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s between revisions 8 and 9
Revision 8 as of 2021-03-14 14:02:53
Size: 7964
Editor: 정수
Comment:
Revision 9 as of 2021-03-14 14:02:58
Size: 7957
Editor: 정수
Comment:
Deletions are marked like this. Additions are marked like this.
Line 27: Line 27:
 * 우선 ‘경쟁적으로competitively’라는 말은 남들과 겨루어 이기는 것으로 목표를 달성하는 것이고,  * ‘경쟁적으로competitively’라는 말은 남들과 겨루어 이기는 것으로 목표를 달성하는 것이고,

1장. '1등'에 대한 강박

그 속에 너무나 깊이 빠져 있기 때문에, 우리는 경쟁에 별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 말하자면 물고기가 물의 본성에 대해 깊이 생각하지 않는 것과 같다. 워커 퍼시Walker Percy는 이렇게 말했다. “물고기는 물이 없다는 것을 상상할 수도 없으므로 물의 존재에 대해 생각할 줄 모른다."

이 책에서는 다른 사람들을 이기려고 애쓰는 것이 진정 무엇을 의미하는지 살펴보면서, 누군가 성공하려면 누군가는 실패해야만 하는 사회적 장치에 대해 신중하게 검토할 것이다.

사회마다 경제체계나 학교교육 또는 오락 등을 구성할 때 경쟁에 의존하는 정도가 모두 다르다. 그 스펙트럼의 맨 끝에는 경쟁 요소가 전혀 없어도 작동하는 사회가 있고, 그 반대편 맨 끝에는 미국 사회가 있다.

경쟁은 우리 생활에 매우 깊이 뿌리를 내리며 삶의 일부가 되었으므로, 이제 그것이 우리를 어떻게 생각하고 행동하게 만드는지 보다 면밀히 살펴보아야 한다.

우선 경쟁이라는 말의 의미를 좀 더 정확히 하는 것에서 시작해보자. 먼저 구조적 경쟁structural competition과 의도적 경쟁intentional competition으로 개념을 나누어 살펴보는 것이 유용할 듯하다. 구조적 경쟁이란 어떤 상황에 의한 것이고, 의도적 경쟁은 태도에 관한 것이다. 즉 구조적 경쟁이 승리와 패배라는 구조와 관련된 외부적인 것이라면, 의도적 경쟁은 1등이 되고 싶다는 개인의 욕망과 관련된 내부적인 것이다.

어떤 활동이 ‘경쟁적 구조를 띠고 있다’는 말은 ‘상호 배타적인 목표를 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는 뜻이다. 이는 간단히 말해서 당신이 실패해야만 내가 성공할 수 있다는 뜻이다. 우리는 서로에게 해를 끼치는 운명으로 묶여 있다. 소위 제로섬 게임zero-sum game이라 부르는 포커에서처럼, 한 명이 이기기 위해서는 우리 중 누군가는 정확히 그만큼 잃어야 한다. 상호 배타적인 목표 달성이라는 장치 아래에서는 두 명이나 그 이상의 개인들이 결코 모두는 달성할 수 없는 하나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경합한다. 몇몇 사회과학자들이 말했듯이 이것이 바로 경쟁의 본질이다.

내가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서는 당신이 져야만 한다. 그럴 때 내가 원하는 그것이 바로 ‘부족한 무엇’이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부족함과 뭔가가 객관적으로 모자라는 것을 혼동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배고픈 두 사람이 한 그릇의 음식을 놓고 다툴 수는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쟁이 목표로 하는 것은 간단히 말해 ‘높은 지위’이다. 구조적 경쟁이란 대개 몇몇 개인들을 서로 비교하여 그 중 최고인 단 한 사람만을 결정하는 방식이다. 경쟁 그 자체에 승리라는 목표가 설정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 부족함이란 것은 원래 부족함이 없던 곳에서 만들어진 것이다.

구조적 경쟁은 몇 개의 기준으로 구별할 수 있다. 예컨대 경쟁은 얼마나 많은 승리자가 나올 수 있는가에 따라서 달라진다. 대학에 지원한 모든 수험생들이 합격할 수는 없지만, 자신의 합격을 위해서 꼭 다른 사람이 불합격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다른 이의 합격 가능성이 조금 줄기는 하겠지만). 반면 매년 열리는 미스 아메리카 대회는 단 한 명의 여성에게만 왕관을 주는데, 미스 몬타나가 뽑혔다면 미스 뉴저지는 절대 뽑힐 수 없다.

