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ze: 3138
Comment:
|
Size: 3330
Comment:
|
Deletions are marked like this. | Additions are marked like this. |
Line 58: | Line 58: |
구조접속 | == 구조접속 == |
Line 60: | Line 60: |
생활주기 | == 생활주기 == |
Line 62: | Line 62: |
변모의 속도 | == 변모의 속도 == |
Line 64: | Line 64: |
메타세포체의 조직 | == 메타세포체의 조직 == |
Line 70: | Line 70: |
결정(determiniation)과 구조접속 | == 결정(determiniation)과 구조접속 == |
Line 72: | Line 72: |
개체발생과 선택 | == 개체발생과 선택 == |
Line 74: | Line 74: |
계통발생과 진화 | == 계통발생과 진화 == |
Line 76: | Line 76: |
자연표류 | == 자연표류 == |
Line 81: | Line 81: |
예측 가능성과 신경계 | == 예측 가능성과 신경계 == |
Line 83: | Line 83: |
개구리와 늑대소녀 | == 개구리와 늑대소녀 == |
Line 85: | Line 85: |
줄타기 곡예 | == 줄타기 곡예 == |
Line 87: | Line 87: |
행동과 신경계 | == 행동과 신경계 == |
Line 93: | Line 93: |
운동의 자연사 | == 운동의 자연사 == |
Line 95: | Line 95: |
단세포생물의 감각운동적 조정 | == 단세포생물의 감각운동적 조정 == |
Line 97: | Line 97: |
다세포생물의 감각운동적 상관관계 | == 다세포생물의 감각운동적 상관관계 == |
Line 99: | Line 99: |
뉴런의 구조 | == 뉴런의 구조 == |
Line 101: | Line 101: |
중간뉴런들의 그물체 | == 중간뉴런들의 그물체 == |
Line 103: | Line 103: |
신경계의 작업적 폐쇄성 | == 신경계의 작업적 폐쇄성 == |
Line 105: | Line 105: |
신축성 | == 신축성 == |
Line 107: | Line 107: |
타고난 행동과 배운 행동 | == 타고난 행동과 배운 행동 == |
Line 109: | Line 109: |
인식과 신경계 | == 인식과 신경계 == |
Line 114: | Line 114: |
3차 등급의 접속 | == 3차 등급의 접속 == |
Line 116: | Line 116: |
사회적 곤충 | == 사회적 곤충 == |
Line 118: | Line 118: |
사회적 척추동물 | == 사회적 척추동물 == |
Line 120: | Line 120: |
사회적 현상과 의사소통 | == 사회적 현상과 의사소통 == |
Line 122: | Line 122: |
문화적인 것 | == 문화적인 것 == |
Line 127: | Line 127: |
의미론적 기술 | == 의미론적 기술 == |
Line 129: | Line 129: |
인간 언어의 자연사 | == 인간 언어의 자연사 == |
Line 131: | Line 131: |
실험을 통해 들여다본 정신 | == 실험을 통해 들여다본 정신 == |
Line 133: | Line 133: |
정신과 의식 | == 정신과 의식 == |
Line 138: | Line 138: |
안다는 것과 알고 있는 사람 | == 안다는 것과 알고 있는 사람 == |
Line 140: | Line 140: |
앎을 알면 얽매인다 | == 앎을 알면 얽매인다 == |
HumbertoMaturana의 저작.
Contents
- Knowing How We Know
- The Organization of Living Things
- History: Reproduction and Heredity
- The Life of Metacellulars
- The Natural Drift of Living Beings
- Behavioral Domains
- The Nervous System and Cognition
- Social Phenomena
- Linguistic Domains and Human Consciousness
- The Tree of Knowledge
이 책은 뭐에 대한 책일까?
우리가 어떻게 아는지를 아는 것. 살아있는 것들의 기관(조직). Heredity가 뭐지? Metacellular는 뭐지? 단세포에 대비되는 다세포인가? 왜냐면, unicellular라는 표현도 나오거든. 생물의 drift? 행동적 도메인? 신경 시스템과 인지. 사회적 현상. 언어 도메인과 인간 의식. 앎의 나무.
보통 모르겠네. 책 뒤 표지를 보면 힌트가 있을까?
"Knowing How We Know"가 이 책의 주제이다. 인지(cognition)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해준다. 사회적으로, 윤리적으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인간이 가질 수 있는 유일한 세계는, 우리가 공존하는 행동을 통해 함께 창조한다는 것이다.
1. 앎을 알기(Knowing How We Know)
커다란 유혹
이 책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확실성(certainty)의 경향을 버려야 한다.
우리 눈의 놀라운 점
매우 부끄러운 일
설명
2. 생명체의 조직
지구 역사에 대한 짧은 소개
생물의 출현
자율과 자기생성
3. 역사: 생식과 유전
생식의 과정
개체가 생기는 몇 가지 방식
세포의 생식
생식과 유전
4. '메타세포체'의 삶
구조접속
생활주기
변모의 속도
메타세포체의 조직
5. 생물의 자연표류
결정(determiniation)과 구조접속
개체발생과 선택
계통발생과 진화
자연표류
6. 행동의 영역
예측 가능성과 신경계
개구리와 늑대소녀
줄타기 곡예
행동과 신경계
7. 신경계와 인식
운동의 자연사
단세포생물의 감각운동적 조정
다세포생물의 감각운동적 상관관계
뉴런의 구조
중간뉴런들의 그물체
신경계의 작업적 폐쇄성
신축성
타고난 행동과 배운 행동
인식과 신경계
8. 사회적 현상
3차 등급의 접속
사회적 곤충
사회적 척추동물
사회적 현상과 의사소통
문화적인 것
9. 언어적 영역과 인간의 의식
의미론적 기술
인간 언어의 자연사
실험을 통해 들여다본 정신
정신과 의식
10. 앎의 나무
안다는 것과 알고 있는 사람
앎을 알면 얽매인다
프란시스코 바렐라의 후기
옮긴이의 말
현대 자기조직 개념의 발전
자기생성 개념에 담긴 의미
존재와 행동과 앎은 나눠지지 않는다: 책 요약한 블로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