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ze: 1928
Comment:
|
Size: 3245
Comment:
|
Deletions are marked like this. | Additions are marked like this. |
Line 13: | Line 13: |
《나는 진보인데 왜 보수의 말에 끌리는가?》는 인지의미론의 주요 논제인 개념적 은유와 의미 틀에 대한 개론부터 시작하여, 이러한 인지 기제를 바탕으로 하는 개념화 과정이 경제와 철학, 신학, 정치에 얼마나 중대한 영향력을 끼치고 있고, 또 끼쳐왔는지를 부담 없이 이야기한다. 은유적 사고가 문학 비평에서 말하는 은유와 어떻게 다른지의 논제에서 시작하여, 정치와 국가에 대한 다른 견해, 진보와 보수를 개념화하는 데 필수적인 우리의 경험은 무엇인지, 애덤 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이라는 용어 기저에 어떠한 개념화 과정이 숨어 있는지, 이러한 개념화 과정이 우리의 뇌 구조와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중도파라고 불리는 정치적 중도 세력은 어떠한 범주화가 필요한 것인지, 사실은 프레임 구성과 별개로 진술할 수 있는지, 신은 존재하는지, 같은 현상을 두고도 다르게 해석하는 문제적 개념은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깨어 있는 저널리즘이란 무엇인지의 논제에 이르기까지 어쩌면 이후에 나온 책들보다 훨씬 더 편하게 그 메시지를 우리에게 전달하고, 마음의 울림을 준다. |
GeorgeLakoff, ElisabethWehling, 《나는 진보인데 왜 보수의 말에 끌리는가?: 인지과학이 밝힌 진보–보수 프레임의 실체》(Your Brain’s Politics: How The Science of Mind Explains The Political Divide)
추천사 - 정치적 가치와 사고의 개념적 본질을 향한 레이코프와 웨흘링의 또 다른 발자취
이 책은 저자들이 정치적 삶을 개념화하는 은유와 의미 틀, 프레임 구성에 대한 심리적 실재를 일관성 있게 증명하고 주장하며, 변화무쌍한 정치 현실에 내재하는 본질은 변함없이 그러한 인지 기제에 근거하고 있다는 것을 방증하는 여정의 초입에 해당한다.
《나는 진보인데 왜 보수의 말에 끌리는가?》는 인지의미론의 주요 논제인 개념적 은유와 의미 틀에 대한 개론부터 시작하여, 이러한 인지 기제를 바탕으로 하는 개념화 과정이 경제와 철학, 신학, 정치에 얼마나 중대한 영향력을 끼치고 있고, 또 끼쳐왔는지를 부담 없이 이야기한다. 은유적 사고가 문학 비평에서 말하는 은유와 어떻게 다른지의 논제에서 시작하여, 정치와 국가에 대한 다른 견해, 진보와 보수를 개념화하는 데 필수적인 우리의 경험은 무엇인지, 애덤 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이라는 용어 기저에 어떠한 개념화 과정이 숨어 있는지, 이러한 개념화 과정이 우리의 뇌 구조와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중도파라고 불리는 정치적 중도 세력은 어떠한 범주화가 필요한 것인지, 사실은 프레임 구성과 별개로 진술할 수 있는지, 신은 존재하는지, 같은 현상을 두고도 다르게 해석하는 문제적 개념은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깨어 있는 저널리즘이란 무엇인지의 논제에 이르기까지 어쩌면 이후에 나온 책들보다 훨씬 더 편하게 그 메시지를 우리에게 전달하고, 마음의 울림을 준다.
1부. 나의 정치적 성향은 어디에서 왔을까?
1장. 나는 자신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을까? - 은유를 통해서 만들어지는 뇌
2장. 자라면서 나의 정치적 성향이 결정된다고? - 성장 과정에서의 경험과 정치의 상관관계
3장. 우리 집의 중심은 과연 누구였을까? - 아버지만 존재하는 세계와 부모가 함께하는 세계
4장. 왜 나는 보수와 진보 사이에서 갈등할까? - 가정에서는 자애롭고 직장에서는 엄격한 사람들
2부. 현실에서 정치적 가치들은 어떻게 드러날까?
5장. 보수의 이야기가 더 끌리는 이유는? - 정치적 선택을 활성화하는 말들
6장. 보수의 말 vs. 진보의 말 - 정치적 프레임을 만드는 전략
7장. 보수적인 신 vs. 진보적인 신 - 종교 안에도 보수와 진보는 존재한다
8장. 정치는 아직 누구의 것도 아니다 - 원하는 가치를 전달하기 위해 필요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