미인 대회나 대학 입시에는 또 하나의 공통점이 있다. 경쟁자들 사이에 어떤 직접적인 상호작용도 필요하지 않다는 것이다. 단지 한 명의 성공이 다른 경쟁자의 기회를 박탈하거나 줄일 뿐이다. 반면 자신의 성공을 위해서는 반드시 상대방을 실패하도록 해야 하는 보다 강력한 구조적 경쟁도 있다. 전쟁이 하나의 예이다. 테니스 역시 그렇다. 테니스 선수들은 서로를 패배시키기 위해 더욱 적극적이다. 반면 번갈아 가면서 게임을 하는 두 명의 볼링 선수는 우승을 위해 상대방을 방해할 필요가 없다. 어떤 태도를 취할 것인지는 그 게임의 규칙, 그리고 그와 관련된 구조적 경쟁의 유형에 따라 달라진다.

이에 반해 이제 살펴볼 의도적 경쟁은, 실제로는 꽤 복잡하고 미묘한 차이가 있긴 하지만, 훨씬 더 정의하기 쉽다. 쉽게 말해 이것은 개인의 경쟁심, 즉 다른 이들과 비교하여 최고가 되고자 하는 우리의 성향에 관한 것이다. 이는 앞서 살펴본 구조적 경쟁이 없는 곳에서 벌어질 수 있다. 파티에 가서도 그곳의 누구보다 더 지적이고 매력적으로 보이는 것에만 온통 정신을 쏟는 사람이 있을 수 있다. 그 누구도 그런 것에 신경 쓰지 않고, 무슨 상을 주는 것도 아닌데 말이다. 정신분석학자인 카렌 호나이Karen Horney는 신경증(neurotic, 노이로제) 환자를 이렇게 묘사했다. “전혀 그럴 필요가 없는 상황에서도 끊임없이 스스로를 다른 사람과 비교한다.”

이와 반대되는 상황, 즉 의도적 경쟁이 없는 곳에서 구조적 경쟁이 벌어지는 경우도 있다. 다른 사람보다 더 잘하는 데는 전혀 신경 쓰지 않고 단지 스스로 최선을 다하는 데만 집중할 수도 있지만, 그런 것이 필연적으로 경쟁 상황을 초래하기도 한다. 이렇게 성공을 곧 승리로 규정하는 상황은 사람들이 의도하기 때문이 아니라 그러한 구조 때문에 발생한다. 이러한 구조 아래서는 경쟁에 반대하는 사람조차 스스로의 의지대로 경쟁을 피하는 일이 불가능하다. 이는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듯 불쾌한 스트레스를 낳는다. 의도하지 않은 구조적 경쟁의 가장 극단적인 예는 자신은 의식조차 하고 있지 않은데 누군가 개인의 등수를 매기고 상을 주는 경우이다. 동료를 이기는 데 별 관심이 없는 학생일지라도 타의에 의해 등급이 매겨지고, 일정한 기준에 따라 분류된다(경쟁을 두 가지로 구별하는 것은 이러한 시나리오를 이해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

경쟁이 학교나 직장을 조직하는 유일한 방법은 아니다. 이는 논쟁거리가 없는 말이지만, 우리는 경쟁을 너무나 당연하게 받아들이므로 대안을 생각하지도 않는다. 대부분의 사회심리학자들이 그러는 것처럼, 나는 여기서 자신의 목표를 달성하는 방법을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려 한다.

  • ‘경쟁적으로competitively’라는 말은 남들과 겨루어 이기는 것으로 목표를 달성하는 것이고,
  • ‘협력적으로cooperatively’라는 말은 다른 사람들과 더불어 하는 것이며, 마지막으로
  • ‘독자적으로independently’라는 말은 다른 이들과 관계 맺지 않고 혼자서 뭔가를 이루는 것이다.

2장. 경쟁은 필연적인가: 경쟁이 '인간 본성'이라는 신화

3장. 경쟁은 더 생산적인가: 협력과의 비교

4장. 경쟁은 더 재미있는가: 스포츠와 놀이

5장. 경쟁은 인격을 키우는가: 심리적 고찰

6장. 서로에게 맞서는 사람들: 경쟁 속의 인간관계

7장. 반칙을 저지르는 심리: 승리를 위하여

8장. 여성과 경쟁

9장. 경쟁을 넘어서

10장. 함께 배운다: 협력학습이란 무엇인가?


CategoryBook

책/NoContest (last edited 2023-06-30 12:35:07 by 정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