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ze: 359
Comment:
|
Size: 3208
Comment:
|
Deletions are marked like this. | Additions are marked like this. |
Line 1: | Line 1: |
#acl +All:read |
|
Line 6: | Line 8: |
나는 이 책에서 현대 심리학이 알아낸 성과와 내가 연구한 내용에 바탕을 두면서도, 선인들이 후세에 남긴 뜻 깊은 지혜를 고루 동원하여 바람직한 삶의 길을 찾아나설 작정이다. "바람직한 삶은 어떤 것인가?" 나는 다시 한번 겸허하게 묻고 싶다. 그러나 예언자나 신비주의자처럼 말할 생각은 없다. 하루 하루 살아가면서 우리가 맞닥뜨리는 평범한 사건들, 즉 일상 생활에 초점을 맞추면서 구체적으로 피부에 와닿는 예를 들기 위해 애쓰고 싶다. 여러 해 전에 견학하던 기관차 공장에서 대부분의 용접공들은 자기가 하는 일에 애정이 없었고, 시계만 보면서 빨리 퇴근 시간이 오기를 기다렸다. 그런데 조는 그렇지 않았다. 그는 그 공장 안에 있는 기계 설비의 구조를 모두 독학을 꿰뚫어, 못고치는 기계가 없었다. 집에서도 가만히 있는 법이 없었다. 집 부근에도 멋진 분수를 만들었다. 무엇이 평범한 한 사람의 인생을 이토록 값지게 만드는 것일까? 나는 그 답을 알아내고 싶었다. 이 책에는 중요한 전제가 세 가지 깔려 있다. 1. 중요한 진리는 이미 오래 전에 뛰어난 예언자, 시인, 철학자가 말했고 그것은 지금도 우리네 인생의 지침으로서 요긴하다는 사실이다. 그러나 선각자들이 깨달은 진리는 옛날 식으로 표현되었으므로 후대의 시각으로 그 안에 깃든 의미를 늘 재음미하고 재해석해야 생명력이 사라지지 않는다.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불교, 힌두교의 성전에는 선인들이 중요하게 여겼던 사유의 결실이 풍부하게 담겨 있으므로, 이를 무시하는 것은 어리석기 그지없는 일이다. 그러나 과거의 글은 절대 불변의 영원한 진리를 담고 있다고 맹신하는 자세에도 문제는 있다. 2. 지금 인류에게 가장 중요한 정보가 주로 과학에서 나오고 있다는 것이다. 좋든 싫든 간에 현재로서는 과학이 현실을 담아내는 가장 신뢰할만한 거울이다. 과학을 무시하려는 발상은 위험천만하다. 3. '삶'의 뜻을 진정으로 이해하려면 선인들의 지혜에 귀기울이는 한편 그 지혜를 과학이 꾸준히 축적해 온 앎과 접맥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희망은 과거에서 오지 않는다. 그렇다고 현재에서 솟아오르는 것도 아니다. 또 가상의 미래로 뛰어본들 우리의 처지는 달라지지 않는다. 과거의 사실과 미래의 가능성을 현재의 시점에서 이해하려고 꾸준히 노력할 때 비로소 우리는 삶의 길을 깨달을 수 있다. |
|
Line 24: | Line 42: |
---- CategoryBook CategoryPsychology |
'몰입의 즐거움'
Finding Flow by MihalyCsikszentmihalyi
1. 일상의 구조
나는 이 책에서 현대 심리학이 알아낸 성과와 내가 연구한 내용에 바탕을 두면서도, 선인들이 후세에 남긴 뜻 깊은 지혜를 고루 동원하여 바람직한 삶의 길을 찾아나설 작정이다.
"바람직한 삶은 어떤 것인가?" 나는 다시 한번 겸허하게 묻고 싶다. 그러나 예언자나 신비주의자처럼 말할 생각은 없다. 하루 하루 살아가면서 우리가 맞닥뜨리는 평범한 사건들, 즉 일상 생활에 초점을 맞추면서 구체적으로 피부에 와닿는 예를 들기 위해 애쓰고 싶다.
여러 해 전에 견학하던 기관차 공장에서 대부분의 용접공들은 자기가 하는 일에 애정이 없었고, 시계만 보면서 빨리 퇴근 시간이 오기를 기다렸다.
그런데 조는 그렇지 않았다. 그는 그 공장 안에 있는 기계 설비의 구조를 모두 독학을 꿰뚫어, 못고치는 기계가 없었다. 집에서도 가만히 있는 법이 없었다. 집 부근에도 멋진 분수를 만들었다.
무엇이 평범한 한 사람의 인생을 이토록 값지게 만드는 것일까? 나는 그 답을 알아내고 싶었다.
이 책에는 중요한 전제가 세 가지 깔려 있다.
- 중요한 진리는 이미 오래 전에 뛰어난 예언자, 시인, 철학자가 말했고 그것은 지금도 우리네 인생의 지침으로서 요긴하다는 사실이다. 그러나 선각자들이 깨달은 진리는 옛날 식으로 표현되었으므로 후대의 시각으로 그 안에 깃든 의미를 늘 재음미하고 재해석해야 생명력이 사라지지 않는다.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불교, 힌두교의 성전에는 선인들이 중요하게 여겼던 사유의 결실이 풍부하게 담겨 있으므로, 이를 무시하는 것은 어리석기 그지없는 일이다. 그러나 과거의 글은 절대 불변의 영원한 진리를 담고 있다고 맹신하는 자세에도 문제는 있다.
- 지금 인류에게 가장 중요한 정보가 주로 과학에서 나오고 있다는 것이다. 좋든 싫든 간에 현재로서는 과학이 현실을 담아내는 가장 신뢰할만한 거울이다. 과학을 무시하려는 발상은 위험천만하다.
- '삶'의 뜻을 진정으로 이해하려면 선인들의 지혜에 귀기울이는 한편 그 지혜를 과학이 꾸준히 축적해 온 앎과 접맥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희망은 과거에서 오지 않는다. 그렇다고 현재에서 솟아오르는 것도 아니다. 또 가상의 미래로 뛰어본들 우리의 처지는 달라지지 않는다. 과거의 사실과 미래의 가능성을 현재의 시점에서 이해하려고 꾸준히 노력할 때 비로소 우리는 삶의 길을 깨달을 수 있다.
2. 경험의 내용
3. 일과 감정
4. 일의 역설
5. 여가는 기회이며 동시에 함정
6. 인간 관계와 삶의 질
7. 삶의 패턴을 바꾼다
8. 자기목적성을 가진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