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ze: 50
Comment:
|
Size: 1582
Comment:
|
Deletions are marked like this. | Additions are marked like this. |
Line 3: | Line 3: |
GeorgeLakoff, ElisabethWehling | GeorgeLakoff, ElisabethWehling, 《나는 진보인데 왜 보수의 말에 끌리는가?: 인지과학이 밝힌 진보–보수 프레임의 실체》(Your Brain’s Politics: How The Science of Mind Explains The Political Divide) <<TableOfContents(2)>> == 추천사 - 정치적 가치와 사고의 개념적 본질을 향한 레이코프와 웨흘링의 또 다른 발자취 == = 1부. 나의 정치적 성향은 어디에서 왔을까? = == 1장. 나는 자신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을까? - 은유를 통해서 만들어지는 뇌 == == 2장. 자라면서 나의 정치적 성향이 결정된다고? - 성장 과정에서의 경험과 정치의 상관관계 == == 3장. 우리 집의 중심은 과연 누구였을까? - 아버지만 존재하는 세계와 부모가 함께하는 세계 == == 4장. 왜 나는 보수와 진보 사이에서 갈등할까? - 가정에서는 자애롭고 직장에서는 엄격한 사람들 == = 2부. 현실에서 정치적 가치들은 어떻게 드러날까? = == 5장. 보수의 이야기가 더 끌리는 이유는? - 정치적 선택을 활성화하는 말들 == == 6장. 보수의 말 vs. 진보의 말 - 정치적 프레임을 만드는 전략 == == 7장. 보수적인 신 vs. 진보적인 신 - 종교 안에도 보수와 진보는 존재한다 == == 8장. 정치는 아직 누구의 것도 아니다 - 원하는 가치를 전달하기 위해 필요한 것 == == 9장. 프레임 만들기 - '객관적인' 저널리즘에서 '깨어있는' 저널리즘으로 == |
GeorgeLakoff, ElisabethWehling, 《나는 진보인데 왜 보수의 말에 끌리는가?: 인지과학이 밝힌 진보–보수 프레임의 실체》(Your Brain’s Politics: How The Science of Mind Explains The Political Divide)
추천사 - 정치적 가치와 사고의 개념적 본질을 향한 레이코프와 웨흘링의 또 다른 발자취
1부. 나의 정치적 성향은 어디에서 왔을까?
1장. 나는 자신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을까? - 은유를 통해서 만들어지는 뇌
2장. 자라면서 나의 정치적 성향이 결정된다고? - 성장 과정에서의 경험과 정치의 상관관계
3장. 우리 집의 중심은 과연 누구였을까? - 아버지만 존재하는 세계와 부모가 함께하는 세계
4장. 왜 나는 보수와 진보 사이에서 갈등할까? - 가정에서는 자애롭고 직장에서는 엄격한 사람들
2부. 현실에서 정치적 가치들은 어떻게 드러날까?
5장. 보수의 이야기가 더 끌리는 이유는? - 정치적 선택을 활성화하는 말들
6장. 보수의 말 vs. 진보의 말 - 정치적 프레임을 만드는 전략
7장. 보수적인 신 vs. 진보적인 신 - 종교 안에도 보수와 진보는 존재한다
8장. 정치는 아직 누구의 것도 아니다 - 원하는 가치를 전달하기 위해 필요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