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s between revisions 10 and 11
Revision 10 as of 2021-01-09 13:27:44
Size: 4070
Editor: 정수
Comment:
Revision 11 as of 2021-01-09 13:29:32
Size: 4712
Editor: 정수
Comment:
Deletions are marked like this. Additions are marked like this.
Line 88: Line 88:
2부에서는 돈으로는 높은 성과를 내도록 할 수 없다는 것에 근거하여 기존의 잘못된 성과주의 관행을 제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러나 이는 응급조치에 불과하다. 의학적 응급조치가 상황의 악화를 막을 뿐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지는 못하는 것처럼, 기존의 잘못된 관행을 제거하는 것만으로는 고성과 조직을 만들 수 없다. 고성과 조직은 고성과 문화를 구축함으로써 만들어진다.

3부에서는 고성과 조직의 모습과 그 조직을 만드는 방법에 대해 생각해 보기로 한다.

들어가며

이 책은 성과주의의 환상에 여전히 취해 있는 사람들을 깨우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1부에서는 성과주의에 대한 학자들의 연구를 소개했고, 돈으로 성과를 사지 않는 경영을 하면서도 탁월한 경영 실적을 보이고 있는 몇몇 기업의 경영사례를 제시하였다.

2부에서는 성과급의 폐해를 해소하기 위한 응급조치를 다뤘다. 보상에서 성과급을 폐지하거나 차별을 축소하고, 성과를 승진에 반영하며 승진심사를 체계적으로 하는 방안에 대해 다루고 있다. 또 개인별 목표관리를 폐지하되 조직 성과를 높이는 방안도 다루고 있다.

3부에서는 성과급의 폐해를 지적한 학자들이 제시하는 대안을 가능하면 구체적인 모습으로 그려 내어 한국의 조직들이 그 대안을 실현할 수 있도록 했다.

1. 성과급과 성과의 관계

  • 1장에서는 개인의 성과를 평가하고 이를 돈으로 보상하는 성과급의 효과에 대한 학자들의 연구 결과와 주장을 알아본다.
  • 2장에서는 한국의 프로 스포츠, 세일즈 세계에서 인센티브 제도가 어떤 기능을 하는지, 그리고 일반 직장인들의 욕구와 그들이 추구하는 가치는 무엇인지 생각해 본다.
  • 마지막으로 3장에서는 개인 성과급에 의존하지 않으면서 우수한 성과를 내고 있는 네 기업의 사례를 검토해 본다.

1장. 세 학자들의 주장

제프리 페퍼의 주장

다카하시 노부오의 주장

알피 콘의 주장

2장. 성과급의 효능에 대한 음미

프로 스포츠의 세계

세일즈의 세계

사무관리직의 세계

3장. 대안의 탐색

SAS Institute

스벤스카 한델스 은행

교세라

대림산업

2. 성과주의 관행의 혁신

1부에서는 개인 성과급으로 우수한 성과를 유인한다는 전략은 성공하지 못한다는 학문적 연구 결과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개인 성과급에 근거하지 않고도 훌륭한 성과주의 경영을 할 수 있음을 사례를 통해 알아보았다.

2부에서는 이러한 학문적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기존의 그릇된 성과주의 관행을 바로잡는 구체적인 방안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4장에서는 성과관리 관행의 혁신에 대해, 그리고 5, 6장에서는 인사관리 관행의 혁신에 대해 다룰 것이다.

4장. 성과관리 관행의 혁신

개인별 목표관리를 버린다

성과 책임과 우수 성과를 정의한다

스트레치 목표를 세우게 하되 관리하지 않는다

목표와 전략을 연계시킨다

성과평가 관행을 혁신한다

5장. 인사제도의 혁신 방향

보상관리 관행의 혁신과 관련된 주요 이슈

직급 제도

직급 결정 기준; 연공, 능력, 직무

직급체계의 혁신 방향

6장. 보상, 승진, 그리고 평가 관행의 혁신

보상 관행을 혁신한다

승진 관행을 혁신한다

평가 관행을 혁신한다

3. 고성과 조직의 길

2부에서는 돈으로는 높은 성과를 내도록 할 수 없다는 것에 근거하여 기존의 잘못된 성과주의 관행을 제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러나 이는 응급조치에 불과하다. 의학적 응급조치가 상황의 악화를 막을 뿐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지는 못하는 것처럼, 기존의 잘못된 관행을 제거하는 것만으로는 고성과 조직을 만들 수 없다. 고성과 조직은 고성과 문화를 구축함으로써 만들어진다.

3부에서는 고성과 조직의 모습과 그 조직을 만드는 방법에 대해 생각해 보기로 한다.

7장. 고성과 조직의 특성

고성과 조직

조직운영에 관한 다섯 가지 관점

세 학자들이 주장하는 대안

8장. 인간과 일의 조화

직무 조각하기

내재적 보상을 유발하는 직무 설계

사람과 일의 매치

9장. 공동체로서의 조직

고용안정성의 추구

통제에서 신뢰로

팀 중심의 경영

성과배분

10장. 변화의 관리

변화의 비전

변화의 관리

조직의 DNA에 고성과 조직을 새긴다

책/성과주의의 혁신 (last edited 2023-06-30 12:33:13 by 정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