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자에 대한 책.

현대의 가상의 인물이 순자를 인터뷰하는 방식으로 이야기를 전개해감.

내편 1. 순자 이야기: 인간과 하늘 사이에 선을 긋다

1장. 순자를 만나다

순자를 만나다

고봉高峯 기대승奇大升과 율곡栗谷 이이李珥란 대학자의 철학과 사상이 저하고 많이 흡사하다고 들었습니다. 또 그들의 철학 사상이 계속 이어지고 발전해 조선이란 나라를 이끌었다지요?

율곡의 유학 사상은, 간단히 말하자면, ‘현실에서의 인간’에 주목합니다. 감정과 욕망을 바탕으로 움직이는 존재가 인간이라 전제하지요. 현실의 인간을 일탈하기 쉬운 존재로 상정해, 외적 규범과 기준으로 어떻게 인간을 ‘다시’ 만들것인가를 고민해요.

사실, 선생님의 사상과 비슷한 점이 많아요. 율곡의 학문은 정통 주자학朱子學이라기보다는 ‘순자적 신유학新儒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율곡의 유학이 조선을 이끌었습니다.

현실주의자 순자

하늘은 그저 하늘일 뿐입니다. 인간 세상을 주재하고 우리들의 기도를 듣고 세상을 자신의 의지대로 만들어가는 그런 하늘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러니 중요한 게 무엇이겠습니까? 인간 스스로의 노력일 뿐입니다. 열심히 배우고 실천하고 부지런히 생산하기만 하면 될 뿐이지요. 현실적으로 생각하고 합리적으로 행동하면 됩니다. 너무나 쉽고 상식적인 이야기입니다.

저무는 전국시대

영토 국가들이 등장해 자국 내 군권을 강화했고, 열강이 군웅할거하던 때가 전국시대 아니었습니까? 상호 투쟁에 의한 강대국의 약소국 합병 현상이 빈번했고, 강대국들끼리 치열하게 싸웠지요. 그런데 전국시대 말기가 되자 그러했던 상황이 서서히 끝나고, 통일 제국의 등장이 가시화하고 있었습니다. 바로 그때 제가 활동했습니다.

이런 배경이 선생님의 사상과 어떤 연관이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일단은 저부터도 여러 사상을 종합했던 사람입니다. 맹자처럼 원리주의적으로 다른 사상가를 공격하기보다는 다른 사상의 장점을 제 나름대로 흡수하려고 노력했습니다. 유가 사상을 중심으로 다른 사상을 통합하며 저만의 사상을 만들었지요. 그렇게 만든 제 학문과 사상이 철저히 통일 제국, 더 정확히 말해 통일 제국을 다스릴 군주와 관료들을 위한 통치학이 되게끔 애를 썼습니다.

군주를 위하여

단도직입적으로 말해서요, 선생님의 학문과 철학의 사상적 수요자는 통일 제국을 이끌 군주인가요?

통일 제국을 이끌 군주와 관료, 지식인입니다. 그중에서도 군주가 핵심 수요자입니다.

법으로 대변되는 공적 원리로만 나라를 끌고 가야 한다고 말했던 한비자韓非子도 그렇고, 자연의 원리로 비유되거나 설명되는 도로 나라를 끌고 가자고 한 노자老子도 그렇고, 《여씨춘추呂氏春秋》의 저작자들도 그러합니다. 적지 않은 이가 통일 제국을 염두에 두고 사상을 펼쳤습니다. 다들 저처럼 다분히 군주를 의식했지요. 그런데 한비자와 달리 저나 노자, 《여씨춘추》의 저작자들은 법과 법치에 대해 회의적인 사람들입니다. 법만으로는 통일 제국을 끌고 갈 수 없다고 본 것이지요.

2장. 순자의 나라

3장. 인간와 하늘 사이에 선을 긋다

4장. 학문과 수신, 그리고 스승

내편 2. 순자 철학 읽기: 순자의 철학과 사상

5장. 천인지분에서 성위지분으로

6장. 성악설을 논하다

7장. 백지설을 논하다

8장. 예란 무엇인가

9. 법이란 무엇인가

10. 군자란 누구인가

11장. 군주 그리고 후왕이라는 이상

내편 3. 순자 읽기: 순자의 네 모습

12장. 위대한 스승 순자

13장. 역사가 순자

14장. 시장주의자 순자

15장. 사회학자 순자

외편 1. 순자, 맹자, 율곡: 공자의 계승자와 순자의 계승자

16장. 순자, 맹자를 겨냥하다

17장. 순자와 율곡

외편 2. 위대한 종합자: 철학을 집대성하다

18장. 순자와 제자백가

19장. 순자와 대학, 중용


Category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