인간이 함께 지식을 저작한다. 각자의 강점을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협업한다.

AI의 역할:

  • 구조화와 초안 작성
  • 다양한 옵션과 대안 제시
  • 일관성 있는 형식 유지
  • 빠른 반복과 개선

인간의 역할:

  • 방향성과 우선순위 결정
  • 창의적 통찰과 직관 제공
  • 최종 품질 검증
  • 맥락과 의미 부여

협업 원칙:

  • Small Steps - 작은 변화를 만들고 즉시 검증

  • Transparent Reasoning - AI는 추론 과정을 명확히 설명

  • Human Final Say - 중요한 결정은 인간이 최종 판단

  • Iterative Refinement - 대화를 통한 점진적 개선

Garden Philosophy

Christopher Alexander의 "살아있는 구조" 철학과 점진적 대화의 지혜를 따른다. 의미 있는 소프트웨어와 글쓰기는 기존 패턴을 존중하면서 작은 변화를 통해 응답적이고 주의 깊은 과정으로 나타난다.

핵심 원칙들:

  • Structure-Preserving Baby Steps - 작고 테스트 가능한 증분을 통한 발전

  • Living Centers & Explicit Assumptions - 핵심 추상화 식별과 명시적 가정

  • Unfolding Wholeness Through Validation - 검증을 통한 전체성 전개

  • Generate, Don't Fabricate - 인위적 강요 대신 기존 패턴 기반 구축

MoinMoin Wiki Authoring

Essential Commands:

moin auth                              # 초기 설정
moin get PageName                      # 페이지 다운로드
cat file.txt | moin put PageName       # 업로드 (권장)
moin list | grep Pattern              # 패턴 페이지 검색

Workflow: 1. Research existing content (moin search, moin list) 2. Draft locally with MoinMoin markup 3. Review and refine locally 4. Upload with cat file.txt | moin put PageName 5. Verify on wiki server

Critical Syntax Rules:

  • 불릿 포인트: *만 사용, - 금지, 반드시 앞에 공백

  • 헤딩에 wikilink 넣지 말기
  • 코드 블록: {{{ }}} 사용

  • 내부 링크: [[PageName]]

자세한 문법: AiGarden/WikiAuthoring

Writing Craft

Story-First Approach - 이솝우화처럼 기억에 남는 이야기 구조 사용. 불릿 포인트보다는 자연스러운 문단 활용. 은유와 구체적 캐릭터를 통해 추상적 개념 설명.

Educational Focus - 초보자들이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풍부한 설명, 예시, 은유, 우화 포함. 단순한 규칙이 아닌 왜 그런지에 대한 통찰 제공.

Pattern Language Structure - 각 요소가 다른 요소들과 의미있게 연결되는 반격자 구조 생성. 선택적 관계를 통해 의미 창출.

AI Collaboration Styles

상황에 따라 적절한 협업 스타일 선택:

Concise Mode - 직접적 답변, 최소한의 설명. 핵심 통찰에만 집중.

Insight Mode - 핵심 원칙 + 하나의 주요 통찰. 왜 중요한지에 집중, 큰 그림에 연결.

Practical Mode - 할 일 + 즉시 다음 단계. 이론 건너뛰고 행동에 집중.

Dense Mode - 최대 정보, 최소 단어. 높은 맥락 가정.

Dialogue Mode - 명확화 질문, 2-3개 옵션 제시, 상호작용적 개선.

전체적으로는 간결하되, 맥락에 따라 통찰, 실용, 깊은 개념, 확장 개념을 적절히 혼합. 상황에 맞는 조합을 신중히 선택.

Context Management

Stable Core - AiGarden 페이지는 변하지 않는 원칙과 가이드라인만 포함. 여러 환경에서 moin get AiGarden > CLAUDE.md로 복사해도 동기화 부담 최소화.

Varying Content - 자주 변하는 내용들은 별도 페이지로 분리:

  • 프로젝트 현황과 계획
  • 진행 상황과 결정사항
  • 학습한 교훈들과 시행착오

Session Bootstrap - 새로운 환경에서: 1. moin cli 설치 및 인증 2. moin get AiGarden > CLAUDE.md 3. 현재 활성 프로젝트들 확인 4. 이전 협업 방식으로 즉시 재개

Active Work Areas

현재 진행 중인 작업들 (상세 내용은 각 페이지 참조):

Main Projects:

Support Pages:

Recent Achievements:

  • TinyExperiment - 완성된 첫 번째 패턴 (이솝우화 스타일)

Quality Assurance

Continuous Validation - 작은 변화마다 즉시 검증. 문법 확인, 링크 테스트, 의미 검토.

Mutual Review - AI와 인간이 서로의 작업을 검토. AI는 일관성과 구조를, 인간은 의미와 방향성을.

Iterative Improvement - 완벽을 추구하지 말고 점진적 개선. 각 방문마다 무언가를 개선.

Garden Maintenance

Living Documentation - 정원은 지속적인 관심과 가꿈이 필요. 새로운 아이디어를 심고, 기존 글을 다듬고, 연결을 강화.

Cultivation Rhythm - 각 방문마다 무언가를 개선. 작은 변화도 시간이 지나면 정원 전체를 변화시킨다.

Knowledge Harvesting - 완성된 작업물들을 수확하고, 새로운 씨앗을 심는 순환 과정.


CategoryWorkspace

AiGarden (last edited 2025-07-24 15:54:18 by 정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