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동석 소장님의 APM(성취예측모형) 강의

어떨지는 비판적으로 볼 필요가 있어보임. 사람은 성향을 가지고 태어나고, 잘 바뀌지 않는다. 그리고 직무에 어울리는 역량이 있다. 그러므로 역량을 잘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는건데, 미리 고정되어 있다는 관점은 좀 불편하게 느껴진다.

일단은 알아보자.

---

성취예측모형의 세 가지 전제

  1. 열 길 물 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 속은 모른다: 말과 행동이 다를 수 있다. 과거 정보를 봐라. 과거에 어떤 정보를 가지고 어떤 판단을 했는지를 봐라. 과거 정보가 굉장히 중요하다.
  2. 인간의 타고난 성향은 잘 바뀌지 않는다: 타고난 특질, 기질이 있다. 그것은 잘 바뀌지 않는다. (Big5와 맥락이 닿는 것 같기도?) 그래서, 세상을 보는 관점도, 바뀔 수도 있을 수는 있으나, 대개는 잘 바뀌지 않는다. 그래서 과거의 것을 미래에도 똑같이 반복한다.
  3. 과거를 알면 미래를 예측할 수 있다

역량(competency)이란 뭔가?

"준거에 따라 우수한 성과창출의 원인이 되는 개인의 내적 속성"

역량이란 '개인의 (타고난) 내적 성향'이므로, 역량에 적합한 인재를 선발하고 배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ability, capability라고 쓰지 않고 competency라는 표현을 하는 이유는? ability나 capability는 환경 등의 변화를 주면 향상이 가능하다. 연습을 통해 숙달도 가능하고.

성취예측모형

어떤 사람이 어떤 직무를 맡아서 어떤 성과를 낼 것인지에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역량 요소에 9개가 있다.

3가지 역량군과 9가지 역량 요소

도구적 역량군은, 목수가, 어떤 집을 지어야 한다. 좋은 연장을 가지고 있어야 좋은 집을 지을 수 있다. 좋은 도구를 가지고 태어났느냐.

그러면, 도구만 좋다고 해서 멋진 집을 지을 수 있느냐. 그렇지 않다. 각 도구를 어디에 써야 하는지 잘 알아야 한다. 이것이 추상화 역량군. 추상화 역량군을 잘 보유하고 있다면, 자기가 보유한 도구적 역량을, 적합한 장소에 쓸 수 있다.

그러면 그것만 있으면 또 되느냐. 그렇지 않다. 목적지향적 역량이 필요. 좋은 도구를 가지고 태어나서 적당한 장소에 집을 짓기만 하면 되는게 아니라, 계속 망치질을 해야 하고, 끈기있게 노력하고.

이렇게 세 가지 역량군이 있고, 이 세 가지가 서로 조화롭게 어우러져야 역량을 잘 발휘하게 된다.

도구적 역량군의 역량 요소

추상화 역량군의 역량 요소

목적지향적 역량군의 역량 요소

분석적 사고 (AT)

어떤 상황이나 사건 또는 문제 등을 세분하여 이해하거나, 상황, 사건, 문제 등이 함축하고 있는 의미를 단계적, 인과론적으로 이해하고, 더 나아가 대안을 제시하려는 성향.

  1. 사물이나 현상 또는 정보를 세부 단위로 나누어 단순하게 나열한다.
  2. 문제의 구성요소를 단순한 인과관계로 파악한다.
  3. 상황을 분석하여 원인을 파악하고 장애요인을 예측하는 등 문제의 구성요소간 다각적인 인과관계를 파악한다.
  4. 문제나 상황의 이면에 있는 근본원인을 파악한다.
  5. 문제나 상황의 이면에 있는 복수의 해결책을 마련하고, 각각의 유용성을 검토하여 제시한다.

개념적 사고 (CT)

분석적 사고의 반대.

여러가지 정보를 종합하여 전체 상황을 이해한 후, 일정한 패턴이나 핵심적인 문제를 찾아내는 성향

  1. 현재 발생한 문제에 대해 상식이나 경험 등의 기본적 규칙을 적용한다.
  2. 자신이 배운 복잡한 개념들을 직무수행에 적용하여 활용한다.
  3. 문제해결에 필요한 정보들을 비교하여 일정한 패턴을 파악한다.
  4. 복잡한 상황을 쉽고 명확하게 정리하여 문제의 핵심을 파악한다.
  5. (복잡한 상황을 정리하여) 과거의 교육이나 경험으로는 생각할 수 없는 새로운 개념을 창조하여 적용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