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ze: 1804
Comment:
|
Size: 2762
Comment:
|
Deletions are marked like this. | Additions are marked like this. |
Line 20: | Line 20: |
= 서문. 숙였던 고개를 들고 밤하늘의 별을 바라보는 것 = 세상살이가 점점 더 힘들고, 젊은이들 사이에 희망이 사라지고 있는 이유는 우리 사회에 진정한 리더가 부재不在하기 때문입니다. 총체적인 리더십의 부재야말로 우리 시대의 질곡을 가장 정확하게 설명하는 틀입니다. 리더의 자격이 없는 자들이 높은 자리에 올라 국민의 고혈을 빨아먹고 자신의 배를 불리는 데 혈안이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제1부에는 그리스 고전이 기록된 그리스 아포리아 시대의 실감나는 현실이, 제2부에는 아포리아 시대를 살아가는 리더가 성찰해야 할 가치들이 제시되어 있습니다. |
|
Line 23: | Line 29: |
=== 비극은 왜 반복되는가? === === 아포리아 시대의 필독서, 군주의 거울 === === 군주의 거울이 등장하기까지 === === 왜 하필 그리스일까? === |
김상근, "군주의 거울, 키루스의 교육"
갈 길을 잃은 아포리아 시대에는 진정한 리더가 필요하다.
유럽에서 지도자 교육을 위해 사용하던 텍스트가 있는데, "군주의 거울"이라고 불렀다.
군주의 거울은 시대마다 조금씩 바뀌었다.
이 책에서 다루는 텍스트는 아래와 같은 네 권이다.
- 헤로도토스의 "역사"
- 투키디데스의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 플라톤의 "국가"
- 크세노폰의 "키루스의 교육"
서문. 숙였던 고개를 들고 밤하늘의 별을 바라보는 것
세상살이가 점점 더 힘들고, 젊은이들 사이에 희망이 사라지고 있는 이유는 우리 사회에 진정한 리더가 부재不在하기 때문입니다. 총체적인 리더십의 부재야말로 우리 시대의 질곡을 가장 정확하게 설명하는 틀입니다. 리더의 자격이 없는 자들이 높은 자리에 올라 국민의 고혈을 빨아먹고 자신의 배를 불리는 데 혈안이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제1부에는 그리스 고전이 기록된 그리스 아포리아 시대의 실감나는 현실이, 제2부에는 아포리아 시대를 살아가는 리더가 성찰해야 할 가치들이 제시되어 있습니다.
1부. 아포리아 시대의 기록 - '역사',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국가', '키루스의 교육'
1. 아포리아 시대의 인문학, 군주의 거울
비극은 왜 반복되는가?
아포리아 시대의 필독서, 군주의 거울
군주의 거울이 등장하기까지
왜 하필 그리스일까?
2. 리더의 자질이 없는 자는 척박한 땅에 만족하라 - 헤로도토스의 '역사'
3. 반복되는 역사 속에 드러나는 인간의 본성 - 투키디데스의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4. 철학으로 아포리아에 맞선 스승과 제자 - 플라톤의 '국가'
5. 그리스의 마지막 군주의 거울 - 크세노폰의 '키루스의 교육'
2부. 아포리아 시대, 리더의 공부 - '키루스의 교육'
1. 정의의 수호자가 돼라
2. 세월의 변화를 직시하라
3. 불확실성에 의존하지 마라
4. 스스로 고난을 함께 나누라
5. 군주다움을 끝까지 지켜라
6. 군주의 아내도 군주다
7. 사람들은 군주의 뒷모습을 본다
8. 승리의 방식
9. 인간의 본성을 직시하라
10. 레거시를 남겨라
11. 초심을 잃지 마라