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s between revisions 6 and 7
Revision 6 as of 2022-02-24 16:35:07
Size: 6493
Editor: 정수
Comment:
Revision 7 as of 2022-02-24 16:36:25
Size: 8274
Editor: 정수
Comment:
Deletions are marked like this. Additions are marked like this.
Line 47: Line 47:
=== 군주의 거울이 등장하기까지 ===
Line 48: Line 49:
=== 군주의 거울이 등장하기까지 === 로마의 건국자인 아이네아스는 아들 아스카니우스에게 군주의 거울을 제시한다. 그는 자신의 뒤를 이어 장차 알바롱가Alba Longa의 왕이 될 아들에게 닮고 배워야 할 인물이 있어야 하며, 그 모델이 바로 아버지인 자신과 트로이 전쟁에서 장렬하게 전사했던 외숙부 헥토르임을 밝힌다. 반인반신半人半神의 괴력을 지닌 아킬레우스의 창검을 두려워하지 않고 달려들던 헥토르의 용기를 기억하고, 허벅지에 박힌 화살촉을 뽑으며 적진으로 뛰어들던 아버지의 용기를 모범으로 삼으라는 것이다. 왕자에게는 탁월한 리더의 모델이 필요한 법이고, 아스카니우스의 군주의 거울은 바로 아이네아스와 헥토르였다.

아이네아스가 그다음에 취한 행동은 후대 사람들에게 군주의 거울이 지향하는 바를 정확하게 보여준다. 그는 아들에게 마지막 유언을 남기고 “손으로 거대한 창을 휘두르며 거인처럼 성문 밖으로” 달려 나갔다.4 ‘거인처럼’ 달려 나가는 모습을 통해 아들 아스카니우스에게 영원히 잊지 못할 군주의 진정한 모범을 보여준 것이다. 그는 장차 리더로서 살아가게 될 자신의 아들이 반드시 기억해야 할 군주의 거울이 됐다. 이렇게 멋진 아버지가 또 어디 있겠는가. 얼마나 많은 이 땅의 아버지들이 자신은 난장이처럼 살면서 자녀들에게는 거인처럼 살라고 강요하는가. 아버지가 먼저 거인처럼 살아간다면 자식은 당연히 그 거인의 발자국을 따라가기 마련이다. 군주의 거울인 아버지를 통해 자신도 거인으로 성장해가는 것이다.

김상근, "군주의 거울, 키루스의 교육"

갈 길을 잃은 아포리아 시대에는 진정한 리더가 필요하다.

유럽에서 지도자 교육을 위해 사용하던 텍스트가 있는데, "군주의 거울"이라고 불렀다.

군주의 거울은 시대마다 조금씩 바뀌었다.

이 책에서 다루는 텍스트는 아래와 같은 네 권이다.

  • 헤로도토스의 "역사"
  • 투키디데스의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 플라톤의 "국가"
  • 크세노폰의 "키루스의 교육"


서문. 숙였던 고개를 들고 밤하늘의 별을 바라보는 것

세상살이가 점점 더 힘들고, 젊은이들 사이에 희망이 사라지고 있는 이유는 우리 사회에 진정한 리더가 부재不在하기 때문입니다. 총체적인 리더십의 부재야말로 우리 시대의 질곡을 가장 정확하게 설명하는 틀입니다. 리더의 자격이 없는 자들이 높은 자리에 올라 국민의 고혈을 빨아먹고 자신의 배를 불리는 데 혈안이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제1부에는 그리스 고전이 기록된 그리스 아포리아 시대의 실감나는 현실이, 제2부에는 아포리아 시대를 살아가는 리더가 성찰해야 할 가치들이 제시되어 있습니다.

1부. 아포리아 시대의 기록 - '역사',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국가', '키루스의 교육'

1. 아포리아 시대의 인문학, 군주의 거울

비극은 왜 반복되는가?

아포리아는 ‘어떻게 해볼 수 있는 것이 없는 상태Lack of Resources’, 즉 ‘길 없음Impasse의 상태’이자 ‘출구 없음No Exit의 상태’를 뜻한다. 이것은 위기Crisis보다 더 심각한 상태다. 위기 상황에서는 그래도 어떤 조치를 취해볼 수 있다. 그러나 아포리아는 더 이상 어떤 조치를 취하는 것이 불가능한 상태다. 아포리아 상태에서 우리는 망연자실한 채 자신의 무지와 무능을 비로소 절감하게 된다.

그리스에서 생겨난 이 말의 원래 뜻은 ‘막다른 곳에 다다름’이다. 그리스는 약 1200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중 200개가 넘는 섬에 실제로 사람이 살고 있다. 그래서 도서島嶼 간 이동을 위한 항해술의 수준이 높았는데, 바람을 이용해 돛으로 파도를 타고 넘는 기술이 발달할수록 그만큼 해상 사고의 위험도 잦아졌다. 그리스 사람들은 이 섬과 섬 사이를 항해하다가 어떤 절체절명의 위기를 맞아 더 이상 어떻게 할 수 없는, 즉 위기보다 훨씬 더 심각한 상태에 직면했을 때를 아포리아라고 했다.

지금 대한민국은 아포리아 상태다. 어떻게 할 수 없는 상태, 길 없음의 상황에 내몰린 것이다.

