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ze: 599
Comment:
|
Size: 1015
Comment:
|
Deletions are marked like this. | Additions are marked like this. |
Line 3: | Line 3: |
[[순자]]. 직하학궁의 좨주를 3번이나 역임함. [[최진석]] 교수에 따르면, 직하학궁에서는 노자 사상을 중심으로 여러 학문들을 집대성하려는 연구기관이었으며, 때문에 순자 역시 노자 사상의 영향을 듬뿍 받은 학자이다. 그래서, 통념적으로는 순자를 공자 사상의 계열로 분류하지만, 노자 사상 계열로 봐야 한다는 주장을 한다. 그리고 순자에게 많은 영향을 받은 법가 또한 노자 사상 계열로 봐야 한다고 한다. | [[순자]]에 대한 책. = 내편 1. 순자 이야기: 인간과 하늘 사이에 선을 긋다 = 율곡의 유학 사상은, 간단히 말하자면, ‘현실에서의 인간’에 주목합니다. 감정과 욕망을 바탕으로 움직이는 존재가 인간이라 전제하지요. 현실의 인간을 일탈하기 쉬운 존재로 상정해, 외적 규범과 기준으로 어떻게 인간을 ‘다시’ 만들것인가를 고민해요. 사실, 선생님의 사상과 비슷한 점이 많아요. 율곡의 학문은 정통 주자학朱子學이라기보다는 ‘순자적 신유학新儒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율곡의 유학이 조선을 이끌었습니다. |
Line 6: | Line 12: |
---- | = 내편 2. 순자 철학 읽기: 순자의 철학과 사상 = = 내편 3. 순자 읽기: 순자의 네 모습 = = 외편 1. 순자, 맹자, 율곡: 공자의 계승자와 순자의 계승자 = = 외편 2. 위대한 종합자: 철학을 집대성하다 = |
순자에 대한 책.
내편 1. 순자 이야기: 인간과 하늘 사이에 선을 긋다
율곡의 유학 사상은, 간단히 말하자면, ‘현실에서의 인간’에 주목합니다. 감정과 욕망을 바탕으로 움직이는 존재가 인간이라 전제하지요. 현실의 인간을 일탈하기 쉬운 존재로 상정해, 외적 규범과 기준으로 어떻게 인간을 ‘다시’ 만들것인가를 고민해요.
사실, 선생님의 사상과 비슷한 점이 많아요. 율곡의 학문은 정통 주자학朱子學이라기보다는 ‘순자적 신유학新儒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율곡의 유학이 조선을 이끌었습니다.
내편 2. 순자 철학 읽기: 순자의 철학과 사상
내편 3. 순자 읽기: 순자의 네 모습
외편 1. 순자, 맹자, 율곡: 공자의 계승자와 순자의 계승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