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mannSimon

Confessions of the Pricing Man: How price affects everything

1. 가격과의 고통스러웠던 첫 만남

2. 모든 것은 가격을 중심으로 돈다

3. 신비로운 가격결정 심리학

고전경제학에서는 합리적인 구매자와 판매자를 가정한다. 판매자는 이익을 극대화하려고 하는 한편, 구매자는 그들이 느끼는 가치, 혹은 경제학 용어로 그들의 ‘효용’을 극대화하고자 한다.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폴 새뮤얼슨(1970년 수상)과 밀턴 프리드먼(1976년 수상)은 이 이론을 옹호하는 주요 인물이다. 프리드먼은 구매자가 복잡한 수학이나 우아한 경제학 이론을 이용해서 명쾌한 결정을 내리지 않음에도 결국에는 합리적으로 행동한다고 말했다.

합리성과 정보에 대한 이 같은 가정들에 처음으로 의문을 제기한 사람은 허버트 사이먼(1978년 노벨경제학상 수상)이었다.1 그는 사람들이 정보를 받아들이고 처리하는 능력에 한계가 있다고 보았다. 그래서 사람들은 자신의 이익과 효용을 극대화하고자 노력하지 않는다. 대신 ‘만족스러운’ 결과에 행복해한다. 그는 이 행위를 ‘만족화satisficing’라는 용어로 표현했다.

가격의 품격 효과

품질 지표로서의 가격

가격의 플라시보 효과

가격이 쓸모없어진다면?

가격 앵커 효과

중간의 마법, 혹은 자물쇠 이야기

최저가도 최고가도 승리할 수 없다

누구도 사지 않는 효자상품

희소성을 창조하라

곁다리 선택지를 늘리면 판매량은 증가한다

가격문턱과 홀수가격

전망 이론

전망 이론과 가격

비즈니스석 또는 이코노미석?

공짜 혹은 유료: 커다란 차이

현금으로 내는게 좋다

신용카드의 유혹

'현금 돌려주기'와 그 밖의 이상한 형태들

달의 가격

가격의 구조

심성 회계

신경가격결정

결론: 주의하라!

4. 최적의 가격 포지셔닝

5. 이익을 내는 가격

6. 가격과 의사결정

7. 가격결정의 정수: 가격차별

8. 혁신적인 가격결정 방식들

9. 경제위기 상황에서의 가격결정과 가격전쟁

10. CEO가 해야할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