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구글처럼 사업 성공과 구성원의 행복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으려면 기업들은 어떻게 해야 할까?

우리 연구 결과에 그 해답이 있다. 무료 식사와 최신식 체육관 시설이 구글의 성공 비결은 아니다. 비결은 구성원들이 긍정적인 감정을 갖고 업무 추진을 위한 강력한 동기를 가지며 동료를 우호적으로 인식하는 환경, 즉 직장생활의 내면상태inner work life를 만족스럽게 유지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었기 때문이다. 직장생활의 내면상태는 말로만 중요하다고 언급되는 공허한 개념이 아니라 실제 일을 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개념이다.

바람직한 직장생활의 내면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이 책은 HarvardBusinessReview에 기고했던 논문들의 내용을 한층 확장시킨 것이다.

연구를 진행한지는 30년쯤 됐지만 이 책은 최근에 7개 회사의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직장생활의 내면상태에 영향을 준 일상에서 일어난 사건을 추적한 연구 결과를 다루고 있다.

회사가 망하는 이유는 관리자가 사악하거나 무능력해서가 아니다. 차라리 경영이라는 것 자체가 엄청나게 힘든 일이며 치명적일만큼 중요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훌륭한 관리자가 수행하는 일에 가치를 부여하기 때문에 표면에 드러나 있지 않은 숨겨진 문제들을 밝혀 관리자들이 자신의 역할을 더 잘 수행할 수 있게 도우려 한다. 경영이 잘 되면 구성원들의 삶이 나아지고 조직을 성공으로 이끌 수 있다. 이 두 가지 목표를 모두 달성하면 그들 자신의 직장생활의 내면상태도 향상될 것이다.

구성원 심리에 대한 일반적인 경영 지식은 크게 왜곡되어 있다. 우리는 CEO에서 프로젝트 리더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 관리자 수백명에게 구성원을 동기부여시키는 요소가 무엇인지를 묻는 조사를 수행했는데 결과는 충격적이었다. 우리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일상에서 구성원에게 동기를 부여시키는 가장 좋은 방법은 작은 성공small win을 통해서 전진progress을 도모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 조사에서 '전진을 지원한다'는 항목은 최하위를 기록했다.


Category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