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s between revisions 3 and 4
Revision 3 as of 2021-03-14 13:59:07
Size: 2272
Editor: 정수
Comment:
Revision 4 as of 2021-03-14 13:59:22
Size: 3046
Editor: 정수
Comment:
Deletions are marked like this. Additions are marked like this.
Line 12: Line 12:

어떤 활동이 ‘경쟁적 구조를 띠고 있다’는 말은 ‘상호 배타적인 목표를 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는 뜻이다. 이는 간단히 말해서 당신이 실패해야만 내가 성공할 수 있다는 뜻이다. 우리는 서로에게 해를 끼치는 운명으로 묶여 있다. 소위 제로섬 게임zero-sum game이라 부르는 포커에서처럼, 한 명이 이기기 위해서는 우리 중 누군가는 정확히 그만큼 잃어야 한다. 상호 배타적인 목표 달성이라는 장치 아래에서는 두 명이나 그 이상의 개인들이 결코 모두는 달성할 수 없는 하나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경합한다. 몇몇 사회과학자들이 말했듯이 이것이 바로 경쟁의 본질이다.

1장. '1등'에 대한 강박

그 속에 너무나 깊이 빠져 있기 때문에, 우리는 경쟁에 별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 말하자면 물고기가 물의 본성에 대해 깊이 생각하지 않는 것과 같다. 워커 퍼시Walker Percy는 이렇게 말했다. “물고기는 물이 없다는 것을 상상할 수도 없으므로 물의 존재에 대해 생각할 줄 모른다."

이 책에서는 다른 사람들을 이기려고 애쓰는 것이 진정 무엇을 의미하는지 살펴보면서, 누군가 성공하려면 누군가는 실패해야만 하는 사회적 장치에 대해 신중하게 검토할 것이다.

사회마다 경제체계나 학교교육 또는 오락 등을 구성할 때 경쟁에 의존하는 정도가 모두 다르다. 그 스펙트럼의 맨 끝에는 경쟁 요소가 전혀 없어도 작동하는 사회가 있고, 그 반대편 맨 끝에는 미국 사회가 있다.

경쟁은 우리 생활에 매우 깊이 뿌리를 내리며 삶의 일부가 되었으므로, 이제 그것이 우리를 어떻게 생각하고 행동하게 만드는지 보다 면밀히 살펴보아야 한다.

우선 경쟁이라는 말의 의미를 좀 더 정확히 하는 것에서 시작해보자. 먼저 구조적 경쟁structural competition과 의도적 경쟁intentional competition으로 개념을 나누어 살펴보는 것이 유용할 듯하다. 구조적 경쟁이란 어떤 상황에 의한 것이고, 의도적 경쟁은 태도에 관한 것이다. 즉 구조적 경쟁이 승리와 패배라는 구조와 관련된 외부적인 것이라면, 의도적 경쟁은 1등이 되고 싶다는 개인의 욕망과 관련된 내부적인 것이다.

어떤 활동이 ‘경쟁적 구조를 띠고 있다’는 말은 ‘상호 배타적인 목표를 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는 뜻이다. 이는 간단히 말해서 당신이 실패해야만 내가 성공할 수 있다는 뜻이다. 우리는 서로에게 해를 끼치는 운명으로 묶여 있다. 소위 제로섬 게임zero-sum game이라 부르는 포커에서처럼, 한 명이 이기기 위해서는 우리 중 누군가는 정확히 그만큼 잃어야 한다. 상호 배타적인 목표 달성이라는 장치 아래에서는 두 명이나 그 이상의 개인들이 결코 모두는 달성할 수 없는 하나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경합한다. 몇몇 사회과학자들이 말했듯이 이것이 바로 경쟁의 본질이다.

2장. 경쟁은 필연적인가: 경쟁이 '인간 본성'이라는 신화

3장. 경쟁은 더 생산적인가: 협력과의 비교

4장. 경쟁은 더 재미있는가: 스포츠와 놀이

5장. 경쟁은 인격을 키우는가: 심리적 고찰

6장. 서로에게 맞서는 사람들: 경쟁 속의 인간관계

7장. 반칙을 저지르는 심리: 승리를 위하여

8장. 여성과 경쟁

9장. 경쟁을 넘어서

10장. 함께 배운다: 협력학습이란 무엇인가?


CategoryBook

책/NoContest (last edited 2023-06-30 12:35:07 by 정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