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동석 소장님의 APM(성취예측모형) 강의

어떨지는 비판적으로 볼 필요가 있어보임. 사람은 성향을 가지고 태어나고, 잘 바뀌지 않는다. 그리고 직무에 어울리는 역량이 있다. 그러므로 역량을 잘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는건데, 미리 고정되어 있다는 관점은 좀 불편하게 느껴진다.

일단은 알아보자.

---

성취예측모형의 세 가지 전제

  1. 열 길 물 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 속은 모른다: 말과 행동이 다를 수 있다. 과거 정보를 봐라. 과거에 어떤 정보를 가지고 어떤 판단을 했는지를 봐라. 과거 정보가 굉장히 중요하다.
  2. 인간의 타고난 성향은 잘 바뀌지 않는다: 타고난 특질, 기질이 있다. 그것은 잘 바뀌지 않는다. (Big5와 맥락이 닿는 것 같기도?) 그래서, 세상을 보는 관점도, 바뀔 수도 있을 수는 있으나, 대개는 잘 바뀌지 않는다. 그래서 과거의 것을 미래에도 똑같이 반복한다.
  3. 과거를 알면 미래를 예측할 수 있다

역량(competency)이란 뭔가?

"준거에 따라 우수한 성과창출의 원인이 되는 개인의 내적 속성"

역량이란 '개인의 (타고난) 내적 성향'이므로, 역량에 적합한 인재를 선발하고 배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ability, capability라고 쓰지 않고 competency라는 표현을 하는 이유는? ability나 capability는 환경 등의 변화를 주면 향상이 가능하다. 연습을 통해 숙달도 가능하고.

성취예측모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