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ze: 4821
Comment:
|
Size: 4872
Comment:
|
Deletions are marked like this. | Additions are marked like this. |
Line 39: | Line 39: |
== 직장생활의 내면상태 발견하기 == |
서문
구글처럼 사업 성공과 구성원의 행복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으려면 기업들은 어떻게 해야 할까?
우리 연구 결과에 그 해답이 있다. 무료 식사와 최신식 체육관 시설이 구글의 성공 비결은 아니다. 비결은 구성원들이 긍정적인 감정을 갖고 업무 추진을 위한 강력한 동기를 가지며 동료를 우호적으로 인식하는 환경, 즉 직장생활의 내면상태inner work life를 만족스럽게 유지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었기 때문이다. 직장생활의 내면상태는 말로만 중요하다고 언급되는 공허한 개념이 아니라 실제 일을 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개념이다.
바람직한 직장생활의 내면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 우선 구글의 사명인 "전 세계의 정보를 조직화시켜 누구나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자"처럼 의미 있는 목적이 있어야만 한다.
- 구성원이 일상적인 업무 추진 과정에서 실질적으로 진척을 보일 수 있도록 분명한 목표를 제시하고
- 자율성을 보장하며
- 필요한 자원을 제공해야 한다.
- 구성원이 경험하는 직장생활의 내면상태는 각자가 낸 아이디어가 존중받느지 여부에 따라서 달라진다.
이 책은 HarvardBusinessReview에 기고했던 논문들의 내용을 한층 확장시킨 것이다.
- Creativity Under the Gun
- Inner Work Life
- Breakthrough Ideas for 2010: What Really Motivates Workers
연구를 진행한지는 30년쯤 됐지만 이 책은 최근에 7개 회사의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직장생활의 내면상태에 영향을 준 일상에서 일어난 사건을 추적한 연구 결과를 다루고 있다.
회사가 망하는 이유는 관리자가 사악하거나 무능력해서가 아니다. 차라리 경영이라는 것 자체가 엄청나게 힘든 일이며 치명적일만큼 중요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훌륭한 관리자가 수행하는 일에 가치를 부여하기 때문에 표면에 드러나 있지 않은 숨겨진 문제들을 밝혀 관리자들이 자신의 역할을 더 잘 수행할 수 있게 도우려 한다. 경영이 잘 되면 구성원들의 삶이 나아지고 조직을 성공으로 이끌 수 있다. 이 두 가지 목표를 모두 달성하면 그들 자신의 직장생활의 내면상태도 향상될 것이다.
구성원 심리에 대한 일반적인 경영 지식은 크게 왜곡되어 있다. 우리는 CEO에서 프로젝트 리더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 관리자 수백명에게 구성원을 동기부여시키는 요소가 무엇인지를 묻는 조사를 수행했는데 결과는 충격적이었다. 우리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일상에서 구성원에게 동기를 부여시키는 가장 좋은 방법은 작은 성공small win을 통해서 전진progress을 도모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 조사에서 '전진을 지원한다'는 항목은 최하위를 기록했다.
직장생활의 내면상태 드러내기: 1만 2천일의 사건
테레사는 스탠퍼드와 브랜다이스, 하버드 대학교에서 업무 환경을 포함한 사회적 환경이 창의성 발휘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지난 35년 동안 창의성을 연구해왔다. 하버드 경영대학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그녀의 관심사는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업무 환경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구성원의 창의적인 문제 해결 능력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로 확대되었다.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회사에서 발생한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겪는 인식과 감정, 동기부여의 변화 등과 같은 구성원들이 경험하는 직장생활의 내면상태에 숨겨져 있는 진짜 이야기를 이해함으로써 직장에서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실질적인 요인이 무엇인지를 알아낼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이 책은 심리학적 탐구의 결과물이다. 우리는 함께 탐구할 동반자로 3개 산업의 7개 회사에서 26개 프로젝트 팀의 구성원 238명을 모집했다. ... 참석팀 대부분은 프로젝트 기간 내내(평균 약 4개월) 우리 연구에 참여했다. 매 근무일마다 우리는 여러 질문이 포함된 일기 형식의 설문지를 대상자 모두에게 이메일로 보냈다. ...
그리고 가장 중요한 질문은 "오늘 있었던 일들 중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사건을 간단하게 설명하라"는 서술형 문항이었다.
놀랍게도 응답자의 75%가 24시간 내에 설문지를 제출해주었으며, 그래서 1만 2천여 건에 가까운 일기를 확보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