우리는 반복되는 대형 참사와 총제적 리더십 부재를 경험하면서 아포리아 시대를 직감하고 있다. 어쩌면 ‘위대한 리더십’에 대한 기대를 저버렸는지도 모른다. 이제 아예 ‘리더’라는 단어 자체를 신뢰하지 않게 됐다. 지금껏 우리는 리더란 조직이나 단체의 구성원을 이끌며 정해진 목적을 달성하는 사람, 또는 시련과 난관을 극복하며 공동체를 바른 방향으로 이끌어가는 사람이라고 생각해왔다. 그러나 개선되지 않고 끊임없이 반복되는 전근대적인 대형 참사들, 그에 따른 비합리적이며 무능한 처리 방식을 목격하면서 이제 그와 같은 이상적인 리더와 리더십에 대한 환상을 버려야 한다는 결론에 이른 것이다.

아포리아 시대의 필독서, 군주의 거울

이런 아포리아 시대에 우리가 함께 펼쳐보아야 할 책이 있다. 절망의 시대에 읽어야 할 인문학 장르의 도서들이다. 조직행동론Organizational Behavior에 기초한 기존의 경영학적 리더십 교재는 잠시 덮어두고, 참된 리더를 위한 인문학의 고전을 펼쳐보자는 것이다. 아포리아 시대를 극복하기 위해 우리가 함께 읽어야 할 인문학 고전을 ‘군주의 거울Mirror for Princes’이라 한다.

군주의 거울은 기원후 8세기, 유럽이 본격적으로 중세로 접어들던 카롤링거 왕조Carolingian Dynasty 시대부터 본격적으로 등장한 인문학의 리더십 교과 과정이다. 기원후 800년, 샤를마뉴Charlemagne(740~814)가 신성로마제국Holy Roman Empire의 황제로 취임한 뒤부터 단일 국가의 개념과 이를 떠받드는 봉건제가 생겨나기 시작했는데, 그 후로 국가 및 지역 간의 극심한 경쟁이 촉발된 것은 당연한 결과였다. 특히 중세의 봉건 제후들은 자신의 봉토를 지키고 확장시키기 위해 인근 제후들과 치열한 경쟁을 벌였다. 경쟁이 치열한 곳에서 탁월한 리더에 대한 갈망과 기대가 싹트기 마련이다. 세상이 혼탁하면 할수록 대중의 흐트러진 마음을 다잡고, 나라의 미래 지향점을 제시할 수 있는 탁월한 리더를 갈구하게 된다. 그래서 기원후 8세기부터 중세 유럽 사회에서는 탁월한 리더를 양성하기 위한 특별한 인문학 교과 과정이 개발됐다.

군주의 거울이 등장하기까지

로마의 건국자인 아이네아스는 아들 아스카니우스에게 군주의 거울을 제시한다. 그는 자신의 뒤를 이어 장차 알바롱가Alba Longa의 왕이 될 아들에게 닮고 배워야 할 인물이 있어야 하며, 그 모델이 바로 아버지인 자신과 트로이 전쟁에서 장렬하게 전사했던 외숙부 헥토르임을 밝힌다. 반인반신半人半神의 괴력을 지닌 아킬레우스의 창검을 두려워하지 않고 달려들던 헥토르의 용기를 기억하고, 허벅지에 박힌 화살촉을 뽑으며 적진으로 뛰어들던 아버지의 용기를 모범으로 삼으라는 것이다. 왕자에게는 탁월한 리더의 모델이 필요한 법이고, 아스카니우스의 군주의 거울은 바로 아이네아스와 헥토르였다.

아이네아스가 그다음에 취한 행동은 후대 사람들에게 군주의 거울이 지향하는 바를 정확하게 보여준다. 그는 아들에게 마지막 유언을 남기고 “손으로 거대한 창을 휘두르며 거인처럼 성문 밖으로” 달려 나갔다.4 ‘거인처럼’ 달려 나가는 모습을 통해 아들 아스카니우스에게 영원히 잊지 못할 군주의 진정한 모범을 보여준 것이다. 그는 장차 리더로서 살아가게 될 자신의 아들이 반드시 기억해야 할 군주의 거울이 됐다. 이렇게 멋진 아버지가 또 어디 있겠는가. 얼마나 많은 이 땅의 아버지들이 자신은 난장이처럼 살면서 자녀들에게는 거인처럼 살라고 강요하는가. 아버지가 먼저 거인처럼 살아간다면 자식은 당연히 그 거인의 발자국을 따라가기 마련이다. 군주의 거울인 아버지를 통해 자신도 거인으로 성장해가는 것이다.

왜 하필 그리스일까?

2. 리더의 자질이 없는 자는 척박한 땅에 만족하라 - 헤로도토스의 '역사'

3. 반복되는 역사 속에 드러나는 인간의 본성 - 투키디데스의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4. 철학으로 아포리아에 맞선 스승과 제자 - 플라톤의 '국가'

5. 그리스의 마지막 군주의 거울 - 크세노폰의 '키루스의 교육'

2부. 아포리아 시대, 리더의 공부 - '키루스의 교육'

1. 정의의 수호자가 돼라

2. 세월의 변화를 직시하라

3. 불확실성에 의존하지 마라

4. 스스로 고난을 함께 나누라

5. 군주다움을 끝까지 지켜라

6. 군주의 아내도 군주다

7. 사람들은 군주의 뒷모습을 본다

8. 승리의 방식

9. 인간의 본성을 직시하라

10. 레거시를 남겨라

11. 초심을 잃지 마라

12. 제국은 사람이다


CategoryBook CategoryHistory CategoryLeadership

책/군주의 거울, 키루스의 교육 (last edited 2022-03-01 14:58:32 by 정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